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옴므 파탈, 돈 주앙과 카사노바

옴므 파탈, 돈 주앙과 카사노바

(치명적 유혹과 남성성)

송희영 (지은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20,000원 -0% 0원
0원
2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옴므 파탈, 돈 주앙과 카사노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옴므 파탈, 돈 주앙과 카사노바 (치명적 유혹과 남성성)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8173554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6-04-25

책 소개

저자는 대표적인 독일 문학작품들을 통해 '옴므 파탈', 즉 '유혹과 남성성'의 문제가 시대에 따라 어떤 변화양상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돈 주앙'과 '카사노바'가 '옴므 파탈'의 원형으로서 어떠한 특징들을 보여주는지 고찰하고 있다.

목차

· 책을 시작하며

1. 젠더학적 관점에서 본 사회문화적 구성물로서의 ‘남성성’

주디스 버틀러 - 젠더수행과 유동적 주체
남성연구와 코넬의 ‘만들어진 남성성’

2. 원형으로서의 돈 주앙과 카사노바

돈 주앙과 카사노바의 탄생
1. 티르소 데 몰리나의 「세비야의 농락자와 초대받은 석상」
2. 역사적 실존인물 카사노바
‘옴므 파탈’- 유혹과 남성성

3. 에테아 호프만의 「돈 주앙」 - 이상추구의 낭만주의자 돈 주앙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와 에테아 호프만의 「돈 주앙」
1.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
2.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와에테아 호프만의 노벨레 「돈 주앙」 비교
낭만주의자 돈 주앙과 무한한 동경
1. 낭만주의자 돈 주앙
2. 낭만주의의 ‘무한한 동경’ - 돈나 안나

4. 슈니츨러의 「카사노바의 귀향」 - 노년의 카사노바와 정체성

빈 모더니즘과 작가 아르투어 슈니츨러
노년의 카사노바, 과거와 현재에서 방황하다
1. 작품의 서사구조
2. ‘그리 늙지 않은, 그러나 결코 젊지 않은’ 카사노바
3. 카사노바의 과거를 숭배하는 인물들
4. 과거의 영광과 초라한 현실에서 방황하는 카사노바
노년의 카사노바, 여전히 카사노바인가?
1. 노년의 카사노바와 마지막 모험
2. 마르콜리나, 세기 전환기의 신여성?
3. ‘왕년의 카사노바’, 남성성에 깊은 상처를 받다
4. 카사노바, ‘유혹자’에서 ‘성 추행범’으로 전락하다
5. 노년의 정체성, 베네치아의 스파이로 막을 내리다

5. 호르바트의 「돈 주앙, 전쟁에서 돌아오다」- 전쟁의 트라우마, 가치관의 전도, 남성성의 위기

전통적 가치관의 붕괴와 여성운동
돈주앙의 가치관의 혼돈과 죽음의 에로스
1. 작가 외덴 폰 호르바트
2. 작품의 서사구조와 정거장식 드라마
3. 돈 주앙과 35명의 여성- 가치관의 혼돈과 이상적인 남성상의 부재

6. 프리쉬의 「돈주앙 또는 기하학에 대한 사랑」- ‘남편이자 아버지’로 전락하는 반(反)-돈 주앙

프리쉬의 돈 주앙 - ‘반 돈주앙’적 주인공
1. 작가 막스 프리쉬
2. 작품의 서사구조와 구성 방식
3. 전통적 ‘유혹자’의 변형과 반-돈 주앙
에로스인가, 기하학인가?
1. 에로스와 기하학의 세계
2. 남편이자 아버지로 전락하는 돈 주앙

