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71150290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3-09-20
책 소개
목차
<칠언고시>
•어부사  _ 17
•감회가 있어  _ 18
•길가의 돌사람  _ 19
•명나라 사신 성헌의 김효녀 시에 차운하다  _ 21
<오언절구>
•삼가 강릉을 살펴보고 감회가 있어 짓다  _ 25
•효릉을 고쳐 쌓고서 느낌이 있어  _ 26
•청안현에서 자다  _ 27
•낙엽  _ 29
•향림사 스님에게 드리다  _ 30
•영연대  _ 31
•초학대  _ 32
•스님의 시축에 쓰다  _ 33
•강가에서  _ 35
•봄 제비  _ 36
•집에서 기르는 학  _ 37
•수진 스님에게 드리다  _ 38
•나그네가 오다  _ 39
•닭을 기르며 장난삼아 짓다  _ 40
•입으로 부르다  _ 41
•이 고장에 범이 많아서 장난삼아 짓다  _ 42
•취로정  _ 43
•백운산 일원 스님이 과일 두 가지를 보내 주어 시로 답하다  _ 44
•윤 상사가 조와 박을 보내 주어 감사하다  _ 45
•귀화한 오랑캐의 집에서 자다  _ 47
•산사람에게 지어 주다  _ 48
•박공에게 지어 주다  _ 49
•영평 시냇가 돌에 쓰다  _ 50
•성연의 시권 가운데 임석천의 시에 차운하다  _ 51
•지사 황정욱이 술을 가지고 들르다  _ 52
•납상정 시에 차운하다  _ 53
•우연히 읊다  _ 54
<칠언절구>
•직장 송대립의 시에 차운하다  _ 57
•견 스님에게 드리다  _ 59
•현등산으로 돌아가는 벗을 배웅하다  _ 60
•남쪽으로 돌아가는 정계함을 배웅하다  _ 61
•눈이 온 뒤에 호당에서 썰매를 타고 한강 얼음  위로 내려가다  _ 62
•내 신세를 생각하며  _ 64
•스님에게 드리다  _ 65
•안변부사 양사언에게 부치다  _ 66
•화주승에게 드리다  _ 67
•남중에 사는 벗에게 부치다  _ 68
•한산 관아에서 조카와 손자들이 보게 부치다  _ 69
•매화가지를 종이에 싸서 보냈기에  _ 70
•육호 스님에게 지어 주다  _ 71
•집 정원에서 손님과 함께 술을 마시다  _ 72
•가야금에 쓰다  _ 73
•예전에 살던 산으로 돌아가는 조운백을 배웅하다  _ 74
•연경에 가는 주청사 김중회에게 드리다  _ 75
•한 쌍의 소나무  _ 76
•호남관찰사로 나가는 정계함을 배웅하다  _ 77
•그림에 쓰다  _ 78
•연경으로 가는 좌윤 정공을 배웅하다  _ 79
•송 사재의 면앙정에 삼십 운을 쓰다  _ 81
•단양 가는 길에서  _ 87
•길에서  _ 88
•보령 가는 길에서  _ 89
•낙화암  _ 90
•진잠에서 국화를 보다  _ 91
•진잠의 단풍  _ 92
•회인 가는 길에서  _ 93
•청안에서 동년 박견룡을 만나다  _ 95
•호당에서 읊다  _ 96
•은대에 숙직하면서 동료의 시에 차운하다  _ 97
•도소주를 마시다  _ 98
•판관 고사렴 만시  _ 99
•단구자 이숭경 진사가 정원의 과일을 선사하여 고마워하다  _ 100
•풍악으로 돌아가는 학상을 배웅하다  _ 101
•학상 비구에게 드리다  _ 102
•풍악으로 노닐러 가는 흡사에게 드리다  _ 103
•휴정 스님의 시에 차운하다  _ 104
•낙산사 스님에게 드리다  _ 105
•남쪽으로 돌아가는 조생에게 지어 주다  _ 106
•술 마셨다고 파직당한 김종호에게  _ 107
•학 한 쌍을 기르다  _ 108
•피리를 배우던 종이 달아났기에  _ 109
•가생  _ 110
