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냉전과 신중국 외교의 형성

냉전과 신중국 외교의 형성

(1949~1955년 중국의 외교)

뉴쥔 (지은이), 박대훈 (옮긴이)
한국문화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1,200원
22,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200원 -10% 960원 16,320원 >

책 이미지

냉전과 신중국 외교의 형성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냉전과 신중국 외교의 형성 (1949~1955년 중국의 외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88968172984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5-10-31

목차

머리말

제1장/ 동맹과 대립
들어가며
제1절 철의 장막
제2절 동맹의 시작
제3절 대립의 길

제2장/ 천하해방과 국가안보
들어가며
제1절 혁명과 국방
제2절 원월항법(援越抗法)
제3절 압록강에서 삼팔선까지

제3장/ “냉전공존(冷戰共存)”의 길
들어가며
제1절 한국전쟁 휴전
제2절 인도차이나 정전
제3절 타이완 해협 고담(高談)

제4장/ 신중국(新中國) 외교의 형성
들어가며
제1절 소량의 원자탄 제조
제2절 중간지대의 재건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뉴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뉴쥔은 1954년 충칭(重慶) 출신으로, 베이징 런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1985년부터 런민대학과 중국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를 거쳐 2000년부터 베이징 대학 외교학과 교수로 재직중으로 냉전사와 중미관계 분야에서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현재 중미관계사 연구회 비서장이며 중국 국제전략기금회 특별초청 연구원이고, 영국 Cold War History 잡지의 편집위원이자, <국제경제평론> 잡지의 부총편집장이다. 아래 저작 외 다수의 편저, 논문, 역서를 발표 하였다. 《從延安走向世界:中國共 : 黨對外關系的起源》,福建人民出版社1992年出版。 《從赫爾利到馬歇爾:美國 : 處國共矛盾始末》,福建人民出版社1989年出版。 《同牀?夢:美國的歐洲戰略》,鷺江出版社2000年出版。
펼치기
박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대학 국제관계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으로 석사학위를, 외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중국 부자를 말한다』(2015, 경북대학교출판부), 역서로 『냉전과 신중국 외교의 형성』(2015, 한국문화사), 편저로 『생생 중국어 그림 사전』(2012, 라이브중국어)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동맹과 대립

들어가며


1948년 11월 14일 중공군이 선양을 점령하고 얼마 뒤 중국 공산당 지도자는 “향후 1년 이내에 국민당 반동정부를 완전히 타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선포하였다. 그들은 이때부터 외교적 실천을 시작하고 미래 신정권의 대외정책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그들은 이미 형성된 국제정치와 관련된 개념을 정립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국제정치의 중심과 미소 냉전의 특징, 중국혁명과 미소 냉전의 관계 및 냉전체제 하의 중공의 미소 정책에 대한 시각 등을 포함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관계는 중공혁명과 자연스런 연관관계를 가진다. 즉, 본질적으로 혁명실현이라는 목표로부터 출발하였다. 혁명의 사유방식과 혁명운동의 기본이념, 특히 마지막 단계에서의 대규모 군중동원과 폭력투쟁의 진행과 형태 그리고 이러한 형태의 근저에 반영되고 있는 중공 영수들의 정치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인지 등은 필연적으로 그들의 외교정책결정 과정에서 중미, 중소관계의 변화방향을 규정하게 되었다.
실천적인 측면에서 중공 중앙은 신중국 건국 이전에 외부세계와 연결고리가 있었다. 당연하지만 주로 소련과 코민테른과의 관계였고 건국 이전에 이미 소련 고위층과 비밀리에 상호방문이 진행되고 있었다. 이밖에 중공은 외국의 민족혁명운동 조직과 간헐적인 관계를 지속하고 있었다. 항일전쟁 중에는 미국, 영국의 중국주재 기구들과도 왕래가 있었다. 특별히 2차 세계대전 종료를 전후해 중공 지도자들은 미국대사인 헐리(Patrick Jay Hurley)와 미국 대통령 특사인 마샬(George Catlett Marshall)과도 접촉이 있었다. 건국 즈음해서는 미국대사인 스튜어트(John Leighton Stuart)와 비밀 담판을 벌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외관계들은 비록 풍부하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중공 지도자들의 관념, 대외기구의 조직 및 인원구성 등의 문제에 관해서는 중요한 흔적을 남겼다. 역사의 출발점이 이렇게 복잡하였기 때문에 신중국과 미소 양국 간의 관계가 후에 극단으로 치닫게 된 이유를 분석할 필요가 생긴다. 실제로 중소동맹과 중미 간 대립은 일련의 사건들이 누적되면서 생긴 결과이다. 만약 후에 구체적이고 우발적인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신중국 외교는 다른 형태를 띠게 되었을 것이고, 합리적인 가정을 하였더라면 신중국의 대외관계 형태는 적어도 그렇게 격렬하거나 극단적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7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