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8897209271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3-01-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토정비결과 운명
1. 다섯 성(五姓)보기
2. 토정비결의 원리
3. 토정비결 보는 법
4. 수리법(數理法)
5. 태세수·월건수·일진수
6. 월건(月建) 보는 법 및 시(時) 일으키는 법
제2장 토정비결 운세 조견표(2023년~2042년)
제3장 토정비결의 해설 144가지
책속에서
제1장 토정비결과 운명
3. 토정비결 보는 법
「토정비결」은 반드시 음력으로만 보도록 되어 있다. 먼저 자기의 나이 숫자를 놓고 신수를 보고자 하는 해의 간지(干支)를 다음의 도표에서 찾아보면 연수(年數)인 태세수(太歲數)가 있으니 그 숫자를 나이 숫자와 합(合)하여 8로 나눈다. 나누어 남는 숫자가 상수(上數)가 된다.
예를 들자면 31세인 사람이 2023년의 신수를 보려면 31이라는 숫자에다 2023년의 간지(干支)인 계묘년(癸卯年)의 태세수인 15를 합한 31+15=46을 8로 나누면 6이 남으니 상수(上數)로 정한다. 즉 상수는 6이 되는 것이다. 만약 합수(合數)가 56이 나오면 8로 나누어 딱 떨어지고 나머지가 없으니 8을 상수로 정한다.
다음에 자기가 태어난 달의 신수를 보고자 하는 2023년인 계묘년(癸卯年)의 월(月)이 크면 30일이니 30을 놓고 작으면 29일이니 29를 놓는다. 그런 다음 생월(生月)의 월건수(月建數)를 합하여 6으로 나눈다.
예를 들자면 3월생인 사람이 2023년 3월은 크므로(큰 달) 30을 놓고 그 해 3월의 간지(干支)가 병진(丙辰)이므로 병진(丙辰)의 월건수인 12를 합하면 42가 되니 6으로 나누어 딱 떨어지고 나머지가 없으니 6을 중수(中數)로 정한다.
그 다음은 생일(生日) 숫자를 놓고 생일의 일진(日辰)을 찾아 그 일진의 숫자가 얼마인가를 도표에서 찾아 합산한 뒤에 다시 3으로 나누어 마지막 숫자를 하수(下數)로 정한다.
예를 들어 3월 8일생이라면 8에다 2023년 3월 8일의 일진이 을묘(乙卯)이므로 을묘(乙卯)의 일진수인 16을 합하면 24가 되니, 3으로 나누면 딱 떨어지고 나머지가 없으니 3을 하수(下數)로 정한다.
서기 2023년에 31세가 된 3월 8일이 생일인 사람은 계묘년(癸卯年), 병진월(丙辰月), 을묘일(乙卯日)이다.
즉 태세수와 월건수와 일진수를 합하여 얻은 상수인 6과 중수인 6, 하수인 3을 순서대로 나열하니 663이라는 괘를 얻어 낸 것이다. 토정비결에서 663괘를 찾아서 읽으면 그 해의 신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만세력』이 있어야 가능한 고로 만세력이 없는 분들을 위해 또한 만세력이 있어도 계산하기 귀찮아하는 분들을 위해 해설자가 쉽게 찾아서 볼 수 있도록 2023년부터 2042년까지의 운세조견표를 실어 놓았으니 많이 활용하시기 바란다.
참고로 괘(卦)를 뽑아내는 법을 익혀두면 향후 몇십 년 후라도 이 책을 활용하여 그 해의 운세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