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시대를 담는 그릇)

김봉렬 (지은이), 이인미 (사진)
돌베개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 (시대를 담는 그릇)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71992333
· 쪽수 : 403쪽
· 출판일 : 2006-03-31

책 소개

건축가이자 건축사학자인 김봉렬 교수가 25가지 테마로 엮은 한국건축 이야기. 기초부터 심화이론, 현안에서 대안까지를 다룬 '한국건축의 집대성'이다. 1995년 11월부터 월간 「이상건축」에 연재되었던 글을 묶은 책으로, 1999년 초판이 발간된 이래, 한국 전통건축 전반을 충실하게 다룬 교양입문서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2006년 출간된 개정증보판에서는 기존의 내용을 수정.보완하고, 사진을 올컬러로 교체했다.

목차

[ 1권 - 시대를 담는 그릇 ]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폐허 앞에서
추천의 글 : 가슴으로 읽는 건축 / 승효상

1. 세계적 유산의 또 다른 이야기 - 불국사와 석굴암
불국사와 석굴암론의 쟁점들 l 최고의 하이테크 건축 l 국제적 염원의 성취, 석굴암 l 경전으로서의 건축, 불국사 l 다보탑이냐, 석가탑이냐?

2. 문화적 전환기의 건축 - 안압지와 마곡사
변화와 위기의 순간들 l 통일의 기념 정원 안압지 l 안압지, 극단적인 것들의 통합 정신 l 원의 지배와 문화의 수입, 경천사지 10층석탑 l 마곡사의 탑, 이 시대의 업경대 l 두 가람의 집합체, 마곡사

3. 백제계 건축의 평지성 - 미륵사와 금산사
백제권 건축과 지형 l 백제권의 미륵신앙과 사찰건축 l 미륵신앙의 본산, 금산사 l 금산사의 전각들

4. 침묵의 기념비 - 종묘
왕조의 정통성을 위하여 l 길과 선의 건축 l 길어지는 건물들과 척도감 l 종묘의 다른 건물들 l 세계문화유산을 살리는 길

5. 장인정신과 공예적 전통 - 전북의 작은 사찰들
장인들과 공예정신 l 완주 화암사 l 부안 내소사 l 부안 개암사 l 고창 선운사 참당암

6. 유희에서 실용으로 - 부용동 원림과 해남 녹우당
어부사시사와 전가서사, 관념과 사실 l 보길도의 놀이구조 l 자연 속의 극장, 세연정 l 중세적 장원, 녹우당 l 녹우당, 실용의 정신 l 윤씨 가의 건축들

7. 합리주의 낭만주의 - 양동마을의 관가정과 향단
양동마을 이야기 l 갈등구조 속의 건축 l 절제와 규범 속의 다양함, 관가정 l 뚜렷한 개성과 의도, 향단 l 관가정의 합리성과 향단의 낭만성

8. 조선시대의 평창동 - 양동마을 주택들
양동마을 주택들의 개별성 l 고전적 원형, 서백당 l 종가급의 주택들 l 중기의 주택들 l 정자와 서당

9. 모방인가, 창조인가 - 수원화성
계몽군주의 영원한 도시 l 18세기 르네상스의 꽃 l 새로운 정신, 새로운 도시 l 견고하고 아름다운 성곽 l 또 다른 수원화성들

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l 도면 목록 l 찾아보기

발문 - 고전으로서의 한국건축 / 정기용


[ 2권 - 앎과 삶의 공간 ]

개정판 서문 : 참회와 사랑의 고백
초판 서문 : 깨달음과 변화의 영원함

1. 폐허 속의 상상력, 미륵대원
상상력의 원천, 건축적 폐허 l 하늘재 밑의 석굴사원 l 자연에 대한 순응과 인공적 변형

2. 소리와 그늘과 시의 정원 - 소쇄원
창평들과 별뫼의 원림들 l 소쇄원 경영의 뜻 l 3개의 레벨과 건물 l 구성 요소, 담장과 물길 l 맑고 시원함이 오는 곳 l 소쇄원 사람들의 보존 노력 l 인근의 정자들

3. 은둔을 위한 미로들 - 독락당과 옥산서원
회재 이언적의 사상과 건축 l 적극적인 은둔의 조건 l 은둔을 위한 미로의 구성 l 독락당, 홀로 즐거운 집 l 옥산서원의 건축사 l 정통주의의 재현 l 안강 세 골짜기의 건축

4. 중층건축의 지역성 - 양진당과 대산루
낙동강 서쪽의 이상한 집들 l 상주 양진당 l 양진당과 관련된 건축들 l 상주 대산루 l 우산동천의 건축들 l 상주의 건축이 갈망했던 것 l 상주의 이층집들

5. 예학자의 이상향 - 윤증고택
윤증과 중세의 이상 l 향촌에 공개된 장원 l 안채와 안마당 l 사랑채와 행랑채 l 절제와 여유 l 윤증가의 다른 건축들

6. 중세적 장원의 흔적 - 선교장
강릉, 변방의 중심 l 장원으로서의 선교장 l 두 집의 집합체 l 집합의 데이텀들

7. 공동체 마을과 건축 - 방촌마을
전통 마을에서 배우는 것 l 숨겨진 광맥, 방촌마을 l 마을과 땅의 생김새 l 공동체의 장소 l 마을 길의 구성 l 살림집들의 모습 l 개별 주택의 발견 l 생활 속의 디자인 능력 l 주변의 공동체 건물

