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혜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구가톨릭대학교 영문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영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2001), 《한국의 탈식민 페미니즘과 지식생산》(2004), 《대항지구화와 ‘아시아’ 여성주의》(2008), 《다인종 다문화 시대의 미국문화 읽기》(2009)가 있으며, 역서로 《다른 세상에서》(2003), 《포스트식민 이성 비판》(2005, 공역), 《교육기계 안의 바깥에서》(2006), 《다른 여러 아시아》(2011),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2013), 《지구화 시대의 미학교육》(2017)이 있다.
펼치기
박주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영미언어문화학부 영어영문학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와 미국 위스콘신대학 교에서 영문학 석사, 퍼듀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탈모더니즘 시대의 인문학》, 《탈식민주의》(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Toward the Aesthetics of Allegory: The Shadow of Benjamin in Paul de Man〉 등이 있다.
펼치기
위경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Austin)에서 영화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Irvine) 동아시아문화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고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원 방문연구자 그리고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활동하였다. 2023년 현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이자 사회학과 강사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돌아올 수 없는’ 경계인 최남주』(2022), 『굿쟁이, 로뗀바리, 이동영사: 순회 영화 상영 구술 채록 자료집』(2021), 『광주극장』(2018), 『한국의 극장』(2017), 『호남의 극장문화사: 영화수용의 지역성』(2007), 그리고 『광주의 극장 문화사』(다지리, 2005) 등이 있다. 공저로 『은막의 사회문화사』(2017), 『혼종성 이후』(2017), 『한국의 근현대 통치질서와 지역사회의 대응』(2017), 그리고 『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2012) 등이 있다.
논문은 「1960~1970년대 경기도 주요 도시 흥행 자본과 극장문화: 모빌리티 시스템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2023), 「1970년대 초반 도시와 극장 위생: 부산의 부전역 주변 재개봉관을 중심으로」(2021), 「한국전쟁과 부산의 극장 문화」(2021), 「동아시아의 문화냉전과 영화의 위상: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2020), 「문화냉전의 지역성-대전문화원의 활동을 중심으로-」(2018),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의 지역사(성) 연구와 구술사 방법론」(2018), 「1960년대 ‘지방’ 상설극장 개관의 역사성」(2017), 「극장 문화의 지역성―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2017), 「인천의 극장 문화: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를 중심으로」(2016), 「식민지 엘리트의 ‘상상적 근대’: 최남주의 활동을 중심으로」(2015),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2014), 「식민지 근대문화의 혼종성: 1920년대 목포극장과 동춘서커스」(2013),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2012),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2010), 「한국전쟁 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2010),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2008) 등이 있다.
펼치기
장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감리교신학대학교 종교철학과(학사)와 신학대학원(석사), 영국 The University of Leeds, Dept.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MA)에서 공부한 후 영국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Dept. Theology & Religions에서 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사회과학연구(SSK 소형 ‘한국의 종교와 사회진보’와 중형 ‘사회적 진보와 공화적 공존: 개인, 종교, 공동체’), 일반공동연구(개신교 근본주의와 한국사회의 갈등), 저술지원(종교와 담론), 그리고 미국 템플턴재단이 지원하는 연구 Religious Competition and Creative Innovation(CRCC, Univ. of Southern Carlifornia) 등에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이 생산되었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 개신교의 근본주의적 특성에 대한 종교 사회학적 고찰-형성과 발전을 중심으로」, 「2005년과 2015년 인구 총조사 결과 비교를 통해서 본 불교, 개신교, 천주교 인구 변동의 특징-연령과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 사건에 대한 기독교 담론 분석: 성명서들과 선언문들 그리고 공식 입장 표명들을 중심으로」, 「유형별로 나누어 본 문화적 혼성화-종교문화를 중심으로」, 「도시 발전과 초대형 교회 건축: 서울을 중심으로」, 「종교와 사회적 자본: 한국 개신교회를 중심으로」, 「혼성화 이론으로 바라본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새로운 개신교 문화담론을 향한 한 시도」,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현상에 대한 뒤르케임주의적 한 이해」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종교/문화 사회학, 사회/문화 이론 및 연구 방법론이다. 현재 인덕대학교 교목으로 사역 중이다.
펼치기
이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 연극 분야에서 전통연희를 전공했고, 민속의 재현과 변환 문제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계속해왔다. 최근에는 사회구조와 지식 패러다임의 전환에 주목해 민속학의 이론적 체계를 재정립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2010년 9월 전주에서 안동으로 터전을 옮겨 2025년 현재 국립경국대학교(구 국립안동대학교) 인문ㆍ문화학부 문화유산학전공 교수로 있으면서 학생들과 함께 교학상장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교정과 봉합 혹은 탈주와 저항의 사회극』, 『우리 문화 연구의 새지평』 등이 있고, 대표 논문으로는 「무위의 공동체와 민속의 공동성」, 「공동체문화와 커먼즈, 가치실천 양식들」, 「손상된 지구에서 레퓨지아 만들기」 등이 있다.
펼치기
선영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국립통번역대학원(ESIT-Paris 3)에서 번역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문자(文字)와 번역의 윤리」, 「차이의 윤리와 동화(同化)의 미학」, 「텍스트의 안과 밖」, 「허구의 번역과 위장의 전략」, 「다언어 글쓰기와 번역의 문제」 등이 있고, 역서로 『인생의 첫출발』, 『부정한 미녀들』, 『아마두 쿰바의 옛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전혜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같은 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뉴미디어아트, 신체 변형 미술, 바이오아트, 생태 미술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인류세의 미술』,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등을 썼다.
펼치기
이진형 (옮긴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HK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193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소설 이론》,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공저), 《텍스트, 테크놀로지, 모빌리티》(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바흐친의 산문학》(공역), 《각색 이론의 모든 것》(공역), 《모빌리티와 인문학》(공역), 《혼종성 비판》 등이 있다.
펼치기
박규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에서 HK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하와이주립대학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경북대 학교·영남대학교·대구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사 역사의 현장》(공저, 2016), 《이주와 로컬리티의 재구성》(공저, 2016) 등이 있고, 역서로 《희망의 공간》(공역, 2006)이 있다.
펼치기
윤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 몸문화연구소에서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학에서 철학 학사와 석사를 팡테옹 소르본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증오의 프리즘으로서의 일간 베스트 현상 읽기>, <전복적 반사경으로서의 메갈리안 논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등이 있으며, 저서 <헬조선을 망치러 온 구원자, 헬페미>,가 2017년 출간 예정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