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극복을 꿈꾸는 동아시아의 도전

근대 극복을 꿈꾸는 동아시아의 도전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정치)

김성주, 전재호, 김비환, 차문석, 김동택, 김용복, 김일영, 구갑우,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 연구단, 마인섭, 조정아, 강명세 (지은이)
청어람미디어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극복을 꿈꾸는 동아시아의 도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극복을 꿈꾸는 동아시아의 도전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89722410
· 쪽수 : 394쪽
· 출판일 : 2004-02-27

책 소개

근대를 회고적으로 돌아보되 1부는 정치와 경제의 메커니즘을 2부는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의 근대화 경로를 다뤘다. 서구식 '근대'가 내포하는 모순을 치유할 근간을 가지고 있는 요충지로 조명받고 있는 동아시아의 근대성, 그 창출 가능성을 상상한다.

목차

"동아시아 정체성을 묻는 오늘의 시각" 총서를 기획하며
동아시아 근대를 상상하기

제1부 동아시아의 정치경제
동아시아 경제 발전 모델의 내용과 전망 / 김용복
동아시아 경제 협력 : 신지역주의적 접근 / 강명세
경제 발전과 정치 발전의 상관관계 / 마인섭
인도차이나 반도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 전환과 정치경제 / 김성주
세계화 시대 한국과 일본의 민족주의 지속성과 변화 / 전재호

제2부 한반도의 근대와 정치경제
근대 국민과 국가 개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 김동택
현대 한국 정치와 유교 전통 / 김비환
유교, 강성국가 그리고 남북한의 발전 격차 / 김일영
북한의 근대 노동 주체 형성 / 조정아
북한의 근대 정치경제와 노동 영웅 / 차문석
평화 담론 재론 : 한반도적 맥락 / 구갑우

주석

저자소개

김성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정치학박사학위를 취득(1986)했으며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국가전략대학원장, 한국정치외교사학회장, 한국국제정치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현대한국정치론』(공저, 1996), 『동남아의 정당정치』(공저, 2001), 『대외정책론』(공저, 2007), “6.15정상회담이후 남북한관계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 『국제정치논총』(2002), “동북아 지역정체성과 지역공동체: 관념과 제도”, 『한국정치외교사논총』(2009), “그리스도교, 국가, 그리고 아나키즘: 절대자유의 사상에 관한 고찰”, 『한국정치외교사논총』(2011) 등이 있다.
펼치기
전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연구 : 담론과 정책을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옌칭(Harvard-Yencing) 연구소 초빙연구원,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박정희 대 박정희』, 『키워드 한국 정치사』, 『민족주의들 :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와 특성』이 있다.
펼치기
김비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재직하였고, 현재는 명예교수로서 현대 정치사상과 민주주의 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사유재산의 정치철학』, 『개인적 자유에서 사회적 자유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차문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정치학 박사 전 성균관대 국가경영전략연구소 책임연구원, 현 통일부 통일교육원 교수 저서: 《반노동의 유토피아》, 《대중독재의 영웅만들기》, 《뉴딜, 세편의 드라마》(역서), 《악의 축의 발명》(역서), 《북한의 군사공업화》(역서) 등
펼치기
김동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김동택은 1999년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대한제국 붕괴의 사회 정치적 기원」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객원연구원(1993~1994)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전임교수(2000~2011)를 지냈으며, 지금은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과 교수(2012~현재)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정치연구의 쟁점과 과제』(공저, 2001), 『세계사적 나침반은 어디에』(공저, 2001)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지그문트 바우만의 『지구화, 야누스의 두 얼굴』(2003), 에릭 홉스봄의 『저항과 반역 그리고 재즈』(공역, 2003), 피터 칼버트의 『혁명』(2002) 등이 있다. 한국 근대 정치와 개념사를 연구하면서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에 나타난 “민족(民族)” 개념(槪念)에 관한 연구(硏究)”(2008),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2010), “근대 한국 주권 개념 연구”(2017)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또한 풀뿌리 경제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 “풀뿌리 민주주의의 제도적 기반: 사회적 경제를 중심으로”(2017), “사회적 경제로서의 마을학교: 자급자족 원리의 제도화를 위하여”(2014) 등의 글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일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9년 11월 만 49세의 한창 나이에 세상을 떠난 김일영(金一榮) 교수는 이 시대 최고의 현대 한국정치사 전문가 중 한 명이다. 그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사실과 이론을 조화롭게 접목시켜 대한민국 정치사를 분석하고 또 재해석하는 일관성 있는 학술작업을 통해 학계의 발전에 공헌한 학자였다. 고인의 지난한 노력으로 생산된 업적들은 지난 80년대 이후 우리 사회를 그릇되게 억눌러왔던 수정주의적 사관의 파고를 잠재우는 데 크게 기여했다. 1960년 1월 강원도 동해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의 어린 나이에 서울에 유학 와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1991년). 1992년 9월부터 성균관대에서 교수생활을 시작했으며, 미국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방문학자, 일본 규슈(九州)대학 법학부 방문학자를 역임했다.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사학회의 임원으로 활발한 학회 활동을 했고, 여러 정부와 사회기관의 자문, ‘바른 사회를 위한 시민회의’ ‘교과서포럼’ 계간 <시대정신> 등의 사회참여, 그리고 여러 언론매체에서의 기고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펼치기
구갑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연구 분야는 평화 연구, 국제정치경제, 북한외교다. 지은 책으로는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2007), 『국제관계학 비판』(2008)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2012),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2017), “평창 ‘임시평화체제’의 형성 원인과 전개”(2018), “북한의 ‘우리 국가제일주의’ 담론의 계보학”(2024), “신공화주의적 평화의 길”(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조정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주요 저서 및 논문: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공저, 2008), 「교육에서의 실리주의와 교육의 불균등발전: 2000년대 북한 교육의 변화」(2007), 「북한의 작업장 문화: 순응과 저항의 스펙트럼」(2006)
펼치기
강명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와 뉴욕의 사회과학대학원(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UCLA에서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했다. UCLA에서 정치학 박사 취득 후 노동과 복지, 민주주의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왔다. 2019년 현재까지 『민주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재분배』(삼인, 2014) 등 세 권의 저서와 『민족과 민족주의』(홈스봄, 창비, 1991) 외 여러 권의 번역서를 출판했으며, 「‘촛불혁명’의 희망은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2017)를 비롯하여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현재 세종연구소에서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