8. 설화로 이룬 천상의 세게 - 광한루원
지상에서 천상으로 l 남원부의 센트럴 파크 l 누각이란 무엇인가 l 누대와 누원의 사상과 설화 체계 l 설화와 문학이 빚은 정원 누각

9. 최후와 최고 - 선암사
선암사가 최고인 이유 l 조계산의 두 사찰 이야기 l 산 속의 자족 도시 l 살아 있는 수도원 집단

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l 도면 목록 l 찾아보기

발문 : 옥시모론, 조선 집의 아름다운 비밀 / 황지우


[ 3권 - 이 땅에 새겨진 정신 ]

1. 집합이 건축이다 - 병산서원
무엇이 건축인가 l 집합적 건축으로서의 병산서원 l 병산서원 이야기 l 자연과 건축의 집합 l 영역군의 구성 l 건물군의 구성 l 건물의 구성 l 집합의 역사 l 주변의 건축, 건축적 원형

2. 한국건축의 창조 과정 - 부석사
터잡기에서 디테일까지 l 창건과 중창에 얽힌 이야기들 l 체(體), 정토신앙과 의상의 건축관 l 용(用), 굴절된 구성 축과 지형 l 상(相), 연속된 흐름을 위한 변주들 l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어 서서 l 죽령 방어선의 건축들

3. 성리학의 건축적 담론 - 도동서원
유고적 건축이론의 전제 l 사림파와 향촌, 서원건축과 도동서원 l 도동서원의 성리학적 건축 담론 l 도동서원 낙수

4. 불교적 건축이론 - 통도사
이론적 건축가는 누구인가? l 불교적 건축관 l 통도사 창건과 자장의 조영관 l 건축 구성의 신비 l 건물군의 집합적 이론과 구성 l 통합을 위한 장치들 l 특징적인 건물들

5. 최소의 구조, 최대의 건축 - 도산서당과 도산서원
건축가로서의 퇴계 이황 l 도산서당, 최소의 구조와 최대의 공간 l 원형과 증축의 질서, 도산서원 l 서원의 건물들 l 퇴계와 관련된 건축들

6. 목구조 형식의 시대사 - 봉정사
동아시아 건축의 목구조 l 봉정사의 역사와 환경 l 구조 형식으로 본 건물들 l 또 하나의 봉정사, 영선암 l 주변의 건축

7. 순환동선과 두 면의 유형학 - 안동의 재사들
건축의 유형과 유형학 l 재사건축 유형의 발생 l 영양 남씨들의 재실, 남흥재사 l 학봉 김성일을 위한 재실, 서지재사 l 진성 이씨의 휴양단지, 가창재사 l 입체적 공간을 위한 유형학적 요소 l 주목할 만한 재사건축들

부록
건축 읽기에 도움이 되는 용어해설 l 도면 목록 l 찾아보기

발문 : 드디어 완간되는 한국건축 연구의 집대성 / 최준식

저자소개

김봉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공학박사, 영국 AAA SCHOOL에서 공부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을 지냈고, 동 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건축 역사 연구와 설계 작업을 병행하며 건축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선 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고운사 건축의 집합구조 연구」 등 3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고,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1, 2』 『김봉렬의 한국 건축 이야기 1, 2, 3』 등 다수의 책을 출간했다. 20대에 집필한 첫 책 『한국의 건축 - 전통건축 편』은 교토에서 일본어판으로 출간되었고, 『The Secret Spirit of Korean Architecture』는 런던 Saffron Books에서 출간되어 2005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한국의 책 100권’으로 선정되었다. <현대중공업 울산영빈관> <아모레퍼시픽 기업추모관> <애양원 치유의 숲> 등 여러 작품이 있다.
펼치기
이인미 (사진)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는건축을, 대학원에서는 영상학을 전공하였다. 과거의 흔적이 어느 도시보다 빠르게 지워지고 있는 부산에서 일상적 기억을 회복하기 위해, 잠시도 머물지 못하고 변화하는 도시의 숨가쁜 생명력을 따라 잡기 위해 사진으로 도시를 만나는 작업을 하고 있다. 7번의 개인전과 다수의 기획전과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나는 도시에 산다』, 『한국건축개념사전』, 『창덕궁』,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등 다수의 출판 작업에 참여하였다. www.beonwho.com
펼치기

책속에서

석굴의 반구형 천장을 이루기 위해서 특별한 고안이 필요했다. 반구형 공간은 기본적으로 돔(dome) 구조법을 채용하고는 있다. 그러나 외국에서 들어온 신공법인 돔 구조의 안정성이 아직은 의심스러웠던 모양이다. 특히 기존의 돔 구조는 외부로 노출된 천장을 만드는 공법이지, 석굴암과 같이 땅속에 묻기에는 불확실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요소요소에 머리가 튀어나온 긴돌들ㅡ이 돌들을 '팔뚝돌' 이라 부르기도 한다ㅡ을 배열하고, 그 사이에 가공한 판석들을 끼워 넣는, 돔과 가구식 구조가 혼합된 독특한 구조법을 개발했다. 석굴 내부 천장에 돌출된 돌 머리들은 그 자체로서 아름다운 입체적 장식품 역할을 한다. 구조와 공간과 장식이 일체를 이룬 완벽한 건축이다. - 1권 30~31쪽, '불국사와 석굴암'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