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아시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70133225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02-04-20
책 소개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들어가는 말
제1장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특징
1. 동아시아는 존재하는가 : 하나의 범주로서 동아시아 자본주의
2.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특징
제2장 1997년 동아시아 경제 위기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 1997년 경제 위기는 왜 일어났는가
2. 일본의 금융 불안과 동아시아 위기와의 결합 : '위기의 지역화'와 일본 책임론
3. 동아시아 경제 위기가 주는 교훈
제3장 엔블록은 대안인가 - 동아시아 경제 협력의 필요성
1. 지역 협력이란 무엇인가
2. 왜 동아시아에는 지역 경제 협력이 필요한가
3. 일본의 구상은 무엇인가
4. 일본의 노력과 가능한 지역 협력들 : 동아시아 정상회의?
제4장 동아시아 경제 협력은 왜 어려운가
1. 안보와 경제의 이중주
2. 공존하는 이질성과 정체성의 의문 : 유럽과의 비교
3. 책임지지 않으려는 일본의 리더십
제5장 바람직한 지역협력은 무엇인가
1. 느슨한 형태의 제도화와 장기적 전망 : 방어주의와 최소주의
2. 다층적이고 점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3. 사회적 동아시아 건설 : 신자유주의적 지역주의를 넘어
맺는 말 - 동아시아 경제 협력의 제도화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 협력에 전략적 위상도 갖고 있다. 동아시아 지역 협력의 핵심은 중국과 일본의 협조 체제라서 안보 협력, 경제 협력과 더불어 화교 자본권과 엔 경제권의 협력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거론될 것이다. 두 문제에 걸쳐 있으면서 양자의 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국가가 한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