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한국의 극장](/img_thumb2/9791128801099.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한국영화
· ISBN : 9791128801099
· 쪽수 : 102쪽
· 출판일 : 2017-01-31
책 소개
목차
01 ‘최초’의 극장: 애관극장
02 ‘수도 서울’ 극장의 자존심: 단성사
03 일제강점기 도시와 극장: 군산극장
04 박람회와 동춘서커스: 목포극장
05 현존 유일의 단관 극장: 광주극장
06 실버 관객을 위한 ‘오래된’ 극장: 미림극장
07 군인과 지역민의 극장: 군인극장
08 순회 영업과 이동영사: 가설극장
09 예술·독립영화전용관: 강릉 독립예술극장 신영과 대구 오오극장
10 우리 동네 ‘마을 극장’: 작은 영화관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지방’의 극장을 중심축으로 설정하여 한국의 극장 역사를 재구성했다. 이는 서울 중심 역사 기술의 일반화 오류를 극복하고, 전체 문화를 구성하는 개체로서 ‘지방’ 극장 문화의 다양성을 확인하며, 이를 전체와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한 것이다. 나아가 관객 주체의 ‘지방’ 극장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적 실천 양상 규명은 문화 향유 주체로서 지역과 지역민을 역사 서술(敍述)의 전면에 내세운다. 따라서 이러한 각 지역과 지역 간 극장 문화 전개의 독자성과 연관성을 포착하는 노력은 역사적 과정(historical process)으로써 영화와 사회 전체를 조망하는 작업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 “극장의 역사 쓰기” 중에서
항구 도시 특성상 일찍부터 유흥업이 발달한 군산은 1910년대 이미 경제 활동 여성 열 명 가운데 여섯 명 이상이 예창기작부(藝娼妓酌婦)로 일하고 있었다. 조선인이 빈곤할수록 유곽은 번창했다. 1930년대 세계 공황으로 산비탈 조선인들이 하루 끼니를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권번(券番)이 벌어들인 하루 평균 수입 33원은 경성의 백화점 점원 월급 30원보다 많았다. 소비 능력이 있는 기생이 극장을 찾는 것은 당연했다.
- “일제강점기 도시와 극장: 군산극장” 중에서
1960년대 후반 오일장 관습이 여전히 일상생활을 지배한 지역에서 거주한 관객들은 ‘장날’ 읍내에서 각자 일을 마치고 군인극장에 들렀다. 일례로, 육군 3군단 수송부는 원통리에서 20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인제읍 가아리 상촌과 같은 오지 마을까지 차량을 보냈고, 트럭을 이용한 지역민들은 군인극장인 설악극장에서 ‘극장 구경’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관객들은 1960년대 후반까지 설악극장 무대에 오른 국극(國劇)과 악극(樂劇) 공연을 관람하는 한편으로, 영화를 보면서 신문물을 경험했다. 지역민들은 집으로 향하는 길에 다시 군부대 트럭을 이용했는데, 이때 극장 입장표는 승차권을 대신했다. 요컨대, 군인극장은 강원도 비도시 지역에서 군(軍)이 주관하고 민(民)이 함께한 군민(軍民) 협동의 문화 공간이었다.
- “군인과 지역민의 극장: 군인극장”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