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70135915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06-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국제 정치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제2장 전쟁의 추억
제3장 미래로의 귀환
제4장 보이지 않는 위험
제5장 제국의 역습
제6장 '핵'무기여 잘 있거라
제7장 공동경비구역
나가는 말
리뷰
책속에서
김정일 정권이 핵무기를 생존 수단으로 선택한 이유는 세 가지 정도를 들 수 있다. 첫째,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율을 얻을 수단이 핵무기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핵무기는 원료와 운송수단(미사일)만 확보한다면 첨단 기술이나 비용이 크게 필요하지 않아 북한 경제 사정을 감안할 때 최고의 선택일 수 있다.
둘째, 사회주의 붕괴 이후 미국은 북한에게 가장 큰 위협인 동시에 경제적 난관을 타개해줄 유일한 대상이었다. 따라서 대미 협상력을 강화하기 위해 핵무기 카드가 필요했다. 핵 보유국으로 인정 받으면 남한과 비교 군사력 열세를 만회할 수 있고, 반대로 핵을 포기하더라도 생존 보장을 포함해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셋째, 핵무기를 북한이 동유럽의 전철을 밟지 않게 해주는 묘안이다. 북한은 외부에서 수혈을 받지 않고는 회생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빠져가고 있었다. 그러나 동시에 마냥 문을 개방하고 대대적으로 개혁하는 것은 폐쇄 경제 체제와 주체 사상으로 버텨온 북한에게 치명적이다.
그럴 경우 소련이나 동독의 운명을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기에, 북한은 핵무기 개발 위협을 통해 개방과 개혁의 속도 조절에 주도권을 쥐겠다는 생각이었다. - 본문 17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