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8411940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06-18
책 소개
목차
❙파트 3❙ 서면어
제5장 서면어 문법과 통사
5.1
5.2
5.3
제6장 중국어 불변화사
6.1 ‘之’의 예
6.2 ‘者’의 예
6.3 ‘也’의 예
6.4 ‘於’의 예
6.5 ‘乎’의 예
6.6 ‘諸’의 예
6.7 ‘邪’와 ‘耶’의 예
6.8 ‘與’의 예
6.8.1 불변화사 ‘與’
6.8.2 동사 또는 명사로서 ‘與’
6.9 ‘而’, ‘爾’, ‘耳’의 예
6.9.1 ‘而’의 예
6.9.2 ‘爾’, ‘耳’의 예
6.10 ‘焉’과 ‘然’
6.10.1 ‘焉’의 예
6.10.2 ‘然’의 예
6.11 ‘則’과 ‘且’의 예
6.11.1 ‘則’의 예
6.11.2 ‘且’의 예
6.12 ‘若’과 ‘如’의 예
6.13 ‘以’와 ‘爲’
6.13.1 ‘以’의 예
6.13.2 ‘爲’의 예
6.14 ‘哉’와 ‘乃’의 예
6.15 시간 지시 불변화사
6.16 강화 불변화사
6.17 의문 불변화사
6.18 문미 불변화사
결 론
제7장 문체의 등급과 더 높은 단계
7.1 문체의 여러 등급
7.2 문체의 일반적인 규칙
7.3 선택된 예에 의해 설명되는 선행 진술
7.3.1 같은 생각이 다양하게 표현됨
7.3.2 여러 가지 문체의 예
제8장 수사 표현
8.1 대조
8.2 반복
8.2.1 문자의 반복
8.2.2 구의 반복
8.2.3 말장난
8.3 점층법
8.4 교훈적인 질문
8.5 묘사
8.5.1《맹자孟子》의 예
8.5.2《서경書經》의 예
8.5.3《중용中庸》의 예
8.5.4 구양수의 예
8.6 문체의 30가지 종류
8.6.1 ‘或’
8.6.2 ‘也’
8.6.3 ‘者’
8.6.4 ‘之’
8.6.5 ‘得之’
8.6.6 ‘謂之’
8.6.7 ‘之謂’
8.6.8 ‘以’
8.6.9 ‘足以’
8.6.10 ‘不以’
8.6.11 ‘之以’
8.6.12 ‘可’
8.6.13 ‘可以’
8.6.14 ‘爲’
8.6.15 ‘必’
8.6.16 ‘無’
8.6.17 ‘莫大乎’
8.6.18 ‘而’
8.6.19 ‘而不’
8.6.20 ‘其’
8.6.21 ‘得其’
8.6.22 ‘兮’
8.6.23 ‘奚’
8.6.24 ‘矣’
8.6.25 ‘未嘗’
8.6.26 ‘曰’
8.6.27 ‘有’
8.6.28 ‘於是乎’
8.6.29 ‘然’
8.6.30 ‘焉’
8.7 여러 가지 비교
8.7.1 단순 비교
8.7.2 비유
8.7.3 은유
8.7.4 우언
제9장 구
9.1 한 자로 이루어진 구
9.2 두 자로 이루어진 구
9.3 세 자로 이루어진 구
9.4 다섯 자로 이루어진 구
● 역주자의 말 및 해설
1. Notitia Linguæ Sinicæ의 기본 구성
2. Notitia Linguæ Sinicæ의 특징
2.1 구어와 서면어의 대칭과 비대칭
2.2 예문의 중요성
2.3 중국어의 시간 체계
3. Notitia Linguæ Sinicæ의 한계
4. 결론
5. 참고문헌
● 색인
책속에서
중국어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점을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동사가 표현되었는지 그리고 종종 그것은 무슨 문자로 이해되었는지. 2. 표현되었거나 이해되었든 동사의 주격이 무엇인지. 3. 동사의 목적어가 무엇인지. 4. ‘거룩하신 하나님’, ‘베드로의 아들’과 같이 상호 관련이 있는 어떠한 명사와 형용사가 연결되었는지 등이 있다.
불변화사는 보통 문법학자들에 의해 몇몇 부류─연결사(copulatives), 이접 접속사(disjunctives), 증대사(augmentatives), 지소사(diminutives)─로 구분된다. 우리가 불변화사를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하는 데에는 실질적인 장점은 없다. 나는 중국어를 외국어의 세부 항목에 그대로 적용할 생각이 전혀 없다. 반대로 나는 선교사들이 그들의 생각을 분석하는 연습을 가능한 빨리 유도하고, 그들로부터 방언을 없애서 그들이 순수 중국어로 무장하게 하는 것이 나의 열렬한 바람이다.
창공에 별들이 있고 들판에 꽃들이 있는 것과 같이 수사는 담화의 문체 안에 있다. 별들은 하늘을 비추고, 초원은 꽃들과 함께 미소 짓는 것처럼, 수사는 언어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상한 문체를 갈망하는 작자들은 그렇게 많은 별이 하늘을 어떻게 빛나게 하는지, 사랑스러운 각종 꽃이 신록의 초원을 어떻게 꾸미는지를 주목해야 하고, 수사에 따라 언어의 문체를 다양화해야만 하는데, 이들이 부족하여 경직되고 무미건조하게 나타나거나, 또는 너무 지나쳐 복잡하거나 넘치는 것으로 나타나게 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