7. 한트케의 「돈 주앙, 자신에 대해 말하다」 - 여성의 구원자이자 멘토로서의 돈 주앙

욕망의 제어자이자 여성의 추앙을 받는 한트케의 돈 주앙
1. 작가 페터 한트케
2. 작품의 서사구조와 구성방식
3. 한트케의 돈 주앙, 욕망의 제어자이자 관찰자
여성의 구원자이자 영적 교류자로서의 돈 주앙
1. 돈 주앙, 여성의 외로움과 고독을이해하는 구원자이자 멘토
2. 현현의 순간, ‘관찰·통찰·깨달음·나눔’
‘돈 주앙 신화’ 비틀기
1. 남녀 관계의 전도 - 사랑을 주도하는 여성들
2. 전도된 시종 이미지와 시종의 여성관

8. 드르벤카의 「유고슬라비아의 지골로」 - 타문화와 거래된 사랑

유고전쟁과 비극적 마초 ‘브랑코’
1.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독일로의 이주민 유입
2. 작가 조란 드르벤카
3. 작품의 서사구조와 구성
4. 유고전쟁과 가난, 동족상잔의 비극
타문화와 지골로의 정체성
1. 크로아티아를 등지고 독일로 밀입국
2. 타문화와 정체성, “나는 누구인가?”
3. 이국의 성을 훔치는 여성들, 호모 섹스 그리고 사디스트 지골로 브랑코
안티-발전소설, 거래된 사랑과 비극적 결말

· 책을 마무리하며

· 참고문헌

저자소개

송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덕여자대학교 독일어과 교수. 독일 지겐대학교에서 독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대소설, 미디어, 젠더, 비교문학, 문화콘텐츠 관련 분야의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독일문학과 영화의만남」, 「영화와 TV로 보는 독일문학」이 있다. 주요 연구로는 「새로운 인간으로서의 영웅메타포-국가사회주의 남성성 고찰」, 「현대 ‘남성성’의 창조-광고에 나타난 ‘남성의몸’」, 「‘만들어진 남성’-빌헬름제국시대의‘군사적 남성성’」, 「거세하는 여성, 메데아의 딸들-그리스 신화와 그림동화에 나타난 악녀와 마녀의 형상화」, 「팜므 파탈: ‘룰루 신화’에 드러난 유혹과 죽음의 에로스-베데킨트의 드라마와 팝스트의 영화 비교」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90년대 초반 페미니즘 진영에서는 명칭을 ‘젠더연구’로 바꾸고, 성을 문화적 구성물로 규정하여 남성/여성의 두 성을 뛰어넘는 다양한 형태의 젠더 관계를 구상함으로써 기존의 고정된 성 정체성을 수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젠더 트러블Gender Trouble」(1990)에서 푸코의 계보학적 권력 분석을 라깡의 정신분석학,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에 연결하여 성 정체성을 본질적으로 태어나거나 주어지는 고정된 주체가 아닌, 언제나 해체 또는 재구성될 수 있는 유동적인 주체 개념으로 규정함으로써 구성주의적 젠더 논의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
버틀러는 가부장제사회에 반기를 들고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의 명제로부터 더 나아가, 여성/남성의 섹스·젠더·섹슈얼리티 모두 사회문화적 구성물이라 정의하였다. 섹스는 여성/남성의 생물학적 몸의 차이, 젠더는 사회·문화적 차이, 섹슈얼리티는 성적 실행의 근원적 욕망을 나타낸다. ‘성 정체성이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이라는 버틀러의 주장은 그녀의 ‘수행적 젠더정체성’의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것은 젠더이론에 획기적인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버틀러의 ‘수행적 젠더정체성’은 ‘행위의 반복적 수행을 통한 젠더의 재의미화’로 설명될 수 있다. 버틀러에 의하면, 한 사회 내에서 젠더(여성/남성) 정체성은 사회적으로 이미 고정되거나 선천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행위를 통해 반복적으로 구성되는 수행적 특징을 지닌다. 버틀러의 이론에서 ‘수행성’은 핵심개념이다. ‘수행성’은 다시 ‘수행’과 구분된다. ‘수행’, 즉 ‘퍼포먼스Performance’가 일회적 행위라면, ‘수행성Performativity’은 오랜시간 동안 반복되는 행위과정을 뜻한다.
먼저, ‘수행Performance’을 살펴보자. ‘수행’, 즉 ‘퍼포먼스’에는 퍼포먼스를 행하는 ‘수행자Performer’가 있다. 예를 들어, 연극 또는 공연에서 수행자는 퍼포먼스를 행하는 배우와 연기자를 말한다. 이들은 연극과 공연에서 드라마대본 혹은 시나리오에서 이미 고정되고 확정된 주인공을 연기한다. 이를 사회문화적인 맥락으로 확대해보면, ‘수행’이란 일종의 ‘일관된 서사’로서 한 사회 내에서 통용되는 가치관, 정체성, 규범 등을 상징하며, ‘수행자’는 이를 행하는 주체를 나타낸다. 여기서 ‘수행’은 이미 정해진 일관된 서사를 ‘수행자’인 주체(여성/남성)에게 강요하고 꼼짝 못 하도록 고정한다. 이렇듯 주체에 대해 일관된 서사를 강요하고, 주체를 억지로 틀에 맞출 경우 폭력이 작동될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고정된 주체설정의 폭력성이다.
반면, ‘수행성Performativity’은 수행자를 전제하거나 고정하지 않는다. 수행성에서 중요한 것은 반복의 과정이다. 즉 수행성은 행위의 반복성과 맞물려 있고, 이 반복은 주체를 가능하게 하며, 그 주체의 일시적 조건을 구성해 준다. 따라서 모든 젠더정체성은 행위의 반복을 통해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당대 사회가 ‘여성적/남성적’이라고 허용된 행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자가 바로 ‘여성/남성’이 되는 것이다. 즉 ‘여성/남성’이 된다는 것은 당대 사회의 문화적 규범을 익히고, 사회가 요구하는 젠더정체성을 반복적으로 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젠더의 수행성은 첫째, 젠더화된 본질에 대한 기대가 젠더 자신을 자기 외부에 가져다 놓게 된다는 메타랩시스(상관관계가 먼 단어를 사용해 다른 의미를 지칭하는 과도한 비유법) 주변을 맴돈다. 둘째, 수행성은 한 번의 행위가 아니라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행위이다. 이 행위는 일부 문화적으로 유지된 시간적 지속성으로 이해되는 동시에 몸의 맥락에서 몸의 자연화를 통해 그 효과를 획득한다.

