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71156179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6-05-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이승만 대통령의 한 미 상호방위조약 체결
1. ‘반쪽의 빵이라도 취하자’ 15
2. 국제적 승인을 얻어 내기 위한 고군분투 18
3. 이승만의 ‘북진 통일’ 카드 20
4. ‘일본을 경계해야 한다’ 23
5. 반공포로 석방이라는 극약 처방을 하다 25
6. 상호방위조약 체결 논의 31
7. 합의의사록 협상 타결 33
8. 한 미 상호방위조약의 역사적 의의 36
9. 이승만 외교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 38
10. 이승만 외교의 특징 49
제2장 박정희 대통령의 베트남 파병
1. 베트남전쟁의 성격 54
2. 한국군 베트남 파병 경과 55
3. 한 미 정부 간 교섭 57
4. 베트남 파병 반대 61
5. 베트남 파병 배경 63
6. 실익을 더욱 챙긴 추가 파병 협상 68
7. 손익계산서를 작성해보면… 72
8. 명분과 실리를 조화시킨 파병 정책 75
제3장 노태우 대통령의 북방정책
1. 박정희 대통령의 ‘6 23선언’ 78
2. ‘북방정책’이란 용어의 유래 79
3. ‘북방정책’의 개념 81
4. 북방정책의 국내정치적 배경 83
5. 북방외교 추동력은 서울올림픽에서 나왔다 85
6. 전략적 접근: ‘7 7선언’ 88
7. 헝가리에서 북방외교의 돌파구를 열다 90
8. 고르바초프의 마음을 움직이다 93
9. 샌프란시스코 한 소 정상회담 95
10. 북한에서 문전박대 받은 소련 외무장관 97
11. “수교를 돈 주고 샀다” 98
12. 다음은 중국 차례 100
13. 북한을 각별히 배려한 중국 104
14. 노 대통령, 대만에 대해 미안하게 생각하다 106
15. 대한민국, 드디어 유엔 회원국이 되다 108
16. 개방보다 핵개발을 택한 북한 111
17. 북방외교의 한국 외교사적 의의 112
18. ‘북방외교’가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 114
19. “남북한 관계의 대장전”이 마련되다 116
20. 북방정책의 문제점 117
제4장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의 햇볕정책
1. 햇볕정책에 대한 평가 129
2. 햇볕정책의 기원 132
3. 비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했다 134
4. 정책 명칭이 적절치 않았다 137
5. 기본 가정이 잘못되었다 138
6. 정책의 성패가 북한 측에 달려있었다 141
7. 북한 정권의 실체에 눈을 감았다 143
8. 정책이 이념이 되었다 148
9. 평가 보완이 부족했다 151
10. 상호주의의 장점을 살리지 못했다 152
11. 남북한 관계를 ‘한반도화’했다 157
12. 평화지상주의였다 160
13. 대북 지원을 잘못했다 162
14. 유화적인 특성이 있었다 165
15. 국민적 합의를 확보하지 못했다 167
16. 미국의 협조를 얻지 못했다 169
17. 안보의식이 무뎌지게 만들었다 173
18. 북핵 문제에 단호한 입장을 취하지 못했다 175
19. ‘통일대비’보다 ‘분단관리’를 추구했다 178
20. 북한 인권문제를 외면했다 179
21.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180
제5장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와 북한 핵 문제
1. 북한의 선택은 핵개발이었다 183
2. 김영삼 정부와 클린턴 정부의 갈등 185
3. 클린턴 정부, 영변 핵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 검토 187
4. 미-북 제네바합의 성립 192
5. 김영삼 정부의 북핵 문제에 대한 입장 193
6. 부시 행정부, 제네바합의를 부정하다 194
7. 북한의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문제 197
8. 켈리 미 국무부 차관보 북한 방문 199
9. 미-북 제네바합의 와해 203
