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의 이해
· ISBN : 978897252438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08-03-10
목차
머리말
서론 : 히브리들의 사가(Saga), 그 쓸쓸한 시작
제1장 히브리들의 역사대관
1. 강을 건너온 사람들
2, 모세의 등장
3. 왕국에서 디아스포라로
4. 불사조의 역사
제2장 성서는 종교서가 아니라 삶의 규범이요 지혜이다
1. 성서는 유대인의 생활규범이다
2. 모세오경의 율법은 오늘날에도 유효하다
3. 종교는 율법에서 시작된다
제3장 성서의 핵심은 율법이다
1. 성서의 핵심사상은 계약이다
2. 계약사상과 신명기
3. 율법계약은 영원하다
4. 왕이라 할지라도 계약은 파기하지 못한다
5. 계약사상의 내용은 무엇인가
제4장 성서는 잘못 이해되고 있다
1. 성서는 삼십여 명의 다양한 저자들의 손을 통해 기록되어졌다
2. 성서는 역사적 순서에 따른 역사적 사실만은 아니다
3. 성서의 각 권은 본래 책명이 없었다
4. 성서는 구전과 전승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5. 율법의 하나님은 왜 복수형인가?
제5장 성서탄생의 역사
1. 성서의 기본은 모세의 오경이다
2. 성서의 경전화의 과정
3. 현대성서에의 길
4. 기독교 성서는 코이네였다
제6장 예언자는 무엇인가
1. 예언자는 누구인가?
2. 예언자들의 가치체계
3. 성서속의 특이한 사상-이사야
4. 유대인의 천재교육-메시야 사상
5. 불가사의한 예언자들의 행동
6. 개인의식의 발상-예레미야
7. 유대인의 집단 유학 사건
8. 바벨론 강가에서
9. 예언이란 무엇인가
10. 예언이 인류에 끼친 공헌
제7장 구원역사로서 성서
1. 구약성서를 역사로 볼 수 있는가?
2. 구약성서는 최고의 역사자료이다.
3. 신명기 역사 철학
4. 역대기적 역사 철학자들
5. 신명기적 문서들과 역대기적 문서들의 분류
제8장 이스라엘, 유대 그리고 성전
1. 이스라엘과 유대는 같은 것인가?
2. 유대인, 아람, 가나안 그리고 팔레스틴
3. 이스라엘 역사의 기점은 어디인가?
4. 고대 이스라엘 역사는 끝났으나 나그네 길은 계속되다
5. 사라진 이슬라엘 역사의 부록
6. 유대의 멸망은 성서와 경전을 만들었다
권말 특별해설 - 탈무드의 간략한 역사
탈무드의 어머니 구약성서/ 사건인물 역사대조표/ 색인 주제어/ 색인 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