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요

소요

(半山 韓相哲 正格 短時調輯 (10))

한상철 (지은이)
수서원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900원
29,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8,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요 (半山 韓相哲 正格 短時調輯 (10))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시조집
· ISBN : 978896798074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4-18

목차

권두사 … 3
제1장 松-삼라(森羅) 시조 130제 133수
1. 재인폭포(才人瀑布) (2020. 10. 22) … 18
2.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2020. 10. 31) … 19
3. 비둘기낭(囊) 폭포(2020. 11. 5) … 20
4. 살청(殺靑) (2020. 11. 5) … 21
5. 가래치기(2020. 11. 28) … 22
6. 배달겨레 보배 연시조(2020. 12. 16) … 23
7. 초계분지(草溪盆地) (2020. 12. 27) … 25
8. 어머니의 물레질(2021. 1. 17) … 25
9. 잠방이 예찬(2021. 1. 17) … 26
10. 화순 적벽(和順 赤壁) (2021. 1. 21) … 27
11. 쏘가리(2021. 1. 24) … 28
12. 순천 연자루(燕子樓) (2021. 2. 17) … 29
13. 황어회귀(黃魚回歸) (2021. 4. 8) … 30
14. 지렁이는 땅의 보물(2021. 4. 10) … 31
15. 황금도시 유적발굴(2021. 4. 11) … 32
16. 세량지(細良池)의 봄(2021. 4. 11) … 33
17. 신안(新安) 염전(2021. 4. 12) … 34
18. 북극곰의 눈물(2021. 4. 12) … 34
19. 청송 주산지(注山池) (2021. 4. 12) … 35
20. 영주 무섬마을(2021. 4. 13) … 36
21. 캥거루족(族) (2021. 4. 13) … 37
22. 이천 반룡송(盤龍松) (2021. 4. 14) … 37
23. 구기자(枸杞子) (2021. 4. 14) … 38
24. 머위(2021. 4. 15) … 39
25. 두릅(2021. 4. 15) … 40
26. 더덕(2021. 4 15) … 41
27. 광릉숲(2021. 4. 16) … 42
28. 참매(2021. 4. 18) … 43
29. 접시꽃(2021. 4. 19) … 44
30. 경산 반곡지(磐谷池) (2021. 4. 20) … 45
31. 시흥 관곡지(官谷池) (2021. 4. 20) … 46
32. 부여 궁남지(宮南池) (2021. 4. 20) … 47
33. 서울 지하철(2021. 4. 23) … 48
34. 가천 암수바위(2021. 4. 24) … 49
35. 가천 다랭이마을(2021. 4. 24) … 50
36. 불청객 버들솜(2021. 4. 24) … 51
37. 너도바람꽃(2021. 4.25) … 52
38. 홍시(2021. 4. 25) … 53
39. 구슬붕이(2021. 4. 26) … 54
40. 이재난고(.齋亂藁) (2021. 4. 26) … 55
41. 영양(英陽) 선바위(2021. 4. 26) … 56
42. 곤쟁이(2021. 4. 27) … 57
43. 담비(2021. 4. 27) … 58
44. 장작 패기-선시(2021. 4. 27) … 59
45. 비무장지대(2021. 4. 28) … 60
46. 둔전골 바람소리-선시(2021. 4. 29) … 61
47. 밀양 위량지(位良池) (2021. 4. 29) … 62
48. 충주 탄금대(彈琴臺) (2021. 5. 1) … 63
49. 함양 농월정(弄月亭) (2021. 5. 2) … 64
50. 함양 상림(上林) (2021. 5. 2) … 65
51. 황조롱이(2021. 5. 4) … 66
52. 합천 함벽루(涵碧樓) (2021. 5. 9) … 67
53. 곡성 함허정(涵虛亭) (2021. 5. 9) … 68
54. 구례 운조루(雲鳥樓) (2021. 5. 9) … 69
55. 봉명암(鳳鳴巖) (2021. 5. 10) … 70
56. 조계산 선암사(仙巖寺) 노송-선시(2021. 5. 10) … 71
57. 홀아비꽃대(2021. 5. 9) … 72
58. 구절초(2021. 5. 9) … 73
59. 산오이풀(2021. 5. 9) … 74
