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락과 예술 사이 극장 간판화가

오락과 예술 사이 극장 간판화가

위경혜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14,250원 -5% 2,500원
카드할인 10%
1,425원
15,32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락과 예술 사이 극장 간판화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락과 예술 사이 극장 간판화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9119370703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3-12-29

책 소개

극장 프로그램의 홍보를 담당하면서 흥행을 이끌었던 극장간판과 간판화가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반부는 극장간판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과 광주광역시(이하 광주) 극장 간판화가의 세대별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극장 프로그램 홍보의 역사를 이해하고 극장간판을 중심으로 상업 미술의 역할과 위상을 재고한다.

목차

1. 여러 이름으로 불린 극장 흥행의 선두주자 / 9

2. 극장간판과 극장 간판화가의 행로 / 15

1) 시대별 극장간판의 내용과 크기 변화 / 15
2) 극장 간판화가의 작업 / 22
3) 극장 간판화가의 다양한 삶의 경로 : 전문 광고업자부터 순수미술 화가까지 / 27

3. 광주지역 극장 간판화가 / 33
1) 극장 간판화가의 특징 / 33
2) 1세대 극장 간판화가 / 36
3) 1950년대 초반 서울로 자리를 옮긴 극장 간판화가 / 40
4) 2세대 극장 간판화가: 박광식과 오주치를 중심으로 / 44
5) 극장 간판화가의 영화 제작 현장 진출: 정우택을 중심으로 / 55
6) 3세대 극장 간판화가: 광주극장 박태규를 중심으로 / 59

4. 극장 간판화가의 생애와 일상: 김창중의 사례 / 62
1) 성장 과정과 어린 시절의 경험 / 62
2) 한국전쟁 발발과 극장간판 미술의 시작 / 65
3) 극장간판 수습생 경험과 취업 / 67
4) 극장간판 미술의 선구자 김원용과의 조우 그리고 간판화가의 길 / 68
5) 극장 간판화가의 증가와 서울 진출 / 71
6) 광주의 다수 개봉관 미술부장 역임 / 74
7) 극장 간판화가의 노동조합 결성 / 81
8) 서울 생활과 광고사 개업 및 운영 / 83
9) 귀향과 대한극장 미술부장 역임 그리고 삼성광고사 개업 / 84
10) 재개봉관 대상 영화배급사 동업 시작 / 85
11) 극장 간판화가에서 순회영화 흥행사로 / 88
12) 극장 간판화가 이외의 활동과 1980년대 소극장 간판 작업 / 90

5. 극장 간판화가 김창중의 작업 과정 / 95
1) 극장간판 그림의 사사 방식 / 95
2) 극장간판 제작과정 / 96
3) 극장간판 제작 현장 / 98
4) 극장 간판화가의 임금체계 / 99

