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8896817460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7-02-24
책 소개
목차
■서문 / v
제1장 들어가며
제2장 17・18세기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에 관한 소고 Grammatica Sinica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의 비교 연구
2.1. 들어가며
2.2. 출판 배경 및 판본
2.3. Grammatica Sinica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의 구성 및 특징 비교
2.3.1. 기본 구성
2.3.2. 명사의 품사전환과 격
2.3.3. 양사
2.3.4. 형용사
2.3.5. 피동태
2.3.6. 부정
2.3.7. 중국어의 시제
2.4. Arte de la Lengua Mandarina만의 특징
2.4.1. 종교적인 예문
2.4.2. 발화의 세 가지 방식
2.4.3. 조동사
2.4.4. 의문
2.4.5. 불변화사
현존하는 최초의 중국어 문법서는 무엇인가?
제3장 19세기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
3.1. Robert Morrison의 A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15)
3.2. Joseph Henry Premare의 The Notitia Linguae Sinicae(1728/1847)
3.3. Karl Gützlaff의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
3.4. Wilhelm Lobscheid의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
3.5. Joseph Edkins의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 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 판본과 번역본 문제
제4장 근대 서양 선교사 문법서들의 비교 연구
4.1. 근대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把字句 연구
4.1.1. 17・18세기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把字句
4.1.2. 19세기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把字句
4.1.2.1. A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15)와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의 把字句
4.1.2.2.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의 把字句
4.1.2.3. The Notitia Linguae Sinicae(1847)의 把字句
4.1.2.4.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 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의 把字句
4.2. 근대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피동문 연구
4.2.1. Grammatica Sinica(1653/1696)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 (1684/1703)의 피동문
4.2.2. The Notitia Linguae Sinicae(1728/1847)의 피동문
4.2.3. A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15)의 피동문
4.2.4.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의 피동문
4.2.5.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의 피동문
4.2.6.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의 피동문
4.3. 근대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사동문 연구
4.3.1. The Nottia Linguae Sinicae(1728/1847)의 사동문
4.3.2.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의 사동문
4.3.3.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의 사동문
4.3.4.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의 사동문
4.4. 근대 서양 선교사 중국어 문법서들의 시간 체계 연구
4.4.1. Grammatica Sinica(1653/1696)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 (1684/1703)의 시제 체계
4.4.2. The Notitia Linguae Sinicae(1728/1847)의 시제 체계
4.4.3. A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15)의 시제 체계
4.4.4.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의 시제 체계
4.4.5.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의 시제 체계
4.4.6.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 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의 시제 체계 근대 서양 중국학자들의 문법서에 관하여
제5장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1932, 1937)에 관한 소고
5.1.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전반적인 체계
5.2.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구문 연구
5.2.1.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피동문
5.2.2.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把字句
5.2.3.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사동문
5.3.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시간 체계 연구
5.4.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의 보어 체계 연구
The Chinese Repository에 관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장
들어가며
흔히들 중국어에 관한 최초의 문법서라고 하면 馬建忠의 ≪馬氏文通≫(1898)을 떠올린다. 그러나 이 말은 완전히 맞지는 않은데, 왜냐하면 ≪馬氏文通≫ 이전에 중국을 방문한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이미 여러 문법서들이 편찬된 바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馬氏文通≫은 중국인이 쓴 중국어에 관한 최초의 문법서라고 정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馬氏文通≫ 보다 훨씬 이전에 출간된 근대시기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를 다룰 것인데, 이들은 크게 [17?18세기 - 19세기 - 20세기 초]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17세기와 18세기는 양적으로도 질적으로도 근대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어 문법에 대한 연구가 싹을 튼 맹아기라고 할 수 있으며, 문법서 또한 그리 많지는 않은데, 본고에서는 주로 Martini와 Varo의 문법서를 다룰 것이다.
19세기는 앞선 세기의 연구 성과를 기초로 하여 영국·독일·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서양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다양하게 분석한 시기로 문법서 역시 가장 많이 출간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총 5권의 문법서를 다루고자 한다.
20세기 초는 점차적으로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어 문법에 대한 연구가 쇠락하는 시기로 서양 선교사 문법서들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했다고 평가받는 Jozef Mullie의 문법서를 마지막 장에서 주로 다룰 것이다.