60. 작약(2021. 5. 9) … 75
61. 사라진 웅변가(2021. 5. 13) … 76
62. 짚신나물(2021. 5. 13) … 77
63. 배고픔을 즐기자(2021. 5. 13) … 78
64. 황태 덕장-선시(2021. 5. 13) … 79
65. 봄비 맞은 오솔길(2021. 5. 13) … 80
66. 휘파람새(2021. 5. 13) … 81
67. 맥문동(麥門冬) (2021. 5. 14) … 82
68. 숭어 어란(魚卵) (2021. 5. 14) … 83
69. 성주 성밖숲 왕버들(2021. 5. 14) … 84
70. 빈 배(2021. 5. 15) … 85
71. 귀여운 다람쥐(2021. 5. 16) … 86
72. 마두금(馬頭琴) (2021. 5. 17) … 87
73. 비자(榧子)나무 (2021. 5. 18) … 88
74. 백사실(白沙室)계곡 1(2021. 5. 20) … 89
75. 잉여인간(剩餘人間) (2021. 5. 21) … 90
(1) 노년층 (2) 청년층
76. 나라의 장수(2021. 5. 21) … 91
77. 등나무(2021. 5. 22) … 92
78. 자주달개비꽃(2021. 5, 25) … 93
79. 사하라 사막의 눈〔目〕(2021. 5. 25) … 94
80. 목포 갓바위(2021. 5. 26) … 95
81. 전복(全鰒) (2021. 5. 28) … 96
82. 앵두나무 우물가 소녀(2021. 5. 29) … 97
83. 나는 바위 되리라(2021. 5. 29) … 98
84. 소나무와 개미(2021. 5. 29) … 99
85. 부지깽이(2021. 6. 1) … 100
86. 명사십리(鳴沙十里) (2021. 6. 1) … 101
87. 말발도리꽃(2021. 6. 3) … 102
88. 빠삐용(2021. 6. 3) … 103
89. 귀틀집(2021. 6. 4) … 104
90. 예천 회룡포(2021. 6. 4) … 105
91. 어수리(2021. 6. 7) … 106
92. 눈개승마(2021. 6. 7) … 107
93. 다래 (2021. 6. 8) … 108
94. 머루(2021. 6. 8) … 109
95. 부산 영도 태종대(2021. 6. 8) … 110
96. 도요새(2021. 6. 10) … 111
97. 멀구슬나무(2021. 6. 10) … 112
98. 오미자(2021. 6. 12) … 114
99. 살구(2021. 6. 12) … 115
100. 연천 호로고루(瓠蘆古壘) (2021. 6. 13) … 116
101. 아파트 여름 아리랑(2021. 6. 13) … 117
102. 강릉 오죽헌(2021. 6. 13) … 118
103. 마누라 잔소리 밥상(2021. 6. 13) … 119
104. 익산 미륵사지 석탑(2021. 6. 15) … 120
105. 한산 모시 (2021. 6. 15) … 121
106. 범어삼기(梵魚三奇) (2021. 6. 16) … 122
(1) 원효석대(元曉石臺) … 122
(2) 자웅석계(雌雄石鷄) … 122
(3) 암상금정(岩上金井) … 123
107. 섭지코지 파도-선시(2021. 6. 16) … 124
108. 도라지(2021. 6. 18) … 125
109. 인연설-선시(2021. 6. 22) … 126
110. 영축산(靈鷲山) (2021. 7. 1) … 127
111. 원추리(2021. 7. 3) … 128
112. 제주산버들(2021. 7. 7) … 129
113. 진고개 신사(2021. 7. 9) … 130
114. 백령도(白翎島) (2021. 7. 10) … 131
115. 부산 재한유엔기념공원(2021. 7. 11) … 132
116. 십이지별곡(十二支別曲)-선시(2021. 7. 23) … 133
117. 성덕대왕신종(2021. 7. 31) … 134
118. 무병을 바라지 않아(2021. 8. 3) … 135
119. 배롱나무(2021. 8. 14) … 136
120. 입마개 군상(群像) (2021. 8. 14) … 137
121. 여름 전철 풍속도(2021. 8. 14) … 138
122. 삼척 미인폭포(2021. 8. 15) … 139
123. 창녕 우포늪(2021. 8. 15) … 140
124. 대암산(大巖山) 용늪(2021. 8. 15) … 141
125. 분성산(盆城山) 인연(2021. 11. 14) … 142
126. 달 토끼 사랑(2021. 11. 15) … 143
127. 신몽유도원도(新夢遊桃源圖) (2021. 11. 15) … 144
128. 백사실계곡 2(202. 12. 19) … 144
129. 수성동(水聲洞)계곡(2021. 12. 19) … 145
130. 식영정(息影亭) (2022. 2. 14) … 146

