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의 경제와 생활

일본의 경제와 생활

문현일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500원 -5% 2,500원
500원
1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9,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의 경제와 생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의 경제와 생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일본문화
· ISBN : 9788968494543
· 쪽수 : 182쪽
· 출판일 : 2017-12-27

책 소개

인문학 전공학생, 특히 일본어문학 전공학생이 일본과 일본인들의 경제와 경제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터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된 책이다. 일본인들을 상대로 한 대화나 활동을 할 때에 일반상식으로 필요한 정도의 경제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목차

1. 경제와 경기 / 9
2. 돈과 환율, 엔고 / 19
3. 은행의 역할과 금융 / 31
4. 국가의 경기부양 정책 / 43
5. 전후 일본경제사1 / 63
전후 일본경제사2 / 75
6. 거품경제의 붕괴와 장기불황 / 95
7. 회사와 주식/증권 / 113
8. 일본의 회사와 경영 / 125
9. 일본인의 일반적인 경제생활 / 137
10. 한일경제관계사 / 159
참고문헌 / 179

저자소개

문현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시즈오카현 느마즈시 출생 일본 메이지 대학교 상학부 상학과 졸업 시사일본어학원, 삼성그룹 인력개발원 등에서 강사로 재직하던 중 한국으로 귀화 한국외국어대학 일본어학과 학사과정 수료 부산 정보대학에서 일본어 전임강사 제주도청 국제자유도시주진단 지방계약직 공무원 2005~현재 전남대학교 초빙교원(부교수대우) 1999.01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수평가원 문법교재 ‘일본어 eye 문형, 독해편1, 2’ 1999.01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수평가원 회화교재 ‘일본어 eye 회화편1, 2’ 2000.10 : 일서 ‘우리 아이를 살리는 한 마디, 망치는 한 마디’(스즈키 히로시 저) 번역 2001.05 : 일서 ‘해고하지 않는 회사가 성장한다’(에이키와 고키 저) 번역 2001.12 : 부산정보대학 일어교재 ‘관광 일본어’ 2011.05 : 5ㆍ18기념문화센터 ‘5ㆍ18민주화운동’ 번역. 광주광역시 2011.08 : 전남대학교 일어교재 ‘기초일본어’(3인 공저) (주)보고사 2013.08 : 초등학교 창가교과서 대조번역(상)(중)(하)(7인공역) 제이엔씨
펼치기

책속에서

1. 경제(経済(덧말:けいざい))

ㆍ경제
인간의 생활의 필요한 재화(財貨(덧말:ざいか))나 서비스(용역)를 생산/분배/소비하는 활동. 또한 그것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 (≒ 돈이나 돈과 상품의 교환)에 관련된 것들

ㆍ경제(経済(덧말:けいざい))의 어원
경세제민(経世済民(덧말:けいせいさいみん))의 약어 : 유학(儒學)의 용어로 세상을 잘 다스리고 백성들을 구
제하는 것. 그런 정치, 통치, 행정 (≒ 経國済民(덧말:けいこくさいみん))
에도(江戸)시대 말기에 고전파경제학의 서적들이 들어오면서 political economy의 번역어로 쓰이게 된다 (≒ 이재(理財(덧말:りざい))

ㆍ경제학
한정된 자산(資産(덧말:しさん))/자원(資源(덧말:しげん))의 가장 적합한 (낭비를 없애고 효율을 높이는) 배
분(配分(덧말:はいぶん))(자원의 최적배분)을 생각하는 학문
- 미시경제학(ミクロ経済学(덧말:けいざいがく)) : 개인이나 가정, 회사 등 가계(家計(덧말:かけい))의 경제학
- 거시경제학(マクロ経済学) : 세계, 국가, 사회단체 등의 대규모 경제학
■ 경제학에는 순수학문으로서 경제에 관련된 현상을 추구하는 측면과 동시에 경제적 사회문제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기가 기대되는 응용적인 부분이 있다.
사회문제의 예 : 실업문제, 물가상승(인플레이션), 빈부격차 등

