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최석영 (지은이)
서강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개 15,04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제의 조선 식민지 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2732648
· 쪽수 : 286쪽
· 출판일 : 2015-09-24

목차

책머리에

제1장 「식민지 고고학」, 포스트콜로리얼(post-colonial) 고고학 연구의 필요성
1. 식민지와 포스트 식민지는 ‘연속’인가 ‘단절’인가
2. 「식민지 고고학」사(史) 연구의 현실적 필요성
3. 무엇을 고찰할 것인가

제2장 일본 명치기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책과 인류ㆍ고고학의 초창기적 개념
1. 논의의 초점
2. 명치기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 쪽으로의 궤도선회
1) 「신불분리(神佛分離)」의 ‘실질적 포기’와 ‘고기구물’의 보호
2) 고분 발굴을 둘러싼 ‘해코지’ 신앙과 발굴금지령의 발포
3) 유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 ‘주술관(呪術觀)’으로부터 ‘고고학적’ 발상
4) 정부고용[お雇い] 외국인 교사의 역할

3. 「식민지 고고학」의 수행기구와 그 활동: 동경제국대학의 인류학교실, 관련 학회 및 단체
1) 동경제국대학 이학부 인류학교실의 연혁과 그 구성
2) 동경인류학회의 발족과 인류학의 개념틀
3) 고고학회의 창립과 그 초창기적 개념

제3장 일본 국내와 식민지 조선에서 유물ㆍ유적 ‘보호’ 관련 법의 ‘차별적’ 운영
1. 문제 제기
2. 일제의 「외지」 통치기조: 대만과 조선
1) 대만: 일제에 의한 외지(外地) 통치기조의 단초
2) 조선: 일제에 의한 외지(外地) 통치기조의 강화
3. “고기구물(古器舊物)” 보호ㆍ관리의 ‘정치학’: 1910년 이전
1) “고기구물” 보존 관련 법적 토대 구축
2) 고적 보존에 대한 논의
4. 일제의 조선 유물ㆍ유적 ‘보호’ 관련법의 차별적 운영
1) 출토 유물의 조선 밖 반출 금지 조항이 없는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1916년)
2) 「고적 및 유물보존규칙」의 효용성 의문
3) 「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령」과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의 비교
5. 문화재 반환의 전제 조건

제4장 일본고고학회 기관지 『고고계考古界』·『고고학잡지考古學雜誌』를 통해 본 「식민지 고고학」의 전개
1. 논의의 초점
1) 전쟁과 인류ㆍ고고학적 조사활동
2) ‘권력’과 ‘차별’, ‘소유’의 고고학: 「식민지 고고학」의 표상
2. 「식민지 고고학」 이전(以前)의 조선조사
1) 이민(移民)의 장려와 재한(在韓) 단체에 의한 조선 조사와 수집
2) 유물 관리 인프라 구축: 일본 근대 최초의 박물관 개관
3) 동경제국대학 인류학교실 야기 쇼자부로(八木?三郞)의 한국 조사
4) 한반도를 둘러싼 패권 경쟁과 고고학 조사
3. 일제의 조선 강점 하 「식민지 고고학」의 전개
1) 식민지 문화에 대한 자의적(恣意的) 분류
2) 부여 능산리 고분에 대한 조사 편의적 명명(命名)과 발굴
3) 전각과 객사 등을 활용한 식민지 유물의 관리
4) ‘유사(類似) 전문가’에 의한 발굴
5) 식민지 출토 유물의 조선 밖 반출과 경매처분
6) 일본의 인류ㆍ고고학의 토대 구축과 외지 조사
7) 재조(在朝) 일본인에 의한 유물 수집
8) 제국에 의한 식민지 출토 유물의 표상
9) 일본에 의한 조선 ‘진출의 역사’ 재현: ‘문록ㆍ경장(文祿慶長)의 역(役)’

이 책을 맺으면서 : 성과와 과제
1. 성과
1) 조선 「식민지 고고학」이 시작된 전후(前後)의 상황
2) ‘차별’과 ‘배타’의 「식민지 고고학」과 유물 유출
3) 문화재 반환의 기초적 과제


참고문헌
찾아보기(용어)
찾아보기(인명)

저자소개

최석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1985. 2) 한 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한국사) 석사과정 수료(1990. 8) 일본 중부대학 대학원 석사(국제관계학 : 지역연구) 졸업(1995. 3) 히로시마대학 대학원 박사과정(국제사회론 : 인류학) 졸업(1998. 3). 학술박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1999. 11~2006. 6)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연구 조교수(2009. 3~2010. 5)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관장(학예연구관, 2010. 6~2022. 6) 현재, 공주대학교‧경희대학교(후마니타스) 강사 · 저서 『일제의 동화 이데올로기의 창출』, 『한국 근대의 박람회‧박물관』, 『일제의 조선 연구와 식민지적 지식생산』(문화체육부 선정 우수도서), 『일제 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 『한국박물관 100년 역사 : 진단과 대안』, 『일제의 조선 「식민지고고학」과 식민지 이후』, 『영문법 원리의 비밀 캐기』(e북) · 공저 『문화관광과 박물관』, 『전통의 국가적 창안과 문화변용』,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交涉する東アジア』, 『博物館という裝置』, 『일제 강점기 안면도와 아소상점』(태안문화원) · 역서 『사회인류학의 과거, 현재와 미래』, 『일본 근대 국립박물관 탄생의 드라마』, 『인류학자와 일본의 식민지통치』(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우수도서), 『제국의 시선』(공역), 『일본 근대미술사 노트』, 『근대 일본 미술의 탄생』, 『식민지건축』, 『근대 일본 국가신도와 창출과 그 후』 · 읽고 쓰는 형식으로 『일본고고학사와 식민지고고학을 만나다』 외에 서구‧일본에서의 박물관학(museum studies)』 연구 저술을 대상으로 한 『박물관학 시리즈』(현재까지 9권 집필) 기타 논저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2734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