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악기 2

한국의 악기 2

국립국악원 (지은이)
돌베개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9,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의 악기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악기 2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7199780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6-12-15

책 소개

국립국악원 교양총서. 항상 우리 곁을 지키며 다정다감한 소리를 울리고 있지만, 미처 발견하지 못한 우리 악기를 소개한다. <한국의 악기> 2편에는 아악기와 무구(舞具), 의물(儀物)을 모았다. 이름과 역사, 생김새와 소리 등이 생소하지만, 우리 선조의 깊은 사유와 아름다운 정신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목차

발간사・5
여는 글・6

1장 청화한 중용의 소리, 편경·특경 —송지원 18
경돌의 발견, 편경의 새 역사를 쓰다 / 900여 년간 녹슬지 않은 편경의 위상 / 선善을 전하는 선율 / 편경 만들기 / 편경·특경의 구조

2장 위엄과 기술력의 상징, 편종·특종 —권주렴 46
같은 크기, 다른 음 / 왕실 의례와 함께한 편종·특종의 음악 / 악대의 격을 가름하는 악기 / 편종·특종 만들기 / 편종·특종의 구조

3장 사이좋은 부부를 이르는 악기, 금·슬 —명현 74
우주의 이치를 담은 금 / 사람의 덕을 바르게 하는 슬 / 고대 신화로부터 온 악기 / 가자와 금슬 / 민간에서도 향유하는 악기가 되다 / 다시 연주되는 금과 슬 / 금의 구조 / 슬의 구조

4장 바람이 전하는 고대의 소리, 약·적 —김채원 98
봄의 소리, 약 / 적의 십자공과 허공 / 아악의 이념을 담아낸 그릇 / 일본음악을 알린 샤쿠하치 / 약·적 만들기 / 약·적의 구조

5장 역사의 정취가 서려 있는 소·관 —김정수 118
낯선 소, 궁금한 소 / 수레에 가득 실린 새 악기 / 봉황의 날개를 달고, 봉황의 울음을 싣다 / 단순한 배소가 아름다운 봉소가 되기까지 / 소 만들기 / 『조선왕조실록』에서 만나는 소 / 역사의 뒤안길에 선 악기, 관 / 긴 잠에 빠진 악기가 깨어나는 꿈/ 소의 구조 / 관의 구조

6장 평화와 조화를 전하는 울림, 훈·지·부 —천현식 146
맑고 부드러운 소리의 지, 독특한 음빛깔을 지닌 훈과 부 / 역사의 흔적으로 본 악기의 흥망성쇠 / 옛 그림에서 훈·지·부를 만나다 / 외래음악, 우리 음악으로 다시 태어나다/ 훈의 구조 / 지의 구조 / 부의 구조

7장 생명을 품은 천상의 소리, 화·생·우 — 정환희 182
봄볕에 자라는 초목의 소리 / 옛 그림에서 만나는 생황 / 생황이 소리 내는 법 / 생황 만들기 / 이웃 나라의 생황 / 생의 구조

8장 신에게 바치는 신명의 울림, 절고·진고 — 문봉석 208
다채로운 절고, 담백한 진고 / 제례악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악기 / 구절 짓는 절고, 나아가는 진고 / 절고 이전의 악기, 박부 / 진고의 기원이 된 악기, 현고 /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위치를 바꾸다 / 절고·진고의 구조

9장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는 축·어 — 문주석 230
글자에 담아낸 축·어 / 축·어에 숨은 숫자의 의미 / 옛글과 옛 그림으로 만나는 축·어 / 축의 구조 / 어의 구조

10장 고대로부터 온 제례춤의 상징, 약·적·간·척 — 권혜경 252
융·복합 예술의 원조, 아악 / 약·적·간·척의 춤, 일무 / 옛 문헌에 보이는 무구 / 인재가 되려면 일무를 추어라 / 약·적·간·척의 구조

11장 아악대의 신호등, 휘·조촉 — 양영진 274
휘와 조촉의 등장 / 소통의 메신저가 된 악기 / 악대의 지휘자, 협률랑 / 국가의 위엄, 봉황과 용 / 언어를 넘어선 악기, 이상향을 구현하다 / 휘의 구조 / 조촉의 구조

후주・310
찾아보기・323

저자소개

국립국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라시대 왕립음악기관인 ‘음성서’에서 출발한 국립국악원은 천여 년의 전통과 역사를 가진 문화예술기관이다. 우리 전통음악의 맥을 잇고자 노력해왔으며, 국악의 현대적 가치와 미래적 전망을 널리 알리고자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있다. www.gugak.go.kr
펼치기

책속에서

사이가 좋은 부부를 흔히 ‘금슬상화’(琴瑟相和)라 하여 ‘금슬이 좋다’ 또는 ‘금실이 좋다’라고 한다. 이 말은 금(琴)과 슬(瑟)이라는 악기에서 비롯되었는데, 그에 관한 기록이 『시경』에 남아 있다. 『시경』은 기원전 1,000년 무렵인 주나라 왕조 초부터 기원전 300년 즈음인 전국시대까지 불렸던 고대 중국의 노래를 담은 책이다. 금과 슬, 두 악기를 사이좋은 부부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 무려 수천 년 전부터임을 알 수 있다.
- 2권 3장 ‘사이좋은 부부를 이르는 악기, 금·슬’

현재도 연주되고 있는 봉소, 즉 ‘소’는 입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중 가장 화려한 모양새를 지녔다. 한 음만 낼 수 있는 관대 여럿을 ‘가’(椵)라는 틀에 꽂아 하나의 악기로 만든다. 관대를 꽂는 나무틀이 봉황의 날개를 닮았고, 악기 소리가 봉황 울음소리를 떠올리게 하여 ‘봉황’(鳳凰)의 이름을 따 ‘봉소’(鳳簫)라고도 한다.
- 2권 5장 ‘역사의 정취가 서려 있는 소·관’

출발과 도착, 탄생과 죽음, 입학과 졸업 등 처음과 마지막을 의미하는 것은 세상 모든 것에 존재한다. 음악에도 시작과 마침을 알리는 신호와 소리가 사용되었다. 서양음악은 손장단을 치거나 바이올린 활대를 흔드는 행위를 연주의 신호로 사용했다. 한국음악에도 음악을 시작하고 마칠 때 사용하는 악기가 있다. 음악을 시작할 때는 축(柷)을 치고, 마칠 때는 어(敔)를 긁는다. 한국악기 분류법으로 축과 어를 분류하면, 이들은 아악기·목부 악기·무율 타악기에 해당한다. 아악기는 아악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악기다. 목부 악기는 나무로 만든 악기를 의미한다. 축과 어는 팔음 중 목(木)의 악기로 분류한다. 무율 타악기는 고정된 음이 없는 물체를 두드려서 소리 내는 악기를 의미하며. 축과 어는 음정이 없는 타악기다.
- 2권 9장 ‘시작과 마침을 주관하는 축·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