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68170584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13-08-30
책 소개
목차
옮기는 말
한국어판 서문
차례
머리말
제1장 경험적 언어연구에서 의미
1.0 의미론은 무엇인가?
1.1 의미, 의사소통, 시그니피컨스(광의의 의미)
1.2 영어와 다른 언어들로 의미에 관해 이야기하기
1.2.1 영어로 ‘의미’
1.2.2 월피리어로 ‘의미’
1.2.3 프랑스어로 ‘의미’
1.2.4 중국어로 ‘의미’
1.3 기호삼각형: 언어, 마음, 세계, 의미
1.4 몇몇 기초적 개념
1.4.1 어휘소
1.4.2 의의/지시/외연/내포
1.4.3 합성성
1.4.4 의미층위
1.5 대상언어와 메타언어
1.6 순환 끊기
1.6.1 지시대상물/외연으로서 의미
1.6.2 개념/머릿속 표시로서 의미
1.6.3 뇌 상태로서 의미
1.6.4 의미와 사용
1.7 의미와 설명
제2장 의미와 정의
2.1 의미와 사전
2.1.1 의미론과 사전편집
2.2 의미단위
2.2.1 낱말과 형태소
2.2.2 형태소 아래 층위의 의미: 음상징
2.2.3 낱말 위 층위의 의미: 관용어
2.2.4 의미의 문맥적 조정
2.2.4.1 첫 번째 가능성: 합성성
2.2.4.2 두 번째 가능성: 비-합성성
2.3 의미를 정의하는 다른 방식들
2.3.1 실제적 정의와 명목적 정의
2.3.2 실물지시에 의한 정의
2.3.3 동의관계에 의한 정의
2.3.4 문맥이나 전형적 본보기에 의한 정의
2.3.5 속(屬)과 종차(種差)에 의한 정의
2.4 정의와 대치가능성
2.5 의미본원어
2.6 정의들의 문제
2.7 정의, 이해 그리고 사용
제3장 의미 영향권 I: 외부 문맥
3.1 의미와 문맥
3.2 외부 문맥: 의의와 지시
3.2.1 프레게의 구분
3.2.2 의의/지시 구분과 언어적 기술
3.2.2.1 지시, 화자, 청자
3.2.2.2 의의와 지시의 한계
3.2.3 직시소
3.3 사전과 백과사전
3.3.1 의미 지식과 사실 지식
3.3.2 사전-백과사전 구분의 문제
제4장 의미 영향권 II: 대인 문맥
4.1 대인 문맥: 표현내적 수행력과 화행
4.1.1 표현 행동, 표현내적 행동, 표현달성 행동
4.1.2 표현내적 관점의 결과
4.2 대인 문맥: 화자의 의도와 청자의 추론
4.3 대인 문맥: 함축
4.3.1 진리함수적 의미와 발화 의미의 괴리
4.3.2 인습적 함축과 대화적 함축
4.4 그라이스의 격률과 협력원리
4.4.1 격률 위반
4.4.2 함축에 관한 문제들
4.5 격률들은 보편적인가?
4.6 적절성 이론
4.7 의미론과 화용론
제5장 의미 분석과 구분
5.1 어휘관계
5.1.1 반의관계
5.1.2 부분-전체관계
5.1.3 하위관계
5.1.4 분류위계관계
5.1.5 동의관계
5.2 성분분석
5.3 다의관계와 의미구분
5.3.1 다의관계, 단의관계, 동음이의관계
5.3.2 다의관계 테스트
5.3.3 연속변이로서 다의관계와 단의관계
제6장 의미표시로서 논리학
6.1 타당성, 적절성, 논리형태
6.2 명제논리
6.3 의미표시와 의미완성으로서 논리학
6.4 술어논리
6.5 진리, 모형, 외연
6.6 명제들 간의 관계
6.6.1 함의
6.6.2 전제
6.6.3 모순대당명제쌍, 반대명제쌍, 하위반대명제쌍
6.7 의미공준
6.8 한정적 기술
6.9 논리학과 언어
제7장 의미와 인지 I: 범주화와 인지의미론
7.1 범주화 의미론
7.1.1 고전적 범주화
7.1.2 고전적 범주의 문제
7.1.3 원형범주화
7.1.4 원형범주의 문제
7.1.4.1 속성 확인의 문제
7.1.4.2 범주경계 설명
7.1.4.3 원형범주화의 범위
7.1.4.4 원형과 정의 내리기
7.1.4.5 원형실험과 메타언어적 믿음
7.2 언어와 개념화: 의미론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식
7.2.1 인지의미론의 언명
7.2.2 이상적 인지모형
7.2.3 신체화와 영상도식
7.2.4 은유와 환유
7.2.5 낱말 의미의 방사상 범주
7.2.6 인지의미론의 문제
제8장 의미와 인지 II: 개념표시의 공식화와 모형 만들기
8.1 개념의미론
8.1.1 개념과 해체
8.1.2 개념의미론의 분석 개발하기
8.1.3 개념의미론의 문제
8.2 의미론과 연산
8.2.1 컴퓨터 언어학에서 어휘사전
8.2.2 낱말 의의 해체
8.2.3 프스테욥스키 의미론
제9장 의미와 형태통사론 I: 문법 범주 의미론
9.1 품사 의미론
9.1.1 품사 체계의 변이
9.1.2 품사들의 범위 제한 방식
9.1.2.1 형태-분포적 기준
9.1.2.2 의미적 기준
9.1.2.3 다범주성
9.1.3 문법 범주와 담화 기능
9.2 시제와 상 의미론
9.2.1 시제
9.2.1.1 시제와 시간
9.2.1.2 완료시제
9.2.2 상과 동작류
9.2.2.1 풍부한 상 체계: 맨더린 중국어
9.2.2.2 상태와 발생
9.2.2.3 단일 부류 내에서의 변이: 달성
9.2.3 시제-상 상호작용 유형론
제10장 의미와 형태통사론 II: 동사 의미와 논항구조
10.1 동사와 참여자
10.1.1 전통적 모습: 주제역
10.1.2 주제역의 문제
10.1.3 원형역
10.1.4 주제역 관계와 개념구조
10.2 동사류와 교체
10.3 구문의 의미
제11장 의미변이와 변화
11.1 의미비교에서 의의, 지시, 메타언어
11.2 의미변화
11.2.1 전통적 범주
11.2.2 의미변화의 메커니즘과 경로
11.2.3 문법화
11.3 말뭉치를 통한 의미
11.4 의미유형론
11.4.1 신체부위
11.4.2 색채어휘
11.4.3 직시적 이동
11.4.4 이동동사의 어휘화 패턴
11.4.5 공간지시
11.5 언어와 사고
용어풀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