제2장 蓮-풍치시조 속명승보(제15∼22번) 8제 86수
2-1. 대구십영(大丘十詠)-속명승보 15(2020. 12. 31) … 148
서시 … 149
제1영 금호범주(琴湖泛舟) … 149
제2영 입암조어(笠巖釣魚) … 151
제3영 귀수춘운(龜峀春雲) … 152
제4영 학루명월(鶴樓明月) … 153
제5영 남소하화(南沼荷花) … 154
제6영 북벽향림(北壁香林) … 155
제7영 동화심승(桐華尋僧) … 156
제8영 노원송객(櫓院送客) … 158
제9영 공령적설(公嶺積雪) … 159
제10영 침산낙조(砧山落照) … 160
2-2. 완산팔경(完山八景)-속명승보 16(2020. 12. 31) … 161
서시 … 162
제1경 인봉토월(麟峯吐月) … 162
제2경 한벽청연(寒碧晴烟) … 163
제3경 남고모종(南固暮鐘) … 164
제4경 동포귀범(東浦歸帆) … 165
제5경 다가사후(多佳射侯) … 166
제6경 덕진채련(德眞採蓮) … 167
제7경 비비락안(飛飛落雁) … 168
제8경 위봉폭포(威鳳瀑布) … 169
2-3. 화순팔경-속명승보 17(2021. 4. 13) … 171
서시 … 171
제1경 화순 적벽(和順 赤壁) (2021. 1. 21) … 172
제2경 화순 운주사(雲住寺) … 173
제3경 백아산(白鵝山) 하늘다리 … 174
제4경 고인돌 유적지 … 174
제5경 수만리(水滿里) 철쭉공원 … 175
제6경 이서 규봉암(二西 圭峰庵) … 175
제7경 연둔리(蓮屯里) 숲정이 … 176
제8경 세량지(細良池) … 176
2-4. 가야(伽耶)십구경-속명승보 18(2021. 4. 26) … 177
서시 … 179
제1경 갱멱원(更覓源) … 179
제2경 축화천(逐化川) … 180
제3경 무릉교(武陵橋) … 181
제4경 칠성대(七星臺) … 182
제5경 홍류동(紅流洞) … 183
제6경 농산정(籠山亭) … 184
제7경 취적봉(翠積峰) … 185
제8경 체필암(.筆.) … 186
제9경 음풍뢰(吟風瀨) … 187
제10경 광풍뢰(光風瀨) … 188
제11경 완재암(宛在巖) … 189
제12경 분옥폭(噴玉瀑) … 190
제13경 제월담(霽月潭) … 191
제14경 낙화담(落花潭) … 192
제15경 첩석대(疊石臺) … 193
제16경 회선대(會仙臺) … 194
제17경 학사대(學士臺) … 195
제18경 봉천대(奉天臺) … 196
제19경 우비정(牛鼻井) … 197
2-5. 목포팔경-속명승보 19(2021. 5. 26) … 198
서시 … 198
제1경 유산기암(儒山奇岩) … 199
제2경 용당귀범(龍塘歸帆) … 199
제3경 아산춘우(牙山春雨) … 200
제4경 학도청람(鶴島晴嵐) … 200
제5경 금강추월(錦江秋月) … 201
제6경 입암반조(笠岩返照) … 201
제7경 고도설송(高島雪松)-선시 … 202
제8경 달사모종(達寺暮鍾) … 202
2-6. 선유(仙遊)팔경-속명승보 20(2021. 6. 1) … 203
서시 … 204
제1경 선유낙조(仙遊落照) … 204
제2경 명사십리(明沙十里) … 205
제3경 망주폭포(望主瀑布) … 205
제4경 평사낙안(平沙落雁) … 206
제5경 삼도귀범(三島歸帆) … 206
제6경 장자어화(壯子漁火) … 207
제7경 월영단풍(月影丹楓) … 207
제8경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 … 208
2-7. 금정(金井)팔경-속명승보 21(2021. 6. 16) … 209
서시 … 209
제1경 고당귀운(姑堂歸雲) … 210
제2경 의상망해(義湘望海) … 211
제3경 계명추월(鷄鳴秋月) … 212
제4경 내원모종(內院暮鐘) … 213
제5경 청련야우(靑蓮夜雨) … 214
제6경 금강만풍(金剛晩楓) … 215
제7경 대성은수(大聖隱水) … 216
제8경 어산노송(魚山老松) … 217
2-8. 옥계구곡(玉溪九曲)-속명승보 22(2021. 7. 7) 218
서시 … 219
제1곡 와룡추(臥龍湫) … 219
제2곡 무송암(撫松巖) … 220
제3곡 탁영뢰(濯纓瀨) … 221
제4곡 고슬탄(鼓瑟灘) … 222
제5곡 일사대(一絲臺) … 223
제6곡 추월담(秋月潭) … 223
제7곡 청풍협(靑楓峽) … 224
제8곡 귀유연(龜游淵) … 224
제9곡 농원계(弄湲溪) … 225
제3장 목련(木蓮)-세계의 풍광-6제 41수
3-1. 에베레스트 지역 트레킹 12경(2021. 5. 23)-1제 13수
… 228
서시 … 229
가) 고쿄 트렉(Kokyo Trek) … 229
제1경 루클라의 신목(神木) (2000. 4. 8) … 229
제2경 라자 도반(Larja Doban)의 출렁다리
(2000. 4. 9) … 230
제3경 조르살레에서 본 탐세루쿠(2000. 4. 9) … 231
제4경 남체에서 바라본 꽁데리 여명(黎明)
(2000. 4. 10) … 231
제5경 칸쥬마의 붉은자작나무숲(2000. 4. 10) … 232
제6경 사나사의 길옆 바위(2000. 4. 10) … 233
제7경 루자의 야크 방목장(2000. 4. 11) … 234
제8경 마첼모 언덕에서 본 초오유(2000. 4. 11) … 235
나) 3-패스 루트(Pass Route) … 236
제9경 종글라에서 바라본 로부체 서봉, 동봉
(2000. 4. 14) … 236
다) 에베레스트 트렉 … 237
제10경 로부체에서 바라본 신산(神山)
(2000. 4. 15) … 237
제11경 꼬락셉 호수와 푸모리 조망(2000. 4. 15)
… 238
제12경 텡보체에서 내려 본 임자 꼴라(2000. 4. 17)
… 239
3-2. 지구촌 풍정-4제 4수 … 241
1. 터키 금각만(金角灣) (2003. 10. 12) … 241
2. 나콘 빠톰(1999. 10. 27) … 242
3. 칸차나부리(1999. 10. 27) … 243
4. 모스크바 벼룩시장(2000. 7. 27) … 244
3-3. 해외연찬록(海外硏鑽錄)-1제 24수 … 245
(1) 런던 교외 풍광-선시(1997. 5. 14) … 245
(2) 파리 센 강-선시(1997. 5. 14) … 246
(3) 벨기에 자작나무숲(1997. 5. 16) … 246
(4) 네덜란드 풍차촌-선시(1997. 5. 17) … 247
(5) 루체른 호수(1997. 5. 18) … 248
(6) 슈타우프 바흐 폭포(1997. 5. 19) … 248
(7) 융프라우 전망대(1997. 5. 19) … 249
(8) 알프스 산록(山麓) 걷기(1997. 5. 18) … 249
(9) 마드리드 투우장 조깅(1997. 5. 20) … 250
(10) 똘레도의 언덕(1997. 5. 20) … 251
(11) 정열의 플라멩코 춤(1997. 5. 20) … 252
(12) 테베레 강 회고(1997. 5. 22) … 253
(13) 아펜니노 산맥의 만월(1997. 5. 23) … 254
(14) 로마의 대평원과 고가수로(1997. 5. 23) … 255
(15) 베수비오 산 감회(1997. 5. 23) … 256
(16) 나폴리 원경(遠景) (1997. 5. 23) … 258
(17) 소렌토 절벽(1997. 5. 23) … 259
(18) 뉴욕 시티 할렘가와 중앙공원(1997. 5. 25) … 260
(19) 포토맥 강-선시(1997. 5. 26) … 261
(20) 라스베이거스 야경(1997. 5. 27) … 262
(21) 그랜드 캐니언(1997. 5. 27) … 263
(22) 콜로라도 강(1997. 5. 27) … 264
(23) 샌디에이고 국경 초소와 티후아나
(1997. 5. 28) … 265
(24) 로스엔젤레스의 여운(1997. 5. 29) … 266