10.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의 진실은? 205
11.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인식 208
12. 실패한 6자회담 프로세스 215
13. 부시 행정부의 반복된 실책 218
14. 실속만 챙긴 중국 222
15. 북한 핵개발을 저지하지 못한 배경 228
16. 북한의 핵무장 의도는 어디에 있었나 234
제6장 케네디 대통령과 쿠바 미사일 위기
1. 세계가 핵전쟁의 공포에 떨었던 한 주일 241
2.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했던 순간” 242
3. 신의 섭리가 있었다? 243
4. 미국의 허를 찌른 소련 244
5. “다시는 이런 실수를 하지 않겠다” 247
6. 주먹은 최후의 수단 250
7. 냉정 신중 자제 252
8. 상상력 용기 결단 254
9. 비밀 유지가 관건이었다 256
10. 동맹국들의 관여를 배제하다 259
11. 전문가들을 잘 활용했다 260
12. 미국이 핵전력에서 열세였더라면… 262
13. 승자가 보인 아량 263
14. 카스트로의 오산 265
제7장 닉슨 대통령과 미 중 화해
1. 미 중 화해의 역사적 의의 268
2. “나는 외교 대통령이다” 269
3. 닉슨이 먼저 손을 내밀다 272
4. 중-소 간 전면 충돌 가능성이 고조되다 275
5. 마오쩌둥, 전략적 결단을 내리다 278
6. 드디어 미국에 신호를 보내다 280
7. 제3국을 통한 간접대화 282
8. 주도면밀하게 연출된 ‘핑퐁외교’ 284
9. 키신저, 극비리 베이징 잠입 287
10. 중국은 베트남 북한을 배려 291
11. 키신저의 두 번째 베이징 방문 292
12. 닉슨, 드디어 중국 땅에 발을 딛다 294
13. ‘상하이 공동성명’ Shanghai Communique 296
14. “세상을 바꾼 한 주일” 298
15. 미 중 화해를 가능하게 한 요인들 300
16. 마오쩌둥의 계산은 빗나갔다 302
17. 미 중 화해와 한반도 306
18. 한 미 관계의 근본을 흔들다 309
제8장 레이건 대통령의 냉전 종식 외교
1. “총 한 방 쏘지 않고 냉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312
2. 지구상에서 소멸되어야 할 것들 313
3. 핵 재앙 가능성이 심각했다 317
4. ‘힘을 통한 평화’ 319
5. '별들의 전쟁‘ 321
6. 국제유가를 떨어트리다 325
7. 시대를 앞서간 통찰력 326
8. “고르바초프 서기장, 이 벽을 허무시오” 327
9. 말이 곧 무기 328
10. 레이건 외교의 성공 비결 330
제9장 콜 총리의 독일 통일 외교
1. 동독 공산당 대변인의 ‘역사적 말실수’ 339
2. 통일 열차를 탈선시키려 한 대처 영국 총리 341
3. 기회주의적이었던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 345
4. ‘내 코가 석자’였던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347
5. 독일 통일을 전폭 지원한 부시 대통령 350
6. 통일 열차의 기관사 콜 총리 355
7. 통독의 국제정치 359
8.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 363
제10장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침공
1. ‘금세기 최대의 실수’였다 365
2. 외교를 잘 몰랐던 부시 대통령 367
3. ‘공격을 당하기 전에 공격해야 한다’ 369
4. 부시 행정부를 장악한 ‘네오콘’ 371
5. 네오콘은 일찍이 사담 후세인 제거를 원했다 373
6. 대부분의 예상이 빗나갔다 376
7. 뒷전으로 밀려난 파월 국무장관 377
8. 부시 대통령의 ‘예스우먼’ 379
9. 부시 행정부의 여론 설득 노력 381
10. 중동에 자유민주주의를 확산시키자! 386
11. 블레어 영국 총리가 반대했더라면… 389
12. 왜 이라크가 침공대상이 되었나 391
13. 중동 전략을 재조정하려 했다 392
14. 북한에도 영향을 미치다 393
15. 미국의 이라크전 실패가 주는 교훈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