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장의 일

교장의 일

(학교 혁신을 위한 교장직무가이드라인)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 (지은이)
교육공동체벗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800원 -5% 0원
720원
22,080원 >
21,600원 -10% 2,300원
0원
2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장의 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장의 일 (학교 혁신을 위한 교장직무가이드라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801877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4-08-26

책 소개

교장은 학교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고, 해야 할까. 이 책은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에서 연구와 토론을 거쳐 만든 교장직무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학교를 혁신하고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하는 ‘좋은 교장’의 역할과 모습을 제시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지금 왜 교장직무가이드라인인가? 6

1부 징검다리 교장직무가이드라인 | 징검다리 교장직무가이드라인 TF

학교장의 지위와 역할? 18
학교장의 직무 원칙 및 실천 과제
1. 교육과정 운영 업무? 22
2. 행정적 업무? 27
3. 학교 구성원 관련 업무? 39
4. 대외 업무? 54

2부 교장의 일, 경험과 성찰을 나누다

1. 교육과정 운영 업무
교육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 | 이희숙? 65
학교의 모든 것은 교육과정이다 | 홍제남? 84
상실의 시대, 학교장의 교육과정 리더십 | 윤상혁? 105

2. 행정적 업무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학교 업무 효율화 | 홍제남? 128
교육활동이 중심이 되는 학교 업무 재구조화 | 이희숙? 154
예산, 임자 없는 돈 굴리기 | 김지용? 178
자율적이고, 교육적이며, 모두를 위한 예산 운용 | 임수경? 187
열려 있는 공간, 생태적 환경으로 바꾸는 학교 | 김두림? 201
학교에는 주인이 없다 | 김지용? 209

3. 학교 구성원 관련 업무
학교라는 정원을 가꾸는 교장 | 박지희? 226
따듯한 교육공동체를 만드는 힘 | 문지연? 244
환대의 마음으로 학생을 만나다 | 이상대? 262
‘좋은 세계’를 꿈꾸며 학생들과 함께한 4년 | 이시우? 275
학생을 둘러싼 관계를 맺고 푸는 전지적 참견자로서의 교장 | 박지희? 289
학부모, 교육의 실질적 주체로 세우기 | 홍제남? 301
학교와 학부모, 진정한 교육의 동반자가 되다 | 위유정? 320
교육활동 보호와 보호자 소통, 둘 다 이루기 위한 노력 | 전인숙? 337
어떤 그릇에도 담기는 물을 배우다 | 유경수? 352

4. 대외 업무
마을과 만나는 학교, 학교장의 역할은 | 류현진? 364
마을 안의 학교와 교사 | 임수경? 377
‘학생의 학습’을 위해 정책과 교육을 조율하기 | 이준범? 391
학교와 교육지원청, 어떻게 협력할까 | 최화섭? 414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한 사람들? 426