•책을 읽고 느낌이 있어  _ 111
•송 평사에게 지어 주다  _ 112
•옥상인께 드리다  _ 114
•변 스님에게 드리다  _ 116
•정로를 추억하며 변 스님 편에 부쳐서 보여 주다  _ 117
•우연히 읊다  _ 118
•광릉으로 돌아가는 이정립을 배웅하며  _ 119
•딸아이가 꽃 가지고 노는 모습을 보고 장난 삼아 짓다  _ 120
•단자  _ 121
•천연 스님에게 드리다  _ 122
•사위 이영년에게 보이다  _ 123
•천연 스님에게 《근사록》을 드리다  _ 124
•느낌이 있어 짓다  _ 125
•노래를 부른 기생에게  _ 126
•중산대부 혜강의 <절교론>을 읽고 느낌이 있어 짓다  _ 127
•을축년 시월에 경연이 중지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느낌이 있어 짓다  _ 129
•회정상인의 시권에서 돌아가신 중부 눌재의 시를 보고 느낌이 있어 삼가 차운하다  _ 130
•파직되어 남쪽 고향으로 돌아가는 판관 허진동을 배웅하며  _ 131
•느낌이 있어 짓다  _ 133
•임금께 숙배한 뒤에 입으로 읊다  _ 135
•용산 강가의 집에서 되는 대로 짓다  _ 136
•봄날의 흥겨움  _ 137
•사은숙배한 뒤에 느낌이 있어 짓다  _ 138
•숲속의 사당  _ 139
•호남으로 돌아가는 행사산인을 배웅하다  _ 140
•숙배한 뒤에 영평으로 돌아오다  _ 141
•살 곳을 정하다  _ 142
•종현산  _ 144
•보장산  _ 145
•불정산  _ 146
•돌 위에 이름이 새겨져 있어  _ 147
•초당에 쓰다  _ 148
•벗에게 답하다  _ 149
•감사가 찰방을 시켜 수행하게 하다  _ 150
•새해 아침  _ 151
•김생에게 지어 주다  _ 152
•황지천에게 삼가 답하다  _ 153
•돌아오는 길에야 철쭉이 한창이길래  _ 154
•용화산 가는 길에서  _ 155
•우연히 읊다  _ 156
•능인의 시축에 쓰다  _ 157
•느낌이 있어 짓다  _ 158
•평구 찰방에게 지어 주다  _ 159
•인삼을 캐다  _ 160
•이가 부러졌기에 장난삼아 짓다  _ 161
•산으로 돌아오다  _ 162
•이장영이 경차관으로 찾아오다  _ 163
•조밥  _ 164
•감흥  _ 165
•나는 거문고를 탈 줄 모르지만  _ 167
•동지 전날  _ 168
•천연이 풍수 지리를 알아서  _ 169
•백옥봉 만시  _ 170
•이양정 벽에 쓰다  _ 171
<오언율시>
•찰방 김청이 술을 들고 찾아와 고마워하다  _ 175
•동지 박이정 만시  _ 176
•청풍현감으로 가는 남시보를 배웅하다  _ 178
•아산으로 가는 안민학을 배웅하다  _ 180
•쌍봉사로 돌아가는 설간상인을 배웅하다  _ 181
•퇴계 선생 만시  _ 183
•이일재 만시  _ 184
•단발령  _ 186
•명나라 사신 구희직의 <배기자묘> 시에 차운하다  _ 187
•영평 시냇가 돌 위에 쓰다  _ 189
•산인에게 지어 주다  _ 190
•홍생에게 지어 주다  _ 191
<칠언율시>
•느낌이 있어 짓다  _ 195
•황경문의 시에 차운하다  _ 196
•이율곡 만시  _ 197
•산마을 민가에 묵다  _ 198
•한강에서 용산으로 되돌아가다  _ 199
•연사의 시에 차운하여 보내다  _ 200
•영평에서 여러 가지를 읊다  _ 202
•우두정에 머물러 자다  _ 203
•경주부윤으로 나가는 허엽을 배웅하다  _ 204
•연보  _ 209
•原詩題目 찾아보기  _ 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