6. 사진으로 보는 극장 간판화가의 작업과 일상 / 101

7. 맺음말 / 150


참고문헌 / 152
부록 1. 김창중 구술 증언 채록 / 154
부록 2. 연도별 정우택의 미술 분야 참여 영화 목록 / 227

저자소개

위경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Austin)에서 영화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Irvine) 동아시아문화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원 방문연구자 그리고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였다. 2023년 현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이자 사회학과 강사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돌아올 수 없는’ 경계인 최남주』(2022), 『굿쟁이, 로뗀바리, 이동영사: 순회 영화 상영 구술 채록 자료집』(2021), 『광주극장』(2018), 『한국의 극장』(2017), 『호남의 극장문화사: 영화수용의 지역성』(2007), 그리고 『광주의 극장 문화사』(다지리, 2005) 등이 있다. 공저로 『은막의 사회문화사』(2017), 『혼종성 이후』(2017), 『한국의 근현대 통치질서와 지역사회의 대응』(2017), 그리고 『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2012) 등이 있다. 논문은 「1960~1970년대 경기도 주요 도시 흥행 자본과 극장문화: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2023),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2021), 「한국전쟁과 부산의 극장 문화」(2021), 「동아시아의 문화냉전과 영화의 위상: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2020), 「문화냉전의 지역성-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2018),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의 지역사(성) 연구와 구술사 방법론」(2018), 「1960년대 ‘지방’ 상설극장 개관의 역사성」(2017), 「극장 문화의 지역성―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2017), 「인천의 극장 문화: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를 중심으로」(2016), 「식민지 엘리트의 ‘상상적 근대’: 최남주의 활동을 중심으로」(2015),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2014), 「식민지 근대문화의 혼종성: 1920년대 목포극장과 동춘서커스」(2013),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2012),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2010),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2010),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01. 여러 이름으로 불린 극장 흥행의 선두주자
1998년 4월 ‘CGV강변’이 대한민국 최초로 멀티플렉스의 역사를 시작하기 이전까지 전국의 지배적인 극장 형태는 단관(單館) 극장이었다. 단관 극장(이하, 극장)은 한 개의 스크린을 갖춘 곳이었다. 한 건물에 스크린 한 개였기 때문에 영화는 개봉 일자에 따라서 차례차례 상영되었다. 극장은 영화뿐만 아니라 악극과 쇼(show)와 같은 공연 예술을 무대에 올렸다. 극장 프로그램을 관객에게 알리기 위하여 일간지 광고와 포스터(poster) 그리고 간판 그림을 동원하였다. 전국 모든 극장에 프로그램을 알리는 간판이 걸렸으며, 도시의 경우 신문 광고를 통한 홍보방식이 더해졌다. 간판은 정보를 전달하고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오는 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극장간판의 내용과 형식은 프로그램의 주제와 장르를 비롯한 관객의 무의식과 욕망을 투사하여 구성되었다. 극장간판은 건물의 외부와 극장이 자리한 도시 또는 지역의 주요 길거리에 내걸렸다.
극장에서 간판 그림을 그린 사람들은 다양한 이름을 지녔다. 그들은 극장미술가, 선전미술인, 광고미술인, 극장 광고미술인 그리고 극장 간판화가 등으로 불렸다. 페인트공 또는 도장공(塗裝工) 심지어 ‘간판쟁이’로 불렸다. 극장간판을 그린 사람들을 이르는 호칭의 다양성은 흥미롭다. 이는 그들 권익을 대변하는 공식 단체의 부재에서 일차적으로 기인한다. 전국의 영사기사 모임인 한국영사기사협회가 결성되어 그들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드러낸 것과 비교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극장 간판화가에 대한 호칭은 간판쟁이라는 용어와 연관된다. ‘장이’의 사투리인 ‘쟁이’라는 접미사에서 볼 수 있듯이, 간판쟁이는 제도 교육을 받지 못한 사회적으로 낮은 신분이라는 편견을 내포한 호칭이었다. 간판과 같은 상업 미술은 창작이 아니라 모방 행위이므로 순수미술에 미치지 못한다는 위계적인 평가와 태도를 드러낸 것이다.