ㆍ경제적인 사람의 행동
경제적으로 이성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합리적경제인(合理的(덧말:ごうりてき)経済人(덧말:けいざいじん))) :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사람.
(→ 최근에는 인간행동의 심리학적 측면(비합리성)을 고려하는 “행동경제학”이 등장)

2. 경기(景気(덧말:けいき))

ㆍ경기
자원의 분배가 적합한지 아닌지 그 상황이나 체감
- 경기가 좋다(景気(덧말:けいき)がいい, 好景気(덧말:こうけいき), 好況(덧말:こうきょう)) :
자원 분배가 잘 되어서 많은 자원을 회수하고 있는 상태와 그 느낌
- 경기가 나쁘다(景気(덧말:けいき)が悪い, 不景気(덧말:ふけいき), 不況(덧말:ふきょう)) :
자원의 분배가 잘 안 되어서 자원회수가 적은 상태와 그 느낌

ㆍ어떤 상황에 경기가 좋다고 느끼는가?
(수급곡선(需給曲線)으로 생각해봄)

■ 인플레이션(インフレーション(インフレ))
①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상품이 많이 팔리는 상태) → ②물가(物価(덧말:ぶっか))가 상승 → ③
일시 소비자 생활이 어려워짐 → ④공급자 (기업)에게 들어가는 이익/수익이 증
가 → ⑤기업의 투자 증가, 사업 확장 → ⑥일자리 증가, 직장인들의 급요 상승 → ⑦소비자들의 구매의욕 상승 → ⑧물가 상승 → ⑨국가의 경제규모가 늘어남 (GDP 증가)
- 기 업 : 팔리는 상품량이 계속 증가하고 수익이 증가하는 상황
- 소비자 : 수입이 증가, 사고 싶은 것들이 계속 많이 생기는 상황

■ 데플레이션(デフレーション(デフレ))
①수요가 공급보다 적음 → ②물가(物価(덧말:ぶっか))가 하락 → ③일시 소비자는 살기 좋아
짐 → ④공급자(기업)에게 들어가는 이익/수익이 감소 → ⑤기업의 투자 축소, 사
업 축소 → ⑥일자리 감소, 직장인들의 급요 감소 → ⑦소비자들의 구매의욕 하락 → ⑧물가 하락 → ⑨국가의 경제규모가 줄어듦(GDP 감소)
- 기 업 : 팔리는 상품량이 계속 감소하고 수익이 감소하는 상황
- 소비자 : 수입이 감소, 사고 싶은 것들이 적고나 있어도 못 사는 상황

ㆍ일본의 경기 침체 : 디플레이셔너리 스파이럴
(진행형 데플레이션, デフレ・スパイラル)
디플레이션 상태가 계속되면서 시장이나 경제규모가 축소되어 가는 현상
- 원인 : 유동성선호(流動性(덧말:りゅうどうせい)選好(덧말:せんこう))에 의한 유동성의 함정(流動性(덧말:りゅうどうせい)の罠(덧말:わな))에 빠진 상태