그런데 이러한 젠더정체성은 선험적으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 그 사회가 처한 상황과 문화적 공간의 규범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일 뿐이다. 이러한 반복적인 수행은 젠더주체를 통제하고 규범을 강화할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 새로운 의미로 열릴 미시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즉, 모든 젠더주체는 지배담론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복종하고 순응도 하지만, 다른 한편 그 담론을 ‘다르게 반복하기’를 통해 지배권력에 저항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젠더주체는 권력에 대해 복종도 하는 반면, 저항과 반항도 수행한다는 점에서 양가성을 띠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반복과 같은 ‘복종적 반복’이 있는가하면, 기존의 권력과 제도에 속하면서도 기존의 권력을 간섭하고 뒤흔드는 ‘전복적 반복’도 존재한다. 이것이 바로 ‘다르게 반복하기’이자 ‘수행성’이 지닌 전복가능성이다. 버틀러는 이 ‘다르게 반복하기’가 기존의 제도와 권력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한다.
결국 다르게 반복하기를 통한 ‘수행적 젠더 정체성’은, 모든 젠더정체성이야말로 행위 중에 가변적으로 구성되는 일시적이고 잠정적인 양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선천적으로 ‘고정된 정체성’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진정한 젠더 정체성’에 대한 모든 전제 조건들도 허구로 드러난다. 버틀러는 여성/남성의 진정한 젠더정체성이란 더 이상 불가능하며, 심지어 ‘여성인지/남성인지’의 구분도 규정할 수 없음을 선언함으로써 퀴어이론을 대표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7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