제4장 芭蕉-한시 4제 4수
4-1. 登採薇亭有感(등채미정유감)-칠언율시(2020. 9. 28)
-채미정에 오르며 느낌 … 268
4-2. 虎溪三笑(호계삼소)-칠언율시(2020. 11. 11) … 269
4-3. 祈願逐疫萬國咸寧(기원축역만국함녕)-칠언율시
(2021. 3. 7) … 270
4-4. 鄭應麟將軍擧義殉國四百三十週年紀念
(정응린장군거의순국사백삽십주년기념)-칠언율시(2021. 3. 7) … 271
제5장 포도(葡萄) 속(續) 한국 하이쿠 5구(句)
5-1. 칼바람 싱싱 회한(悔恨)에 우는 갈대 무심한 강물
… 274
5-2. 잎은 묵나물 씨기름 쓸모 있지 아주까리여 … 274
5-3. 코비드 19 신인류 괴롭히는 악귀(惡鬼)의 종아 … 274
5-4. 밤길을 가다 반디불이 만나면 절로 별이 돼 … 274
5-5. 유전자 없어 자식을 낳지 못한 허수아비여 … 274
문전양류(門前楊柳) … 274
鳶飛魚躍 후기 / 275
색인 / 277
한상철 경력 / 280
半山 韓相哲 著書(2001∼2022년) / 284