극장 프로그램의 홍보와 선전에 종사한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대접을 못 받는’ 직업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그들은 극장 관련자들로부터 전문적인 직종으로 대우를 받았으며, 그들의 작업에 대한 자부심 역시 순수미술 화가와 다르지 않았다. 극장간판을 그린 사람들 대부분은 ‘극장광고 미술인’으로 불리길 원하였다. 극장간판은 ‘회화, 문자 디자인, 구성, 문안 그리고 착상 등이 모두 조화를 이루는 종합미술품’이었기 때문이다. 간판화가가 보기에 “순수 쪽에서 아무리 인물을 잘 그려도 극장간판은 못” 그렸다. 또한, “일반 유화 물감에 비해 페인트로 인물을 살리는 작업은 두 배 이상의 기술과 정성이 필요”하였다. 게다가 “10가지가 채 못 되는 제한된 색깔로 다양한 효과를 내야 하는” 기교를 요구하였다. 무엇보다도 극장간판을 그린 사람들 가운데 적지 않은 숫자의 경력자들이 전문 간판제작업자 또는 영화 제작 스태프로 일하였다. 일부는 정통 화단(畫壇)에 등단하여 서양화와 한국화 화가로서 명성을 날렸다.
1960년대 3일에 1번꼴로 새로운 영화가 개봉하면서 극장간판은 전성기를 이뤘지만, 1990년대 중후반부터 차츰 사라졌다.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실사 간판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단성사와 명보시티와 같은 서울의 주요 개봉관이 부정기적으로 실사 간판을 내걸기 시작하면서 극장간판은 사람의 손을 떠나갔다. 그즈음 극장간판에 관한 이야기는 신문기사에서 간헐적으로 등장했지만, 간판 그림을 그렸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 또는 평가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2년 국립민속박물관이 『의성 성광성냥공업사와 극장 간판화가 백춘태: 사라져가는 직업』을 발간하였다. 이는 극장간판을 그린 자에 대하여 도서 형태로 출간한 최초의 기록물이었다. 해당 자료는 단성사에서 일한 백춘태의 구술을 재구성하여 극장간판의 제작과정과 도구 그리고 극장 미술부 종사자의 생활을 알려준 점에서 주목되었다. 하지만 서울의 개봉관과 백춘태 개인의 삶에 한정하면서 다양한 삶의 행로를 걸어간 극장 간판화가 일반에 관한 이야기를 알 수 없다.
『오락과 예술 사이 극장 간판화가』는 극장 프로그램의 홍보를 담당하면서 흥행을 이끌었던 극장간판과 간판화가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반부는 극장간판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과 광주광역시(이하 광주) 극장 간판화가의 세대별 특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극장 프로그램 홍보의 역사를 이해하고 극장간판을 중심으로 상업 미술의 역할과 위상을 재고한다. 또한, 극장 간판화가에서 출발하여 광고와 영화 제작 현장 등 다양한 영역으로 나아간 극장 간판화가의 활동을 살핀다. 후반부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활동한 극장 간판화가의 생애에 집중하여 영화인의 다채로운 삶을 기술한다.
극장 간판화가 생애의 면면을 이해하기 위하여 만난 사람은 광주에서 주로 활동한 김창중(金昌中)과 박광식(朴光植) 그리고 오주치(吳周治) 등이다. 이들은 극장간판에서 미술인의 삶을 시작했으나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 점에서 주목된다. 김창중은 인생의 대부분을 극장 간판화가로 살았으며, 박광식은 10여 년 동안 극장 현장에 있다가 화단에 정식으로 등단하였다. 또한, 오주치는 목포에서 극장 간판화가의 삶을 시작하여 서울 개봉관 아카데미극장을 거쳐 광주 개봉관 무등극장에서 미술부장으로 일하였다. 이후 순수화가로 전신(轉身)하여 활동하고 있다. 김창중은 장인(匠人)을 강조하고 싶은 필자의 바람과 달리 ‘화가’에 방점을 두고 ‘극장광고 미술인’으로 불리길 원하였다. 박광식은 극장 간판화가로서 자신의 이력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박광식에 따르면, 극장 간판화가 이력의 순수화가 대부분이 과거 경험에 대하여 “자신을 비하한다고” 생각하여 언급을 꺼리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광주지역 세대별 극장 간판화가에 관한 정보는 김창중의 자서전과 소장 자료 그리고 구술 증언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기억력이 좋고 일상을 기록하는 습관을 지닌 김창중은 자신의 인생을 연대기적으로 정리하여 「삶의 회상과 흔적 – 삶의 되새김과 자국」을 발간하였다. 2015년 4월 20일 초판을 인쇄하였고 2021년 10월 30일 재판을 출간한 그의 자서전은 정식 출간물이 아니다. 하지만 그의 기록은 자서전을 넘어서 극장간판 홍보의 역사와 지역 영화인의 삶을 살필 수 있는 유용한 가치를 지닌다. 김창중과 수차례 만나면서 자서전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구술 증언의 현장성을 확보하였다. 박광식과 오주치의 만남은 몇 차례에 그쳤으나 그들의 구술 증언을 문헌 또는 신문기사와 교차 검증하여 내용의 풍요로움을 기하였다.
『오락과 예술의 사이 극장 간판화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관 극장 시기 극장간판의 내용과 형식 그리고 극장 간판화가의 활동에 관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살핀다.
둘째, 광주지역 세대별 극장 간판화가의 활동에 관하여 기술한다. 극장 간판화가들은 선후배 사이라도 스승과 제자 관계를 형성하면서 도제(徒弟) 방식으로 그림을 배웠다. 또한, 그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사사(師事) 받은 순서와 활동 시기 등에 따라서 세대를 형성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한 사람은 1세대, 그들로부터 사사 받은 미술인은 2세대 그리고 이후 세대는 3세대로 정의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