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은 정몽주 시선

포은 정몽주 시선

정몽주 (지은이), 허경진 (옮긴이)
평민사
6,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850원 -10% 2,500원
320원
8,0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포은 정몽주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은 정몽주 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71155554
· 쪽수 : 164쪽
· 출판일 : 2010-06-10

책 소개

'한국의 한시' 43권 <포은 정몽주 시선>. 정몽주는 전쟁터로 외국으로 돌아다니며 경륜을 펼치고 시를 짓다가, 선죽교에서 조영규의 철퇴에 맞아 일생을 마쳤다. 그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이어서 한동안 어지러운 세상이 계속되었기에, 그의 시들은 다 거둬지지 못했다. 조선왕조가 정착된 세종 때에 와서야 그의 아들 종성이 유고를 모아서 <포은집>을 간행하였다.

목차

권1
삼월 십구일에 바다를 건너 등주 공관에서 잤는데 곽통사와 김압마의 배가 바람을 만나 오지 않기에 머물러 기다리다
황산역을 지나는 길에/교수현에서 서교유와 헤어지며
객지 구서역에서 밤을 보내다/한총랑의 압록강 시에 차운하다
일조현/술을 마시며/감유현에서 묵다/종성과 종본 두 아이를 그리워하다
이도은 정삼봉 이둔촌 세 군자를 생각하며/산동 노인/한신의 무덤
빨래하던 할미의 무덤/회음역에서 길이 갈려 방진무와 헤어지다
배가 회음을 떠나 보응현을 향하다/밤이 깊고 바뻐서 제교설 선생을 만나지 못하고
꿈/나그네 길에서 시름을 풀다/함께 온 젊은이에게 장난삼아 지어 주다/배 속의 미인
사월 십구일에 강을 건너 용담역에 이르다/황도/백로주에 배를 대다
양자강 나루에서 북고산을 바라보며 김약재를 애도하다/남쪽을 바라보다
단오날 장난삼아 짓다/호수에서 물고기를 보다/제성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전횡도/봉래각/안시성에서 옛날을 생각하며/양자강/이적이 싸우던 곳에서
복주관의 우물/양주에서 비파를 먹다/복주에서 앵도를 먹다/웅악의 옛성에서
요하 뱃길의 곡식 나르기/개주에서 빗속에 뒷사람들을 기다리다/
회동관의 버드나무/발해의 옛성/강남에서 도은을 생각하며/시를 읊으며
강남곡/서방님을 전쟁터에 보낸 아내의 원망/
태창에서 구월을 맞아 공부주사 호련에게 지어 주다/용강관
강남의 버들/발란점으로 가는 길에서/다경루에서 계담에게 지어 주다
오호도/고소대/탕참에서 자며/홍무 정사년에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짓다
관음사에서 놀다/다시 이 절에 놀다

권2
정주에서 중양절에 한상이 시를 지으라기에
홍무 임술년에 이원수를 따라 동쪽을 정벌하다/단주성/한가위
여진의 지도/삼산/을축년 구월에 중국 사신 학록 장부와 전부 주탁을 모시고
서경 영명루에 올라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
명나라로 돌아가는 전부 주탁을 배웅하다
상주에서 김상국에게 지어 드리다/상주에서 서목사에게 지어 드리다
헌납 이첨이 감사로 가서 김해 연자루 앞에 매화를 심었다기에 시를 지어 부치다
나주 판관으로 부임하는 동년 이양을 배웅하면서/강안렴사에게 지어 주다
익양의 김규정에게/안동 서기로 부임하는 이수재를 배웅하다
둔촌의 시에 차운하여 동창에게 지어 드리다
계묘년 오월 초이튿날 비가 내려 홀로 앉았는데 이둔촌이 마침 오다
또 둔촌 시에 차운하다/둔촌의 시권에 쓰다
의주병마사 김지탁에게 부치다/호연스님의 두루마리에 쓰다
국간의 시권에/백정스님의 시권에 쓰다/이정언에게 부치다
삼봉에게 부치다/영주의 옛친구에게/김소년에게 지어 주다
벗을 보내며/목은선생의 시에 차운하여 일본에서 온 무상인에게 지어 주다
암방에 있는 일본 스님 영무에게 지어 주다/일본 스님 홍장로에게 지어 주다
백운헌에게 지어 주다/무변스님에게 지어 주다
빙산 주지에게 부치다/일본에 가는 자휴상인을 배웅하다
스님에게 지어 주다/첨성대/중양절에 익양태수 이용이 세운 명원루를 두고 짓다
여흥루에 쓰다/전주 망경대에 오르다/평교관에 쓰다
김득배 원수에게 제를 올리다/도은 이숭인의 아내 만사
봄/동짓날 읊다/늦봄
《주역》을 읽고 세상의 도에 느낀 바 있어 자안?대림 두 선생에게 지어 부치다 137
《주역》을 읽다
한가위 달/돌솥에 차를 끓이다/겨울 밤에 《춘추》를 읽다
언양에서 구일날 감회가 있어 유종원의 시에 차운하다

연보/해설

저자소개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허균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서로 『허균평전』,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 『허난설헌 강의』 등이, 역서로는 ‘한국의 한시’ 총서 40여 권 외에 『삼국유사』, 『서유견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안시성에서 옛날을 생각하며]
황금전 위에서 옷자락 늘어뜨리고 앉아 다스렸지만
백전 승장의 영웅도 어쩔 줄 몰랐네.
태종이 친히 정벌하던 그 날을 생각해 보니
풍부가 수레에서 내리던 그날과 같았겠네.

[安市城懷古]
黃金殿上坐垂衣,
百戰雄心不自持.
想見太宗親駕日,
宛如?婦下車時.


[발해의 옛성]
발해가 옛날 나라였는데
이젠 빈 터만 남았네.
당나라가 이어받게 하더니
요씨가 삼켜버렸네.
우리에게 붙은 신하들 온전하여서
지금껏 자손들이 이어져 오네.
남은 백성들이야 이를 어찌 알랴
탄식하면서 돌아와 사네.

[渤海古城]
渤海昔爲國,
於焉遺址存.
唐家許相襲,
遼氏肆幷呑.
附我全臣庶,
于今有子孫,
遺民那解此,
嘆息住歸軒.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