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광주극장

광주극장

위경혜 (지은이)
  |  
전남대학교출판부
2018-12-28
  |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9,000원 -10% 2,000원 500원 1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광주극장

책 정보

· 제목 : 광주극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연극/영화
· ISBN : 9788968495823
· 쪽수 : 160쪽

책 소개

국내 유일하게 남은 단관 극장인 광주극장에 관한 책이다. 저자는 극장 설립자를 포함한 광주극장과 인연을 맺은 사람들, 광주극장의 장소적 성격, 그리고 도시의 역사와 영화 기술 발달에 따른 광주극장의 여러 모습을 소개한다.

목차

사진으로 보는 광주극장 / 6
들어가며 / 38

1. 광주극장 이전의 극장 / 40

2. 광주극장 문을 열다 / 46

3. 광주극장과 사람들 / 52
1) 사업가이자 교육자 최선진 / 52
2) 호남의 극장왕 최선진 / 56
3) 광주극장과 인연, 문화 엘리트 최남주 / 61
4) 지금-여기 광주극장을 만드는 사람들 / 71

4. 광주극장의 장소성 / 77
1) 오락장으로서 광주극장 / 78
2) 계몽과 공론장으로서 광주극장 / 95

5. 광주극장의 이야기 / 106
1) 극장에 부는 ‘근대의 바람’과 <팔도강산>에 대한 ‘국가의 바람’ / 106
2) <성춘향>과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 그리고 광주극장 / 113
3) 1968년 광주극장의 재건축 / 121
4) 1970년대 광주극장의 ‘장내 방송’ / 125
5) ‘80년 광주’ 이전과 이후 광주극장 / 133

6. 테크놀로지 발달과 상영 환경 변화 / 140
1) 멀티플렉스 등장과 예술영화전용 상영관으로 전환 / 140
2) 다시 극장의 전성시대 / 153

나오며 / 157
참고문헌 / 159
본문 사진 목록 / 162

저자소개

위경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Austin)에서 영화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Irvine) 동아시아문화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원 방문연구자 그리고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였다. 2023년 현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이자 사회학과 강사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돌아올 수 없는’ 경계인 최남주』(2022), 『굿쟁이, 로뗀바리, 이동영사: 순회 영화 상영 구술 채록 자료집』(2021), 『광주극장』(2018), 『한국의 극장』(2017), 『호남의 극장문화사: 영화수용의 지역성』(2007), 그리고 『광주의 극장 문화사』(다지리, 2005) 등이 있다. 공저로 『은막의 사회문화사』(2017), 『혼종성 이후』(2017), 『한국의 근현대 통치질서와 지역사회의 대응』(2017), 그리고 『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2012) 등이 있다. 논문은 「1960~1970년대 경기도 주요 도시 흥행 자본과 극장문화: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2023),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2021), 「한국전쟁과 부산의 극장 문화」(2021), 「동아시아의 문화냉전과 영화의 위상: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2020), 「문화냉전의 지역성-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2018),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의 지역사(성) 연구와 구술사 방법론」(2018), 「1960년대 ‘지방’ 상설극장 개관의 역사성」(2017), 「극장 문화의 지역성―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2017), 「인천의 극장 문화: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를 중심으로」(2016), 「식민지 엘리트의 ‘상상적 근대’: 최남주의 활동을 중심으로」(2015),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2014), 「식민지 근대문화의 혼종성: 1920년대 목포극장과 동춘서커스」(2013),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2012),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2010),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2010),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들어가며

1895년 개관한 한국 최초의 극장인 인천의 애관극장은 현재 멀티플렉스로 바뀌었고, 1907년 대한제국 한성에서 문을 열었던 단성사는 폐관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개관한 광주극장은 두 극장보다 늦게 등장했으나 이제 유일하게 남은 단관(單館) 극장으로서 위엄을 지키고 있다. 광주극장은 1933년 법인을 설립하고, 1935년 10월 1일 개관한 이래 2018년 현재까지 85년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광주극장과 맺은 인연은 이 책을 쓰는 출발점이었다. 광주극장의 역사나 흔적은 신문과 잡지 그리고 보고서와 연구 논문까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필자 역시『광주의 극장 문화사』(다지리, 2005)와 『한국의 극장』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을 통해서 광주극장의 역사에 관하여 기술한 적이 있다. 하지만 모두 부분적으로 언급된 것이기 때문에 이제까지 다양한 매체에서 언급된 내용을 망라하여 광주극장의 완결판을 쓰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품게 되었다. 광주극장을 자주 들락거렸으며 극장에 대하여 글을 써왔다는 이유로 다소 무모한 계획을 세운 것이다. 하지만 필자의 욕심이 지나친 것임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극장은 시간의 박제품인 영화와 유한한 존재로서 현재의 삶을 살아가는 인간이 만들어낸 수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공간이다. 그곳은 연표와 숫자만으로 설명하기에 너무나 무한한 곳이다. 이 책을 기획한 이유는 광주극장 건물의 유한성과 ‘특별한’ 극장의 전성시대 광주극장의 ‘길’에 대하여 주목했기 때문인지 모른다. 시간의 더께가 만들어낸 중후한 모습이 언젠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불안함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서 햇살 한 줄기에도 따뜻한 기운을 쏟아내는 건물의 곳곳과 극장과 인연을 맺은 사람들 그리고 광주극장이라는 장소를 다시 생각해보았다. 나는 오늘 광주극장에 관한 이야기(들)를 하나 더 보태려고 한다.


