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71806050
· 쪽수 : 746쪽
· 출판일 : 2023-02-23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 왜 내러티브인가
제1장-내러티브란 무엇인가
1. 내러티브의 의미
2. 내러티브와 인간
3. 내러티브와 지식: 내러티브 지식과 내러티브 인식론
4. 내러티브와 교육
제2장-내러티브 등장 배경
1. 학문적 배경
2. 문화구성주의
3. 내러티브 전회
제3장-내러티브의 확장: 사고양식과 지식의 구조
1. 사고양식으로서 내러티브
2. 지식의 구조로서 내러티브
제2부 - 내러티브와 인간
제4장-내러티브 이전의 인간관
1. 기본 전제: 인간의 마음에 대한 관점
2. 주체 개념으로 본 인간관
3. 교육받은 인간의 특징
4. 인간 마음에 대한 연구로 본 인간관
제5장-내러티브와 인간 존재
1.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인간 존재
2. 내러티브와 시간성
3. 행위를 설명하는 내러티브
제6장-의미 구성 존재로서 인간: 내러티브 자아
1. 기존의 자아관과 변화하는 자아관
2. 내러티브 자아 구성
제3부 - 내러티브와 지식
제7장-내러티브 이전의 지식관
1. 과거 지식 분류
2. 근대적 지식관: 정초주의, 실증경험주의
제8장-내러티브와 새로운 지식관
1. 지식을 바라보는 변화의 징후들
2. 인간 마음을 새롭게 보기
3.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에서 바라보는 새로운 지식
제9장-내러티브 인식론의 전개
1. 내러티브 인식론의 대두: Bruner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2. 내러티브적 앎의 성격
3. 내러티브적 앎의 이론적 위치
4. 내러티브 인식론
제4부 - 내러티브와 교육의 과정
제10장-내러티브 이전의 교육 양태
1. 도관을 통한 전달식 교육 모형: Conduit Metaphor
2. 기존의 수업이론
3. 중간언어 교육: 중간언어 접근
제11장-내러티브와 교수학: Folk Pedagogy와 교수 설계
1. 지식의 교수-학습의 변화 토대
2. Folk Pedagogy로의 전환
3. Narrative Pedagogy로의 혁신적 변환
4. 내러티브 학습
5. 브루너의 내러티브 수업이론
제12장-내러티브 기반 교육 혁신
1. 내러티브 사고와 교육: 전달이 아닌 구성하는 교육
2. 내러티브 교수와 교육과정으로의 대전환
3. 내러티브 기반 페다고지: 내러티브 인식론으로 수업 바라보기
4. 내러티브 자아와 자아정체성 교육이 중요하다
제13장-마무리와 미래 과제
1. 현재 문제: 입시로 뒤틀린 한국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2. 내러티브 역량 교육: 인간사회의 미래와 내러티브 역량
3. 내러티브 기반 미래 구성: 창의, 상상력
4. Folk Pedagogy에 기반한 역량 교수 실천 재구조화
5. 진정한 내러티브 자기성 교육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