저자소개

한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韓相哲 경력 가. 일반 신상 1. 한상철(韓相哲):1947년 10월 28일(음) 정해(丁亥) 생 2. 경북 고령 출생 3. 본관 청주. 몽계공파(夢溪公派) 제 32대 손 4. 호:반산(半山), 죽전(竹田), 지석(砥石), 윤중(允中), 이암(夷岩). 자(字):시흥(始興) 당호(堂號)):수우당(守愚堂), 동진당(同塵堂), 자하당(紫霞堂), 용회당(用晦堂) 5. 1965년 1월 27일 공립 대구상업고등학교 제 37회 졸업 6. 동년 2월 16일 국민은행 전국공개채용 초급행원 제2기로 입행 7. 1990년 7월~ 국민은행 지점장 역임. 최종 문산(경기 파주)지점장 8. 1998년 12월 31일 경제위기로 중도 퇴직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 제23기 수료 (2002년 1월) 나. 등산 이력 1. (사) 서울특별시산악연맹 가맹단체 '거봉산악회' 회장 역임 (1993~1996) * 유명산악인 엄홍길 대장 배출 2. (사) 대한산악연맹 서울특별시연맹 이사 역임(2001∼2008) 3. (사) 한국자연공원협회(환경부산하 공익법정단체) 감사 역임 (2005~2013) 4. 등반 기록 가) 국내 등산:1,500여회(2006. 12. 31 기준). 백두대간, 정맥, 기맥, 지맥 종주 외 나) 국외 등산:킬리만자로(5,895m) 등, 총 33 곳 등반 및 트레킹 다. 현재 활동 1. 산악 관련 가) (사) 한국산악회 평생회원 나) (사) 한국산서회 이사 다) 한국히말라얀 클럽 회원 라) 서울산악동우회 회원 마) (사) ‘산과 자연의 친구 우이령 사람들’ 회원(환경운동 단체) 2. 문학 관련 가) (사) 한국한시협회 회원 *前 국립강원대학교 교수 역농(亦.) 남윤수(南潤秀) 박사 사사(師事) *한국고서연구회 우경(迂耕) 이일영(李一影, 1935~2019) 선생 사사 나) 대한한시학회 회원 다) (사) 한국문인협회 회원 라) (사) 한국시조시인협회 회원 마) (사) 한국시조협회 회원 바) 한국산악문학 ‘詩山’ 동인 사) 한국미술협회 산하 한국예술협회(1978년 창립) 문예분과 회원 아) 윌더니스 문학회 회원 자) 한국문인산악회 회원 차) 창포동인(菖蒲同人) 카) 《海東文學》 계간지 2000년 봄호. 詩, ‘고요 그리고’ 외, 5편으로 등단. 추천인:정광수(鄭光修), 유양우(柳養雨), 박일동(朴日東). 3. 사회, 역사 관련 가) 한강포럼 회원 *대한민국 최정예 지성인 모임 나) 한국고서연구회 이사 다) (사) 서울문화사학회 회원 라) (사) 서울역사문화포럼 회원 라. 저서 1. 『山中問答』 산악시조 제1집, (주)도서출판 삶과꿈, 2001. 6. 10 2. 『山窓』 산악시조 제2집, (주)도서출판 삶과꿈, 2002. 5. 10 3. 『山情萬里』 산악시조 제3집(세계산악시조 제1편), (주)도서출판 삶과꿈, 2004. 3. 10 4. 『仙歌-신선의 노래』 시조 제4집, (주)도서출판 삶과꿈, 2009. 7. 30 5. 『北窓』 한시집, 도서출판 수서원(修書院), 2015. 5. 30 6. 『山情無限』 시조 제5집(세계산악시조 제2편), 도서출판 수서원, 2016. 5. 10 7. 『名勝譜』〈한국의 승지 266곳〉 시조 제6집, 도서출판 수서원, 2017. 7. 7 8. 『한국산악시조대전』 부제 山吟歌(산음가) 시조 제7집, 도서출판 수서원, 2018. 6. 25 9. 『鶴鳴』 정격 단시조 제8집, 도서출판 수서원, 2019. 6. 20 10. 『鳶飛魚躍』 정격 단시조 제9집, 도서출판 수서원, 2020. 7. 25 11. 『一枝春』 한국 하이쿠집(4×6판), 도서출판 수서원, 2021. 7. 20 12, 『風竹』 반산 눌언집(4×6판), 도서출판 수서원, 2021. 7. 20 마. 상벌 1. 재무부장관상(1969. 12. 30) 2. 재무부장관상(1984. 3. 3) 3. 서울산악봉사대상(2009. 7. 4):(사) 서울특별시산악연맹 4. 제10회 도봉문학상(2015. 12. 15):수상작 한시집 『北窓』 5. 제5회 윤동주 문학상 본상(2018. 10. 6):수상작 자유시 ‘고독 카페’ 6. 제6회 한국평화언론대상 ‘2018 올해를 빛낸 한국인’, 신지식인대상(2018. 12. 8) 7. 제2회 김삿갓 세계문학상 ‘풍류상’(2020. 4. 26):수상작 정격 단시조 ‘김삿갓 묘에서’ 바. 주소 연락처 1. 주 소:서울특별시 도봉로 180 가길 32 중흥아파트 101동 710호 (우)01318 2. 전 화:02-956-8481. 010-8713-8481 3. 이메일:hsc9381@hanmail.net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松-삼라(森羅) 시조 19