저자소개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징검다리)는 유·초·중등학교의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할 목적으로 2016년 1월 만들어진 교육운동단체이다. 징검다리는 비폭력 대화 학부모 연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원탁회의 및 시민의회 실험 등 학교 민주시민교육에서 나름대로 선도적이고 실험적인 작업을 해 왔다. 가장 공들여 온 것은 정치교육 활성화를 위한 보이텔스바흐 3대 원칙 캠페인과 교원 정치기본권 캠페인, 그리고 모의선거교육 전면 실시 캠페인이었다.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실질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교장의 민주주의 철학과 민주적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교장직무가이드라인’도 만들어 냈다. 향후에는 생태전환교육에 치중할 방침이다. 21세기 학교 민주시민교육은 무엇보다도 생태주의 전환의 큰 맥락 속에서 전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징검다리는 ‘가르치지 않는 교육’을 표방하며 서로 배우는 참여 토론 방식을 강조한다. 민주시민교육에서는 지식교육 못지않게 태도교육과 실천 활동이 중요해서다. 민주시민성은 1차적으로 청소년기에 학교와 교실에서 길러져야 한다. 학교가 민주시민교육과 학생 자치 활동을 통해 학생에게 민주시민성을 불어넣는 ‘1차 민주시민성 충전 기지’라면, 징검다리는 ‘2차 민주시민성 충전 기지’라고 할 수 있다.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는 ‘춤추는 민주주의’라는 비전 아래 ‘민주시민성 충전 기지’를 사명으로 삼고 있다. 정치·경제 양극화와 시험 능력주의에 의해 방전돼 기쁨 없는 비실비실한 민주주의가 아니라, 생명력이 넘치는 튼실한 민주주의를 만들어 가는 데 징검다리가 되고자 한다. 김두림 2019~2022 서울노원초등학교 교장.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 전 대표, 현 조직국장. 사람과 자연, 모두에게 정의로운 삶으로 다가가고자 애써 보는 중이다. 김지용 2019~2023 서울 수락중학교 교장. 현재 이우중·고등학교 교장. ‘스스로, 더불어, 한걸음씩’이 삶의 자세가 되도록 애쓴다. 류현진 2019~2022 서울 숭곡중학교 교장. 현재 서울 석관중학교 교사. 33년 동안 같은 지역의 교사로 살아왔고 여전히 학교에서 그리고 마을에서 아이들과의 행복한 만남을 꿈꾸고 있다. 문지연 2021~2024 현재 서울 삼각산고등학교 교장. 학교를 놀이터 삼아, 동료 교사를 친구 삼아 32년을 지냈다. 머뭇머뭇 그럼에도 한 걸음 한 걸음 내딛은 시간들을 새삼스레 되돌아보는 중이다. 박지희 2019~2022 서울도봉초등학교 교장. 교직 2년 차에 해직 교사가 되어 4년여를 보냈고, 20여 년의 담임 교사, 4년의 공모 교장을 거쳐, 다시 1학년 담임 교사로 돌아와 살고 있다. 위유정 2019~2022 서울강명초등학교 교장. 퇴임 후 노령의 ‘댕댕이’와 ‘냥이’를 돌보며 교육 혁신을 위한 개미 시민으로 살고 있다. 유경수 2018~2022 서울 양서중학교 교장. 2023~2024 현재 서울 송정중학교 교장. 사회 교사와 공모 교장을 넘나들며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윤상혁 2023~2024 현재 서울 영림중학교 교장. 전 서울시교육청 교육혁신과, 정책안전기획관 장학사. 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다정한 사람들과 연대하는 삶을 살고자 한다. 이상대 2016~2020 서울 삼정중학교 교장. 푸른들청소년도서관 운영위원장. 교육공동체 벗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퇴임 이후 글을 쓰고 그림도 그리면서 짬짬이 사람을 만나는 시즌 2를 살고 있다. 이시우 2020~2023 서울 효문고등학교 교장. 현재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사. 학생들과 평온한 학교생활을 꿈꾸는 담임 교사. 이준범 2019~2023 서울상천초등학교 교장. 복잡성교육학회 운영위원. 복잡성과 불확실성의 시대에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 더 나은 교육과 학습의 길을 찾기 위해 대화하고 조율하며 실천과 성찰을 거듭한다. 이희숙 2018~2022 서울은빛초등학교 교장. (사)징검다리교육공동체 상임이사. 2011년에 혁신학교와 조우한 것을 시작으로 관련된 여러 활동을 해 왔으며, 지금은 서울혁신교육네트워크 대표를 맡아 많은 교사들과 함께 서울 혁신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고 있다. 임수경 2020~2023 서울유현초등학교 교장. 현재 서울어울초등학교 교사. 배우는 것을 좋아하고, 다큐를 즐겨 보며 생태, 마을, 문화재 공부에 관심이 많다. 전인숙 2022~2024 현재 서울율현초등학교 교장. 예전 혁신학교에서 동료들과 함께 수업과 아이들 이야기에 푹 빠져 살았던 시간이 귀하고 행복했다. 그런 학교를 꿈꾸며 ‘어쩌다 교장’으로 일하고 있다. 최화섭 2018~2021 서울 국사봉중학교 교장. 서울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과 서울시동부교육지원청에서 학교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수리 자연의 품에서 행복한 인생을 꿈꾸고 있다. 홍제남 2019~2022 서울오류중학교 교장. 다같이배움연구소장. 서울시남부교육지원청 교육지원국장으로 명예퇴직 후, 행복한 교육의 길을 만들고자 노력 중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민주 사회의 건강한 발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전문성과 민주적 리더십을 갖춘 학교장부터 만들어 내야 한다. 무려 535만의 학생을 바꾸려면 45만 교사를 바꿔야 하고, 그러려면 1만 2천 교장부터 바뀌어야 한다. 교실은 선생님이 하기 나름이고 학교는 교장 선생님이 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교장이 바뀌면 조만간 평교사와 행정직, 공무직의 일하는 자세가 바뀌고 시나브로 학교의 교육과 문화가 바뀐다.
- 책을 펴내며, 〈지금 왜 교장직무가이드라인인가?〉


내가 보기에, 혁신학교를 내걸고 학교 혁신을 추동해 온 ‘1차 진보 교육감 시대’가 2022년 지방 선거를 계기로 수명이 다한 가장 큰 이유는 학교장의 위치와 역할을 민주적 리더십으로 바꾸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 진보 교육감이 다수였던 시대에도 내건 정책 및 구호와 무관하게 대다수 교장은 과거의 관행에 안주하며 구태의연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학교 현장에서 체감되는 변화 지수는 낮았다. 진보 교육감 시대가 더 나아가지 못하고 좌초한 이유다.
- 책을 펴내며, 〈지금 왜 교장직무가이드라인인가?〉,


오랫동안 학교교육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집중하기보다는 보여 주기 식 전시성 행사, 분절적이고 파편적인 각종 프로그램 운영, 상부 기관의 지시와 통제에 의한 행정 처리가 우선시되어 왔다
학교장은 행정 업무 중심의 학교 시스템을 교육과정 운영에 집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과감히 바꾸고, 학교를 학습 조직화해서 모든 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통해 함께 배우고 성장하면서 교육과정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여건 마련과 지원에 힘을 쏟아야 한다.
학교장 스스로도 행정가의 정체성에 갇히지 않기 위해서는 학교 내외의 교원학습공동체에 적극 참여하여 교육과정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꾸준히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 〈학교장의 직무 원칙 및 실천 과제 - 1. 교육과정 운영 업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