01
광주극장 이전의 극장

영화와 극장은 제국-식민 관계와 그에 따른 근대 도시의 형성과 함께 등장했다. 한국의 극장 역사는 1895년 인천의 애관극장에서 서막을 열었으며, 1903년 한성의 단성사가 이를 이었다. 광주의 근대 극장 역사는 일제강점기 광주읍(光州邑) 서성정(西城町)에 자리한 광주좌(光州座)에서 시작된다. 1917년에 출간된 『광주지방사정』이 광주좌를 ‘근년에 신축’한 광주 유일의 극장으로 소개하기 때문이다. 이때 광주좌는 엄밀한 의미에서 영화관은 아니었다. 1919년 8월 4일과 1920년 5월 12일 매일신보가 광주좌에서 ‘독자위안회’를 명목으로 예기(藝妓)들의 공연을 선보인다는 기사를 게재하면서 광주좌를 ‘연극장’으로 소개하기 때문이다. 1931년 10월 7일 광주 지역 언론 매체는 화재 발생에 따른 광주좌의 전소(全燒)를 알리는데, 이때 광주좌를 활동사진 상설관으로 소개한다.
광주좌가 문을 연 1917년 지역 최초로 전기를 도입한 광주전등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전기의 출현은 대규모 노동자를 고용할 수 있는 공장 설립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는 동시에 영화를 소비할 수 있는 대규모 관객의 도래를 뜻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광주좌의 주인 후지가와 다다요시(藤川忠義)는 관객 정원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총 건평 120평 규모의 목조 2층 건물을 지었다.
일본인이 세운 광주좌는 근대 이전 조선인이 즐긴 원형의 ‘판놀이’ 문화와 다른 ‘사각의 닫힌 공간’의 출현을 의미한다. 놀이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판놀이와 달리 광주좌는 한쪽 면을 향하여 시선을 고정하는 시각 체제를 형성했다. 즉, 대상을 통제하는 권력의 시선이 작동하는 공간이 등장한 것이다. 광주좌는 불온(不穩)의 공간이기도 하였다. 광주좌 인근에 일제 침략과 함께 도래한 근대화의 외부적 존재인 유곽(遊廓)이 자리했기 때문이다. 광주좌가 자리한 동네는 일본인 이주자들이 정착하면서 일본식 여관과 요리집 그리고 일본인 기녀(妓女) 게이샤(藝者)가 처음으로 등장한 곳이었다.
광주 지역 최초의 상설 영화관은 광남관(光南館)이었다. 한국영상자료원의 『1910 식민지시대의 영화검열 1934』에 따르면, 1927년 10월 1일 광남관은 활동사진 상설관으로 기록된다. 광남관의 경영자는 일본인 구로세였고, 관객 정원은 543명이었으며 일본 닛카츠(日活) 계통의 영화를 상영했다. 1930년 4월 2일 중외일보에 “광주학생사건운동으로 다사다난한 광주시민대중을 위로코저” 광남관에서 ‘광주시민위안영화대회’를 개최한다는 기사가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당시 광남관이 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광남관 이후 제국관(帝國館)이 존재했다. 제국관의 개관 시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930년 3월 30일 중외일보 기사에 따르면 광남관과 비슷한 시기에 존재했거나 광남관의 후신인 것으로 보인다. 제국관은 경찰서와 법원 등 일제의 행정 기관이 몰린 본정(本町, 현재 충장로 1가)에서 개관했다. 제국관의 관주(館主)는 구로세 도요조(黑瀨豊藏)였으며, 극장 규모는 건물 상하층과 장외를 포함하여 총 700여 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일본의 대표적 영화사 도호(東寶)와 신코(新興)의 작품을 배급받아 양화(洋畵)와 함께 상영했다. 제국관은 광주좌와 마찬가지로 일본인을 우선 고려한 종족(ethnic) 차별적인 공간이었지만, 관공서 근무자와 같은 일본어 해독 능력이 있는 조선인들도 드나들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경성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영화 소비 시장이 좁은 광주에서 일본인에 한정한 극장 운영은 수지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혼종(混種)의 공간으로서 제국관의 존재가 대외적으로 알려진 것은 <아리랑 후편>(이구영, 1930)의 상영 도중 발생한 화재 사건 때문이다. 1930년 3월 26일 700여 명의 관객이 <아리랑 후편>을 관람하던 도중 이웃집에서 발생한 화재를 영사실 화재로 착각하면서 극장 밖으로 대피한 것이 중외일보를 통해 알려진 것이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최대 흥행작 <아리랑>(나운규, 1926)의 후속편이자 조선 최고의 스타 나운규가 출현한 영화를 일본인 극장에서 상영한 것은 영화 소비 시장이 협소한 지방 도시의 극장이 혼종의 공간이었음을 말한다.
1938년 매일신보는 1937년 1월부터 12월 말까지 광주에 존재했던 극장들의 관람료를 게재하는데, 이때 광주극장과 제국관 이외에 황금좌(黃金座)를 추가하여 소개한다. 하지만 매일신보 기사를 제외한 여타의 자료에서 황금좌에 관련된 정보가 부재하기 때문에 해당 극장의 운영자와 운영 기간 그리고 극장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게다가 일제강점기 제국관 매니저(manager)로 일한 전기섭의 동생 전경섭에게 황금좌에 대한 기억 또는 구술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황금좌의 존재를 더욱 모호하게 만든다. 여하튼 1945년 해방을 맞은 광주에 자리한 극장은 광주극장과 제국관이었다. 적산(敵産)으로 처리된 제국관은 공화극장을 거쳐 동방극장으로 이름을 바꿨고, 1970년대 무등극장이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