제1장
松-삼라(森羅) 시조 130제 133수

1. 재인폭포(才人瀑布) (2020. 10. 22)
일자(一字)로 내리꽂다 숨 멎은 검은 폭포
낙차는 육십 자〔尺〕라 쳐다보면 현기증이
재인(才人)은 외줄을 타다 펼친 부채 접나니

*재인폭포(才人瀑布):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에 있는 폭포이다. 지장봉에서 발원한 한탄강의 지류가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을 따라 18m 높이의 폭포를 이룬다. 상류 쪽에는 용이 승천했다는 청옥색의 용소(선녀탕)가 있으나, 지금은 군작전지역으로 출입이 금지되고 있다. 옛날에 줄타기 재인(재주꾼, 광대)의 처를 탐한 포천원님이 그로 하여금 폭포 위에서 재주를 부리게 하고, 줄을 끊어 재인을 죽였다. 그의 부인을 범하려고 하자, 원님의 코를 물어 정절을 지켰다는 전설이 전한다. 그 후 이 고장을 ‘코문이’라 부르기 시작해, 현재 고문리가 되었으며, 폭포이름은 재인폭포라 했다고 한다(다음백과 인용 수정).
2.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2020. 10. 31)
흥청댄 도성(都城) 풍경 어디서 멈출 건가
청명절 생동만상(生動萬象) 화신(畵神)이 말았어도
태평 때 문물들 모습 변하(
河) 따라 흐르네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중국 북송시대 한림학사였던 장택단(張擇端)이, 수도인 카이펑(開封, 일명 .京)의 청명절 풍경을 변하(.河)를 중심으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중국 풍속화의 최고봉이자, 중국 ‘국보중의 국보’로 칭하는 명화로, 일명 천하제일도(天下第一圖)라 한다. 크기는 가로 세로 각 528.7cm.24.8cm의 화권(畵卷)으로, 현재 북경 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3. 비둘기낭(囊) 폭포(2020. 11. 5)
변강쇠 오줌발에 박쥐 떼 도망가고
둥그런 천정에는 흰비둘기 군무(群舞) 추니
검푸른 이무기 새끼 단풍잎에 떨어져

