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0927282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19-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iv
서론 / 9
제1장 이홍장의 ‘열국입약통상권고책’과 조선의 대응―한미수교 교섭 시단
1.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조선개항론 대두 28
2. 이홍장의 열국 입약권고안 33
3. 이유원의 열국입약권고 거부와 조선의 무비강구책과 이홍장의 연미론 48
4. 조선의 대미수교정책 수립 63
5. 하여장 주일공사의 ‘주지조선외교의’와 대미통상조약 체결 결정 77
6. 청 주지로 연미론에 의한 조선개항 한미수교 결정 91
제2장 슈펠트-이홍장의 한미조약 체결 교섭 시말
1. 영선사 김윤식-이홍장 회담, 한미조약 체결 교섭주재권과 속방조항 인정 102
2. 주한 미국전권특사 슈펠트 임명과 한미조약 입약교섭 105
3. 슈펠트-이홍장 북양아문 회담의 조약초안과 속방론 논쟁 120
4. 슈펠트-이홍장 ‘속방론’ 삭제와 별도조회문에 속방론 명문화 타결 139
5. 입약교섭 타결과 제4호 조약초안 145
6. 조약초안 원본과 이본 대비분석 153
7. 한미조약 체결교섭의 역사적 의의 170
8. 한미조약 제1·2·3·4호 조약 초안 원본 미국 의회도서관 소장 177
제3장 한미조약 조인식과 슈펠트의 대조선국 자주독립정신
1. 슈펠트의 조선개항 정신 208
2. 슈펠트의 한미조약 조인식을 위한 조선사행 215
3. 한미조약 체결교섭과 ‘미국통상실기’ 220
4. 태극기 창안자는 박영효 아닌 이응준, 태극기 제정 1982. 5. 231
5. 한미조약 조인식 이응준 태극기와 성조기 게양 조인식 거행 250
6. 한미조약 원본 영문본·한문본 미국의회도서관 소장 265
7. 슈펠트의 ‘한미조약 체결사’ 번역 273
8. 한미조약의 역사적 의의와 한미조약 전문 번역 291
9. 슈펠트의 조선개항 위업 달성과 극동 아시아에서의 국제정치의 역학적 관계 304
제4장 조선보빙사의 미국사행
1. 조성개항과 한미수교의 역사적 의의 320
2. 한미조약 비준서 교환 324
3. 조선보빙사 파미 결정 338
4. 조선보빙사의 미국사행 347
제5장 조선보빙사 국서제정식과 뉴욕·보스턴 산업·공공기관 시찰 여행
1. 한글 국서 제정식 378
2. 보스턴 산업시찰과 한미 문화·과학 교류 400
3. 뉴욕 공공기관 시찰 413
4. 워싱턴 정부 공공기관 순방과 한미 외교관계, 국제박람회 426
5. 조선보빙사 전권부대신 홍영식 귀국복명 443
제6장 조선보빙사 전권대신 민영익의 대미 자주외교와 세계 일주항행
1. 민씨 외척세력의 영수 죽동궁 민영익 458
2. 조선보빙사 민영익의 대미자주외교와 세계 일주항행 466
3. 민영익 귀국 복명 481
4. 민영익의 보수반동주의 정책과 갑신정변 488
제7장 전권부대신 홍영식의 개화사상과 갑신정변
1. 급진 개화사상가 홍영식 510
2. 우정국 창설 517
3. 3일천하로 끝난 갑신정변 525
4. 홍영식의 개화사상과 갑신정변의 평가 556
제8장 조선보빙사 종사관 서광범의 정치적 인생무상
1. 서광범의 인생역정과 개화사상 형성 568
2. 서광범의 갑신정변 584
3. 서광범의 미국 정치망명 588
4. 김홍집 친일내각 성립과 법무대신 서광범 602
5. 주미 전권공사 부임과 제2차 미국망명 613
6. 서광범의 개화사상: ‘조선교육론’ 625
7. 서광범의 비문과 정치무상 6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