요컨대 본고에서 다룰 문법서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Martino Martini의 Grammatica Sinica(1696)
■Francisco Varo의 Arte de la Lengua Mandarina(1703)
■Robert Morrison의 A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15)
■Karl Friedrich G?tzlaff의 Notice On Chinese Grammar(1842)
■Josheph Premare의 The Notitia Linguae Sinicae(1728/1847)
■Wilhelm Lobscheid의 Grammar of The Chinese Language(1864)
■Joseph Edkins의 A Grammar of the Chinese Colloquial Language commonly called the Mandarin Dialect(1864)
■Jozef Mullie의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the Chinese Language Vol. I(1932), Vol. II&III(1937)
그림 1-1 근대 서양 선교사들의 대표적인 문법서
이에 본고에서는 각 시기의 문법서들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 및 문법서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시대에 따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서양인의 시각에서 과연 당시 중국어를 어떻게 분석하였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사실 오늘날의 중국 언어학 역시 서구 언어학의 렌즈를 통해 중국어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교사들의 중국어 문법서 연구와 어느 정도 닮아 있다.
필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가 중국어에 대한 분석 및 여러 문제들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고, 중국어 문법 및 문법사(文法史)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지니는데 있어서 디딤돌이 되기를 희망한다.
제2장
17·18세기 서양 선교사들의 문법서에 관한 소고*Grammatica Sinica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의 비교 연구
2.1. 들어가며
1898년도에 출간된 馬建忠의 ≪馬氏文通≫은 중국 최초의 문법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馬氏文通≫은 중국인이 쓴 최초의 문법서이지 중국어에 관한 최초의 문법서는 아니다. 사실 중국어 문법서들은 ≪馬氏文通≫보다 훨씬 오래전인 17세기부터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이미 쓰여졌으며, 19세기에 정점에 이르렀다가, 20세기 초에 급격히 쇠퇴하였다.
본장에서 논의할 Martino Martini의 Grammatica Sinica와 Francisco Varo의 Arte de la Lengua Mandarina는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쓰여진 가장 오래된 문법서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Bertuccioli (1996, 1998, 2003), Franco & Richards(1996), Coblin & Levi(2000), Sandra(2000), Partenicao(2011) 등 서구 학자들에 의해 먼저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중국에서는 최근 姚小平(2001, 2011), 張西平(2011), 董海櫻(2011), 李文娟(2013) 등에 의해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이 두 권의 문법서들이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에 본장에서는 Grammatica Sinica와 Arte de la Lengua Mandarina의 전반적인 체계와 특징 및 배경 등의 비교를 통해 두 책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문법학사에서 이들 문법서들의 위치와 의미를 재고해 보고자 한다.
2.2. 출판 배경 및 판본
물론 Martino Martini 이전에도 중국어에 대한 연구들은 존재했었다. 예를 들면 Matteo Ricci(1552-1610)는 중국어는 서면어와 구어의 차이가 크고, 비록 복음절도 존재하기는 하지만 주로 단음절 위주의 단어들로 구성되며, 5개의 성조가 존재한다고 하였다.
Nicolas Trigault(1577-1628)는 알파벳과 성조 기호들을 조합한 로마자 표기 방식을 적용시킨 ≪西儒耳目資≫(1626)를 편찬하는 등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어에 대한 관심과 학구열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었다. 책 제목에서의 ‘西儒’는 서양 선교사를 가리키며, ‘耳目資’는 눈과 귀를 돕는다는 것으로 즉 서양 선교사들로 하여금 중국어를 보고 듣는 것을 돕는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명말 청초(明末淸初) 시기에 서양 선교사들의 입국과 선교가 빈번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국어 문법서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도 높아졌다. 姚小平(2001:475)에 따르면 Grammatica Sinica 이전에 Juan Cobo(1546-1592)의 Arte de la Lengua China라는 문법서가 1592년도에 출간된 적이 있다고 하지만, 아쉽게도 이 책은 유실되어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먼저 Martini의 생애를 간단히 살펴보면, 그는 1614년 이태리의 알파인 지역에 위치한 도시 트렌토(Trento)에서 태어났다. 그는 1632년도에 예수회에 가입하였으며 당대의 명망 높은 중국학자였던 Athanasius Kircher 신부로부터 수학을 배웠으며, 1643년도에 중국에 들어와서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사실 Martini는 중국 문법학 이전에 중국 지리학과 역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는데,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Martini가 자신의 여행 경험과 예수회의 기존 연구에 근거하여 중국의 15개의 성(省)을 다룬 지리서 Novus Atlas Sinensis(1655)와 고대 중국의 역사를 다룬 Sinicae Historiae Decas Prima Res a gentis origine and Christum natum in extrem Asia(1658)가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유럽어로 쓰여진 최초의 중국 정통 역사서라는 점에서 의의가 큰데(Mungello 1985/2009:203), Martini는 이 책에서 중국 왕조를 연대적으로 정리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