*‘한탄강8경’ 중 하나로, 약 27만년 전 용암유출에 의해 형성된 현무암 주상절리 폭포이다. 주변에 하식동과 주상절리, 판상절리가 존재해 철원군, 연천군지역의 지형, 지질학적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명칭은 폭포 뒤 동굴에서 ‘수백 마리의 백비둘기가 둥지를 틀고 서식하였다’ 하여, 둥지(주머니)의 한자어인 낭(囊)을 붙여서 ‘비둘기낭 폭포’라 부른다. 20년 전까지만 해도 박쥐들의 서식지였으나, 현재는 없어졌다. 한탄강 댐이 건설되면서 물의 수위가 높아져, 이 폭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2012년 9월 26일에 문화재청에서,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를 천연기념물 제 537호로 지정했다. 폭포계곡은 거무튀튀한 이무기를 닮았다(나무위키 인용 수정).
*변강쇠:1986년에 개봉된 영화 판소리 ‘가루지기’(故 이대근 주연)의 주인공으로, 정력이 센 남성을 일컫는다. 그의 상대는 옹녀이다.
4. 살청(殺靑) (2020. 11. 5)
찻잎은 성깔 있어 제차(製茶)는 공드는 일
푸름을 죽여야만 비로소 참맛 나듯
사람도 오기(傲氣) 빼내야 맑은 향기 나느니

*살청(殺靑):제차(製茶)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다. 위조(萎凋, 차잎을 시들게 하거나 말리는 일)를 거쳐, 살청과 유념(柔捻, 손으로 부드럽게 비비거나 살짝 짓이김) 순으로 들어간다. 글자 그대로 ‘푸른 기운과 독기를 죽여’ 차 맛을 부드럽게 내기 위한 제1차 공정이다. 모차(母茶)를 살청기에 넣은 다음, 밖에서 나무로 불을 때 전달된 열로 살청을 한다.
*고대시대 죽간(竹簡)을 만들 때, 대나무를 불에 쬐어 대나무의 푸른 빛을 빼는 일을 말한다. 서적, 사서, 기록 따위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대나무 조각에 글을 썼던 데서 유래한다.
*인간도 청기(靑氣)가 좋고 싱싱하기는 하나, 반면에 날뛰는 젊은 기백이 남을 해치는 오기(傲氣)로 변하기도 하는데, 이를 잘 다스려야만 비로소 인격이 도야(陶冶)되는 것이다.
*차를 마시는 순서는 색향미(色香味)이다. 즉, 눈으로 탕색을 보고, 코로 향기를 맡은 다음, 혀로 맛을 본다. 사람을 처음 대할 때도 이와 같다. 먼저 얼굴의 상(相)을 보고, 언행을 살핀 다음, 인격을 평하는 것이다.
5. 가래치기(2020. 11. 28)
물을 뺀 저수지에 가래를 눌러놓고
추워도 신명 나네 바닥을 훑어내다
더듬수 번쩍 올리니 팔뚝만한 가물치

*전남 강진군 병영면 중고리 일대에서는 전통 어업유산 ‘가래치기’ 행사가 해마다 열린다. 삶은 대나무로 만든 원통형 바구니 ‘가래’로 물을 뺀 저수지 바닥을 눌러, 그 안에 갇힌 물고기를 잡는 전통 어로방법이다. 이곳 마을 농민들은 한해 논농사를 마치고, 농한기에 접어들면 시든 연잎이 가득한 저수지(요동제)의 물을 빼고, 그 안에 들어가 이로 물고기를 잡는다. 잡은 고기는 매운탕을 끓여 주민들이 함께 나눠 먹으며, 이날 하루 동네잔치가 열린다. 2020. 11. 28 연합뉴스(박철홍 기자 글 사진) 인용 수정.
*더듬수:얄팍수의 방언이다. 보통 “더듬수를 두다”, “더듬수를 놓다” 등으로 쓰인다. 여기서는 ‘더듬대다 잡은 고기를 손으로 번쩍 들어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6. 배달겨레 보배 연시조(2020. 12. 16)
-삼성전자
삼재(三才)를 중히 여긴 창업주 뜻을 이어
이대도 깊이 새겨 초일류(超一流) 기업으로
대대로 키워나가야 한결 보람 있다네
성실한 근로자는 품질 향상 힘쓰고
주인은 국민에게 봉사하는 자세로
한 가정 꾸려나가듯 요모조모 살피네
전자(電子)는 물리의 꽃 쓰임새 늘고 늘어
갖가지 제품개발 모두가 공을 들여
반도체(半導體) 선진기술로 세계 속을 누비네
자식이 잘 되어야 조상도 빛이 나듯
온 시민 아껴주는 삼성(三星)은 나라 긍지
새로이 밝아지거라 배달겨레 보배여

