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2182
· 쪽수 : 562쪽
· 출판일 : 2015-02-28
책 소개
목차
서문___5
제1부 스마트 영어교육 수업모형
01 영어교육과 스마트 교수·학습모형의 개요 13
1. 영어 교육과 21세기 학습자 역량 13
2. 영어 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모형 19
3. 영어 교육에서의 스마트 교수·학습 모형 개발 24
02 스마트 모델 1 : 스마트 기본 모형 30
1. 교수·학습 모형 설명 30
2. 사용된 스마트 기술 32
3. 교수·학습 과정안 34
03 스마트 모델 2 : 스마트 과제중심 모형 43
1. 교수·학습 모형 설명 43
2. 사용된 스마트 기술 45
3. 교수·학습 과정안 46
04 스마트 모델 3 : 스마트 역할놀이 모형 56
1. 교수·학습 모형 설명 56
2. 사용된 스마트 기술 59
3. 교수·학습 과정안 60
05 스마트 모델 4 : 스마트 스토리텔링 모형 70
1. 교수·학습 모형 설명 70
2. 사용된 스마트 기술 73
3. 교수·학습 과정안 74
제2부 스마트 교육 웹툴
Delicious 87
Social Tagging : diigo(Highlight & Share the Web) 98
Facebook 107
flickr 118
Glogster Edu 130
Google Drive 138
Linkedin 149
Ning 160
Pandora TV와 교육적 활용 173
Plurk 187
Skype 200
Slideshare 209
Twitter 218
Wikispaces 229
Wordle 241
Youtube 250
Classting 258
Google+ 272
PowerPoint OpenOffice Remote 282
Prezi 289
Drop Box 301
Instagram 315
Flixster 324
iVillage 330
Justin.tv 341
Popsugar 350
Playfire 354
Podcast 364
iTunes U 372
제3부 스마트 영어교육용 앱
뽀뽀로 첫 낱말 놀이 383
보카로이드 387
보카패밀리 393
워드업 398
워드톡 403
Eduwords 408
GUT 412
초등영어 단어장 416
플레이 보카 418
WOWRG 427
너도나도 영어단어장 431
워드노트S 437
딩동 잉글리쉬 440
Sing Sing together 443
Phonics Monster Town 447
위풍당당 영어발음 453
신데렐라: 키즈영어동화 457
iStoryBooks 460
레알! 영어의 재구성 462
영어동화 Story tree 466
두산동아 I Like Baths 471
English Restart Real Talking 476
TS 회화게임 481
Big City Small World 484
EBS 여행 영어 488
영어 스피킹 연습 1단계 491
바로쓰는 회화 494
AE 미드 n 스크린 영어회화 501
하루하나 클립영어 505
아이작의 요것만 60패턴 영어회화 508
리스닝 왕국Listening Kingdom 512
리스닝 마스터(Listening Master) 515
TEDICT 518
Twitter 영어일기 365 520
한 달 안에 영어를 English in a month 524
Restart English(special package) 529
매일매일 만나는 오즈키즈 533
우리 아이 스마트 영어 ‘JC정철 키즈’ 537
멀티영어사전 540
한글 이름 영어 변환 543
즐거운 영어속담 546
인명 찾아보기___549
주제어 찾아보기___552
책속에서
01 영어교육과 스마트 교수·학습모형의 개요
1. 영어 교육과 21세기 학습자 역량
이 장에서는 초등 영어과 스마트 교육 모형 개발을 위하여, 스마트 교육이 목표로 하는 21세기 핵심역량과 스마트 교육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최신 스마트 기기의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초등 영어과에서의 스마트 교육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가 . 21세기 핵심역량
21세기 사회는 고도화된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패러다임의 변화로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연구의 필요성에서 밝혔듯이, 컴퓨터의 처리 능력은 최초의 컴퓨터보다 10만배 이상 향상되었으며, 통신의 발전, 디지털 기술의 융합으로 스마트 기기들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인간 사회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도 기존의 단순한 컴퓨터 간의 연결에서 웹상에서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해진 웹 2.0의 시대가 되어 개방, 참여, 공유, 집단 지성을 가능하게 하고, 여기에 컴퓨터와 사람이 협력하게 하는 인공지능 컴퓨팅의 단계인 웹 3.0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현재 학생들이 살아갈 세상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술과 기능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가르치고 있는 기술과 기능과는 다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렇게 급변하는 21세기를 살아갈 수 있도록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2)에서는 변하지 않는 지식 체계 및 가치 체계를 전달하고 응용능력을 키워주기 위해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과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들을 제시하였다. 21세기 교육역량에는 크게 학습자 역량과 교수자 역량이 있는데 학습자의 역량을 먼저 살펴보면 <그림 1>과 같이 기초능력 개발과 인성 개발, 경력 증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림 1> 21세기 학습자 역량
21세기 학습자 역량의 첫 번째 영역은 기초능력개발로 창의적 능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협력,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예술적 사고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영역인 인성 개발은 배려, 전심전력, 도전의식, 윤리의식 등의 현재 학생들이 많이 부족한 인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사회적인 능력과 유연성, 자기주도성, 리더십, 책무성 등을 기를 수 있는 경력 증진 영역이 있다. 반면 21세기 교수자 역량은 <그림 2>와 같이 제시하였다.
<그림 2> 21세기 교수자 역량
21세기 학습자를 이끌어가고 교수 학습을 담당할 교수자들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사회적 능력, 유연성,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윤리의식, 열정 등의 기본 소양과 실제 교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관련된 내용 전문성, 학습자와의 관계 형성, 수업 설계 및 개발, 학습 환경 조성, 평가 및 성찰, 대외 협력 관계 형성, 업무 성과 관리 등이 포함된 실천 역량으로 분류되고 있다.
전통적인 학교 체제에서의 학습을 떠올려보면 교실이라는 특정한 물리적 공간에서 정해진 수업 시간에 따라 획일화된 서책형 교과서로 3R(읽기, 쓰기, 셈하기)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받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 공간, 도구, 강의 내용, 강의 방법 등에 제한이 있는 전통적인 학교 체제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교육으로 발 디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바로 스마트 교육인 것이다. 이를 위한 21세기의 핵심역량은 <그림 3>과 같이 3R이 아닌 4C(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로 요약할 수 있다. 알 수 없는 미래를 살아갈 우리의 학생들에게 21세기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21세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스마트 교육의 구성 요소
초등 영어과 스마트 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적이 21세기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on), 협업능력(Collaboration), 창의성(Creativity),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라면, 본 장에서는 초등 영어과 스마트 교육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스마트 교육의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많은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스마트 교육을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기기들을 활용하는 것으로만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교육에서 말하고 있는 스마트란 일반적으로 이야기 하는 스마트 기기에서의 스마트와 그 의미가 다르다. 스마트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2011)에서는 스마트 교육의 구성요소를 <그림 4>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그림 4> 스마트 교육의 구성 요소
먼저, 스마트(SMART) 교육의 S(Self-directed)는 학생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의미한다. M(Motivated)은 다양한 학습활동 및 학습내용들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을 의미하다. A(Adaptive)는 과거의 전통적인 획일적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 개별의 수준과 적성을 고려한 수업을 의미하고, R(Resource Enriched)은 디지털 콘텐츠 및 온라인 학습과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풍부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T(Technology Embedded)는 교실 공간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학습을 지원하는 기술기반의 학습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