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71396223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18-06-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관계
제1장 아프라시압 궁전지 벽화의 ‘조우관사절’이 사마르칸트로 간 노선
1.머리말 2. 고구려와 유연 및 돌궐의 관계 및 교류 3. 고구려에서 오르콘강 상류 유역까지의 세 노선 4. 오르콘강 상류 유역에서 사마르칸트까지의 노선 5. 맺음말
제2장 ‘조우관사절’이 사마르칸트로 간 원인, 과정 및 시기
1. 머리말 2. 7세기 중반까지의 사마르칸트의 정황 3. 당의 고구려 정벌과 ‘조우관사절’의 철륵행 4. 철륵의 반란과 ‘조우관사절’의 사마르칸트행 5. 맺음말
제2편 전기 고구려와 북방 유목 민족의 관계
제3장 고구려 초기 계루부 왕실의 신당과 종묘 및 유목 민족과의 관계
1. 머리말 2. <삼국지> 「고구려전」, <후한서> 「고구려전」, <위략>의 분석 3.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큰 집은 샤먼의 신당 4. 계루부의 종묘인 ‘국동대혈’과 유목 민족 5. 맺음말
제4장 고구려와 선비의 충돌ㆍ연합과 후한에 대한 대응
1. 머리말 2. 고구려와 선비의 상쟁 3. 선비와 고구려의 후한에 대한 귀부 4. 고구려와 선비의 후한에 대한 공격과 화친 5. 맺음말
제3편 중ㆍ후기 고구려와 북방 유목 민족의 관계
제5장 4~6세기 고구려와 거란의 관계사
1. 머리말 2. 거란의 고구려 침입과 광개토왕의 비려 친정 3. 장수왕의 거란 침공과 ‘물우거란’의 형성과 해체 4. 돌궐과 고구려의 충돌과 거란 일부의 고구려 기탁 5. 맺음말
제6장 6세기 후반 돌궐의 남진과 고구려와의 충돌
1. 머리말 2. 돌궐의 세력권 확대와 남진의 배경 3. 돌궐의 남진과 유연 세력의 소멸 4. 돌궐의 동몽골 진출과 고구려와의 충돌 5. 맺음말
제7장 여당전쟁에서의 거란ㆍ해의 활약과 반당 항쟁
1. 머리말 2. 당 태종의 ‘이이제이’ 방책과 거란ㆍ해 3. 당의 기미지배와 고구려와 거란의 공방 4. 거란ㆍ해의 반당 항쟁과 여당전쟁 5.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 초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