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 실기
· ISBN : 9788970842189
· 쪽수 : 239쪽
· 출판일 : 2004-01-20
책 소개
목차
1권
머리말
1부 기초편
1. 자신의 도자기에 어떤 옷을 입힐 것인가?
2. 유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무엇인가?
원료의 성분
원료의 입도
사용하는 소지의 종류
소성 조건
3. 나만의 유약을 만들기 위한 준비
4. 유약에 사용할 원료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5. 왜 도자기 원료의 구성 성분을 산화물이라고 말하는가?
6. 유약 원료와 소지 원료의 차이는?
7. 유약에서 각 원료의 역할은?
천연 광물 중 가장 낮은 온도에서 녹는 장석
장석의 용융을 도와주는 참나무 재와 백운석
카올린(점토)과 규석은 브레이크 재료
유약에서 도석의 역할은?
8. 장석
장석의 종류
장석의 사용법
9. 도석
도석의 종류
도석 유약
10. 매용 재료
매용 재료의 종류
나무 재
- 재 유약의 기원
- 재의 용도
- 나무 재가 다른 천연 광물보다 매용 효과가 좋은 이유
- 나무 재의 사용 방법
- 재의 수비 방법
- 재 유약 제조
- 재 유약의 특징
석회석
- 석회 유약
백운석
마그네사이트와 활석
탄산바륨
산화아연
11. 카올린과 점토
12. 규석
13. 유약 실험 방법
2성분계 유약 실험 방법
삼각좌표 보는 방법
3성분계 유약 실험 방법
14. 유약 제조 및 시유 방법
유약 제조
- 막자 사발을 사용한 유약 실험
- 볼밀을 이용한 유약 제조
- 체거름에 의한 유약 제조
- 유약의 농도
- 시유 방법
15. 소성 방법
2부 응용편
1. 유약 시험편 보는 방법
2. 석회 유약
'장석-석회석'계 유약
- '장석-석회석'계 유약 실험
- 장석계 석회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 장석계 석회 매트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 '장석-석회석'계 유약에서 석회석 함량 차에 따른 외관 특성
'도석-석회석'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석회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3. 마그네시아 유약(활석 유약)
장석계 마그네시아 유약
- '장석-마그네사이트'계 유약 실험
- 도석계 마그네시아 유백 광택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마그네시아 유약
- '도석-석회석-마그네사이트'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석회 마그네시아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4. 석회 마그네시아 유약(돌로마이트 유약)
장석계 마그네시아 유약
- '장석-석회석-마그네사이트'계 유약 실험
- 장석계 석회 마그네시아 유백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석회 마그네시아 유약
- '도석-석회석-마그네사이트'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석회 마그네시아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5. 바륨 유약
장석계 바륨 유약
- '장석-탐산바륨'계 유약 실험
- 장석계 바륨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바륨 유약
- '도석-탄산바륨'계 유약 실험
- 도석계 바륨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6. 석회 바륨 유약
장석계 석회 바륨 유약
- '장석-석회석-탄산바륨'계 유약 실험
- 장석계 석회 바륨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석회 바륨 유약
- '도석-석회석-탄산바륨'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석회 바륨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7. 아연유약
장석계 아연 유약
- '장석-산화아연'계 유약 실험
- 장석계 아연 유백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아연 유약
- '도석-산화아연'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아연 유백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8. 석회 아연 유약
장석계 석회 아연 유약
- '장석-석회석-산화아연'계 유약 실험
- 장석계 석회 아연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도석계 석회 아연 유약
- '도석-석회석-산화아연'계 유약 실험
- 도석계 석회 아연 투명 유약에 카올린과 규석 첨가 실험
부록.찾아보기
2권
제1부 동 유약
1. 색 유약 / 2. 동 유약의 역사 / 3. 동 유약의 색상 / 4. 동의 원료
5. 동 유약의 발색 기구 / 6. 소성 시험편의 색상 및 외관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
7. 기본 유약 / 8. 석회 투명 유약에 산화 제2동과 다른 착색 산화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
9. 진사 유약 / 10. 동 유약에 산화티타늄을 첨가한 경우
제2부 제겔식
1. 제겔식의 필요성 / 2. 산화물의 분류 / 3. 산화물의 역할 / 4. 제겔식 / 5. 몰의 개념
6. 몰 수 계산법 / 7. 제겔식의 표현 방법 / 8. 사용 원료의 화학 분석표
9. 유약 조합을 제겔식으로 바꾸는 방법 / 10. 유약 조합에 프리트를 사용한 경우의 제겔식 표현
11. 유약 조합에 화공약품을 사용한 경우의 제겔식 표현
12. 유약의 화학 분석 값을 제겔식으로 표현하기
13. 제겔식을 유약 조합으로 바꾸는 방법 / 14. 제겔식을 유약 조합으로 바꾸는 예
15. 유약 조합을 새로운 유약 조합으로 계산하는 방법 / 16. 제겔식을 사용한 유약 실험 방법
제3부 철 유약
1. 철 유약 / 2. 철 산화물의 종류 / 3. 실험 조건 / 4. 기본 유약 / 5. 석회 유약
6. 석회마그네시아 유약 / 7. 마그네시아 유약 / 8. 석회바륨 유약 / 9. 바륨 유약
10. 철적유 / 11. 산화철과 함께 다른 한 가지 착색 산화물을 사용한 색 유약
3권
머리말
1부 기초편
1.재유약의 기원
2.재의 종류
3.재의 용도
4.재의 특성
5.성분에 의한 재의 분류
6.재유약의 특징
7.유약 원료용 초목재 제조
8.합성재
2부 응용편
1.2성분계 재유약
2.3성분계 재유약
3.재만을 이용한 유약 만들기
찾아보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국 고대의 왕조인 은나라 시대(B.C. 1400년)에 개발한 가마는, 소성온도가 1200℃ 이상인 것으로 현재 생산되는 전통 도자기의 소성온도와 거의 같음을 알 수 있다.
이 당시 만든 가마는 연료인 장작을 태워 생긴 열을 가마에 가두어, 적재한 도자기가 구워지게 하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 이 경우 가마가 개량되어 소성온도가 1200~1300℃까지 높아지면서 연료로 사용하는 장작(나무)의 재가 가마 내의 도자기 표면에 달라붙어 소지의 성분과 반응함으로써 유기질의 유약이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유약이 세계에서 최초로 개발된 고화도(1200℃ 이상) 유약이며, 이 도자기가 세계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재유약이 입혀진 도자기이다. 이 경우 소성과정 중에 도자기 표면에 재가 부착되어 유약이 만들어진 것은, 장작이 탈 때 방출되는 수액의 증기 때문이다. 이 수액의 성분은 알칼리(칼리 또는 소다)로써 장작이 타면서 방출되어 재보다 먼저 도자기 표면에 흡착하게 된다. 이 흡착된 수액이 도자기 소지와 재 사이에서 양면 테이프 역할을 하여 재가 도자기 표면에 부착되게 한다. 이후 가마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수액의 성분인 알칼리가 소지 내의 규석 성분과 먼저 반응을 한 다음 재와 반응을 함으로써 유약이 만들어진 것이다.
… 중략 …
이상과 같이 소성과정 중 도자기 표면에 연료의 재가 자연적으로 부착하여 수액의 역할로 소지 내의 성분과 반응함으로써 만들어진 유약을 ‘재유약’ 또는 ‘자연유약’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재의 재유약이란 ‘재를 사용하여 만든 유약’으로 통용되고 있다.
- 3권 책속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