3. 일본의 경기 지수
호경, 불황 등을 알아보는 방법

대표적인 경지지수 3개
ㆍ경기동향지수(景気動向指数(덧말:けいきどうこうしすう)) : 경기 동향의 지표가 되는 지수
일본 내각부(内閣府(덧말:ないかくふ))가 매월 발표
https://www.esri.cao.go.jp/jp/stat/di/di.html
■ 선행지수(先行指数(덧말:せんこうしすう)) : 경기 동향을 미리 알 수 있는 지수. 12항목
- 신규구인수(新規求人数(덧말:しんききゅうじんすう)) 앞으로 인력이 필요하다고 할 때 늘어남
- 신설건설주택착공건평면적(新設住宅着工床面積(덧말:しんせつじゅうたくちゃっこうゆかめんせき)) 건설업 종사자/원재료/시설 등
- 실질기계수추(実質機械受注(덧말:じっしつきかいじゅちゅう)) 생산업의 가동/예상
- 동증주가지수(東証株価指数(덧말:とうしょうかぶかしすう)) 투자자들의 예상 등
■ 일치지수(一致指数(덧말:いっちしすう)) : 지금의 경기상태를 알 수 있는 지수. 11항목
- 대규모전력사용량(大口電力使用量(덧말:おおぐちでんりょくしょうひりょう)) 공장 대형업소 등의 가동상황
- 소정외노동시간지수(所定外労働時間指数(덧말:しょていがいろうどうじかんしすう)) 추가적인 업무(잔업/야간근무)
- 상업판매량(소매업)(商業販売量(덧말:しょうぎょうはんばいりょう)(小売業(덧말:こうりぎょう))) 생필품 등 판매량
- 유효구인배율(有効求人倍率(덧말:ゆうこうきゅうじんばいりつ)) 지금 필요한 인력 등
■ 지행지수(遅行指数(덧말:ちこうしすう)) : 과거의 경기상태를 알 수 있는 지수. 6항목
- 가계소비지출(家計消費支出(덧말:かけいしょうひししゅつ)) 물가 경기를 반영
- 법인세수입(法人税収入(덧말:ほうじんぜいしゅうにゅう)) 회사 등 수입에 부과
- 완전실업률(完全失業率(덧말:かんぜんしつぎょうりつ)) 즉시 실업되지 않음 등
※ 일반적으로 지행지수는 경기예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ㆍ경제성장률(経済成長率(덧말:けいざいせいちょうりつ)) : GDP(GNI)의 성장률
GNP(국민총생산)
→ (일본기업의 해외진출 : 외국의 생산액도 가산) →
GDP(국내총생산)
→ (외국에서 생산되나 국내로 들어오는 액수가 빠짐) →
GNI(국민총소득)
∙ 내각부(内閣府(덧말:ないかくふ))가 4반기마다(3개월에 1번, 1년에 4번) 발표
https://www.esri.cao.go.jp/jp/sna/menu.html

- 명목성장률(名目成長率(덧말:めいもくせいちょうりつ)) : 숫자 그대로 본 성장률
- 실질성장률(実質成長率(덧말:じっしつせいちょうりつ)) : 물가의 변동을 감안한 성장률
※ 성장률의 평가 : 잠재성장율(潜在成長率(덧말:せんざいせいちょうりつ))을 기준으로 평가 (연 2% 정도)
GDP규모를 고려
GDP규모 : https://metrocosm.com/how-we-share-the-world/

ㆍ일은단관(日銀短観(덧말:にちぎんたんかん))
(전국기업단기경제관측조사(全国企業短期経済観測調査(덧말:せんこくきぎょうたんきけいざいかんそくちょうさ)))
: 전국의 기업 경영자를 상대로 한 앙케이트 조사. 인본은행이 4반기마다 발표 https://www.boj.or.jp/statistics/tk/index.htm/

참고사이트
・ 日経経済指標ダッシュボード
httpss://vdata.nikkei.com/economicdashboard/macro/
・ 日経ビジネスリーダー 統計・指標
https://www.nikkei.com/biz/report/

경제와 경기 복습

경제(経済(덧말:けいざい))
경제
1. 인간의 생활의 필요한 ( )나 ( )를 ( , , )하는 활동. 또한 그것을 통해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

경제(経済)의 어원
2. ( )의 약어로 ( )이라는 뜻. 일본에서는 에도(江戸)시대 말기에 고전파경제학의 서적들이 들어오면서 political economy의 번역어로 쓰이게 되었는데 초기에는 ( )라는 말도 쓰였다.

경제학
3. 한정된 ( , )의 가장 적합한 ( )을 생각하는 학문. 크게 나눠서 개인이나 가정, 회사 등 가계(家計(덧말:かけい))의 경제학인 ( )와/과 세계, 국가, 사회단체 등의 대규모 경제학인 ( )의 2가지가 있다.

4. 경제적으로 행동해야 할 이류는?

경기(景気(덧말:けいき))
5. 경기는 무엇을 말하는 단어인가?

6. “경기가 좋다/나쁘다”라는 말은 어떤 말인지 설명하시오.

7. 인플레이션과 데플레이션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가 설명하시오.

8. 현재 일본이 빠진 경기 침체 상태를 뭐라고 하나요?

9. 일본의 경기를 알아보고자 할 때 대표적인 경지지수 3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