*삼성전자 네 글자를 각 시조 초장(初章)의 초운(初韻)으로 삼았다.
*삼재는 하늘, 땅, 사람으로, 이 세상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삼성에 부탁 하나:봉산개도(逢山開道) 우수가교(遇水架橋)-산을 만나면 길을 열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는다. 조조가 적벽대전에서 패퇴하면서 난관에
부딪치자, 부하에게 한 말이다(삼국지연의). 후구 제3자 架 자 대신, 탑(搭) 자로 된 출전도 있다.
*이 시조는 정격 4연시조라 각 연(聯)은 물론, 전체적으로도 기승전결(起承轉結)을 갖추고 있다. 또한 중복되는 수사법(修辭法)도 없다.
*필자는 지금 몸이 좋지 않아 시조 짓기가 매우 힘들다. 절친한 시우(詩友) 예찬건 가객의 특별요청에 의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비교적 쉽게 지었다.
*2021. 9. 8 유투브 ‘새노래 새가락’(제29번)으로, 예찬건 가객이 시조창(3:31) 음원 공개.
7. 초계분지(草溪盆地) (2020. 12. 27)
하늘이 도와줬나 우연의 산물인가
태고적 별똥별이 대한 땅 강타할 때
운 좋게 초계로 떨어져 삶의 터전 이뤘지

*경남 합천군 초계면, 적중면에는 지름이 무려 7km에 달하는 생성원인을 알 수 없는 ‘초계분지’(草溪盆地, 大耶城 옛터로 추정)가 있다. 이 분지가 5만 년 전 지름 200m의 대형 운석(隕石)이 땅과 충돌하면서 형성된 사실이 밝혀졌다. 한반도에서 ‘운석충돌구’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슈엔’에 이어 두 번째이다. 현재 전 세계에 공인된 숫자는 200여 개라 한다. 출처:YTN 김진두 기자 보도(2020. 12. 27) 발췌 수정.
8. 어머니의 물레질(2021. 1. 17)
기나긴 동짓달 밤 호롱불 희미한데
얼비친 물레질에 뭉게구름 실이 되니
방문에 그림자 지는 어머니의 숨결아

*한겨울 솜뭉치에서 무명실을 자아내는 어머니의 진지한 모습이 방문에 그림자로 드리운다. 희미한 호롱불 아래 설비치는 실가닥과, 간간이 돌리는 물레질. 바로 무아경에 빠진 보살의 모습이 아닐까?
9. 잠방이 예찬(2021. 1. 17)
헐렁한 반바지는 바람이 잘 통하니
일할 때 편안하고 국부(局部)에 땀 안괴여
지화자 방사(房事) 즐길 제 벗고 입기 빠르오

*가랑이가 무릎까지 내려오게 지은 짧은 홑고의를 말한다. 일상 생활복 또는 일복으로 쓰였다. 한자어로는 곤의(.衣)로 일컬어지며, 사발잠방이·사발고의·사발석방이·쇠코잠방이 등이 모두 이에 속한다. 우리나라 상고시대의 고유복식 기본형 가운데에는 바지에 해당한 것으로 고(袴)와 곤(.)이 있었다. 당시 고에는 대구고(大口袴)와 궁고(窮袴)가 있기는 하였으나, 그 형태는 대개 오늘날의 한복바지와 비슷하였으며, 곤은 또한 오늘날의 잠방이와 같은 것이었다. 곤에 관한 기록은 『양서(梁書)』와 『남사(南史)』의 백제조에 보이며, 고구려 고분 각저총(角.塚) 벽화에 나오는 역사(力士)의 하의(下衣)도 이와 같은 것이어서, 당시 이미 우리 민족이 널리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 때의 기록은 이규보(李奎報)의 시(詩)에, 독비곤(犢鼻., 쇠코잠방이)이라는 글귀가 있어, 당시에도 여름 한철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입어왔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는 흔히 농민들 사이에 노동복으로 사용하였고, 주로 베로 지었다(한국민족대백과사전 인용 수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