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7135109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11-0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하 덕 규 교수 (시인과 촌장, 백석대학교 기독교실용음악과 교수)
머리말 박 순 영 박사 (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전 한국해석학회 회장)
저자 서문
제1부 신학으로 대중음악 즐기기
제1장 대중음악에 대한 신학적 해석학
1. 서론
2. 대중음악에 대한 신학적 해석학의 전제
3. 신학적 해석학의 텍스트로서의 대중음악
4. 대중음악에 대한 신학적 해석의 역사
5. 결론: 대중음악에 대한 신학적 해석학의 단계적 과제
제2장 이영훈의 기독교 음악관과 슬픈 사랑의 노래
1. 서론
2. 이영훈의 기독교 음악관
3. 이영훈의 슬픈 사랑의 노래
4. 결론: 슬픈 사랑의 노래와 CCM
제3장 광야에서 외치는 자의 소리: 김현식의 음악에 대한 문화선교적 접근
1. 서론
2. 김현식의 음악 세계에 대한 보편적 설명
3. 김현식의 음악 세계에 대한 문화선교적 재구성
4. 결론: 김현식의 음악 세계에 기독교의 상징 부여
제4장 한국교회에 대한 신해철의 비판과 신학적 응답
1. 서론
2. 신해철의 기독교 배경
3. 한국교회에 대한 신해철의 비판
4. 결론: 신해철의 비판에 대한 신학적 응답
제5장 김광석의 삶의 텍스트에 대한 신학적 재구성
1. 서론
2. 종교에 대한 김광석의 관계와 태도
3. 김광석의 삶의 텍스트 안의 궁극적 물음과 대답
4. 결론: 김광석의 삶의 텍스트에 대한 기독교의 대답
제2부 묵상으로 대중음악 즐기기
제1장 1970-80년대 한국 대중음악
제2장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
제3장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
제4장 외국 대중음악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영훈에게 음악은 인간의 마음에 사랑과 초월적 갈망을 함께 불러 일으켜 주는 존엄한 것이었다. 그는 자신의 음악 노트에, “음악이란 인간의 가장 깨끗한 상태의 ‘영감’에서 이루어질 뿐이다. ‘논리’와 ‘방법’이 만든 음악이 있다면 그것은 이미 쓰레기일 뿐이다” 라고 썼다.
한국교회의 ‘기복신앙-기득권세력 결탁’에 대한 신해철의 비판 또한 한국사회에 대한 그의 비판의 맥락에 자리한다. 87학번이었던 그는 1987년 독재에 대항하여 ‘6월 항쟁’에 참여했고 이 체험은 이후 그의 사회비판적 사상과 활동에 근본적으로 내재하게 되었다.
김광석은 기독교와 불교와 교류하였으나 사회와 삶과 이를 위한 자신의 노래를 위해 그것들의 도덕적 가치를 존중하였을 뿐, 그것들이 증거하는 궁극적 진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종교에 대한 이런 그의 관계와 태도가 전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는, 그의 삶의 텍스트로부터 삶의 유한성, 삶의 갈등, 삶의 허무에 대한 궁극적 물음과 이에 대한 대답으로서 믿음과 사랑과 희망이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