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6794010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3-04-23
책 소개
목차
Chapter 1 리베로 vs 게이트키퍼
비발디, 선두주자가 된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일찍 '기회의 구조'를 알아차린 비발디의 명민함 /
'빨간 머리의 사제'에 대한 입소문 효과 /
오페라 업계로 진출해 리베로의 길을 가다 /
약속의 땅은 영원하지 않다 / 선두주자로는 부족하다
북독일의 작곡가들, 생산적인 정치는 성공의 지름길이다
정보와 인연의 힘을 믿었던 디트리히 북스테후데 /
정보를 기반으로 한 정치력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다 /
정치력을 바탕으로 문화기업 인프라를 만들었던 라인켄 /
관계의 통제로 주도권을 획득하다 /
당신의 전략적 그룹은 누구인가?
살리에리, 혁신을 포기하고 네트워크의 대가가 되다
역사의 라이벌 관계는 조작된 것이다 /
살리에리의 참모습은 덕망 있는 음악인 /
음악시장으로 간 살리에리 / 혁신 대신 사람을 택하다 /
관계를 통한 예술의 대가
모차르트, 성공한 천재의 전략적 패러독스
공감을 갈망했던 천재의 뒷모습 /
모차르트의 기회 탐색 전략 / 틈새시장을 통한 성공 /
시대의 변화, 무절제, 그리고 예고된 불운 /
이른 성공이 빠지기 쉬운 함정과 감의 계발 /
당대의 패더라임을 뛰어넘어 혁신성으로 인정받다
Lesson from Classic 1
Chapter 2 다각화 vs 전문화
바흐, 경계를 뛰어넘은 진정한 혁신가
시간의 테스트를 이겨내려 했던 천재 /
자원의 한계 안에서 최대한 잠재력을 발휘하다 /
오르간의 장인으로 필드에 입문하다 / 바운더리 스패너가 되다 /
라이프치히로의 롱 점프 / 자원 조달의 대가가 되다 /
진정한 혁신은 지치지 않는 열정에서 완성된다
헨델, 문화기업가 정신으로 꽃을 피우다
자신만만한 기업가, 헨델 / 브랜드와 명성을 추구하다 /
실험과 파격, 그리고 혁신 / 새로운 역량 구축을 위한 공간 탐색 /
기업가적 의지는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로시니, 똑똑한 바보, 거장들의 거장이 되다
스마트한 바보가 성공한다 /
진정한 창의성은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
글로벌 센싱을 발휘하다 / 새로운 혁신 클러스터, 갑작스런 은퇴 /
요리사로 변신해 이룩한 자기 혁신 /
변화하지 않는 것은 변화 그 자체밖에 없다
멘델스존, 혁신적인 문화기업가 멘델스존의 명암
위기 시대의 '과감한 투자'를 기반으로 태어난 천재 /
역사에서 콘텐츠를 만들다 / 양손잡이 탐색의 역할을 개척하다 /
음악 경영자로서의 길을 가다 / 지나친 에너지 고갈이 단명을 부르다
Lesson from Classic 2
Chapter 3 오피니언 리더의 시대
케루비니, 전략적 모호성도 선택적 관리가 필요하다
전환기에 유연성을 지향했던 천재 /
전략적 시행착오를 겪다 / 모호한 전략의 양면성을 배우다 /
기본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
베토벤과 그의 시대 上, 오피니언 리더는 준비된 것이다
신뢰와 매력 | 커뮤니케이션 스킬로 발판을 마련하다 /
속도 조절의 미학 / 예술가의 '철학'을 필요로 하는 시대 /
베토벤, 지휘자가 되다 / '단계 전략'을 통해 성장했던 오피니언 리더
베토벤과 그의 시대 下, 위기를 극복하는 자기 성찰의 힘
질곡의 30대, 새로운 위기를 맞은 베토벤 /
객관적 통찰력의 힘 / 학습과 성장으로 관계의 방향을 바꾸다 /
창의성으로 과거와 차별화하다 /
자기 성찰과 굽히지 않는 소신으로 조직 기억의 뿌리에 자리잡다
바그너, 역량 파괴적 변화를 주도한 오피니언 리더
정신적 가치 공유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도모하다 /
문화산업의 트렌드에 눈뜬 방황기 /
바그너 코드를 마케팅하다 /
논리로서 청중을 세력화하고 프레임을 장악하다 /
정치적인 빅스타, 바그너의 명과 암
Lesson from Classic 3
Chapter 4 예술 경영과 창조 경제
플랫폼 리더십의 시대, 전략적 오케스트레이션의 미학
모든 것을 점유하려고 하지 마라 /
기술 우위 디자인의 핵심은 역사성에 대한 인식이다 /
프로파간다적 가치를 주장하라 /
플랫폼 리더십은 왜 실천하기 어려운가? /
플랫폼 리더십의 성공 인자는 점진성과 소통이다
예술로 보는 경영, 이론으로 보는 예술과 경영
사회과학 이론 : 문화생태계를 바라보기 위해 거인의 어깨에 서다 /
경제학의 관점 : 제품 시장의 수요와 공급 논리에 비친 경쟁의 논리 /
권력과 제도의 관점, 정당화된 작품이 살아남는다 /
사회학과 네트워크의 관점, 연결과 소통에서 꽃이 핀다 /
어디까지가 이론의 영역인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현대의 경영자나 17세기의 음악가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 변화와 적응을 거듭해 가며 생존 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점이다.
진화론적 관점에 따르면 비발디는 기존의 장점을 '재탕'하는 동안에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걸어갔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전략적 성공은 영원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