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88972774082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15-11-30
책 소개
목차
드론의 활약
구조대·양치기·집배원 만능 드론 12
공룡 이름에 담긴 뜻
티라노사우루스는 폭군 도마뱀 왕 17
희귀병 걸린 사람을 ‘냉동인간’으로?
의학 발전 vs 생명 상품화 22
아기는 어떻게 태어날까?
정자‘헉헉’ 빨리 헤엄쳐야 살아남아요 26
쌍둥이가 태어나는 원리
한 방에서 자라면 얼굴 똑같네 31
해수욕장 모래, 어떻게 만들어질까?
파도 ‘철썩’ 치면 바위가 모래알로 35
수영에 숨겨진 과학원리
지방은 ‘동동’ 근육은 ‘퐁당’ 39
다른 동물 속여 새끼 기르는 ‘얌체’ 동물
뱁새는 왜 뻐꾸기 새끼를 키워줄까? 43
생태계 교란하는 외래동식물
토종 씨 말리는 가시박·붉은귀거북 48
인간, 호모에렉투스 때부터 던지는 행동
공 던지기, 캥거루 점프… 탄성 에너지 덕분! 52
3D프린터 특허 끝나
자동차 부품·우주정거장 장비도 뚝딱뚝딱 56
인터페이스 기술, 어떻게 발전했을까?
생각만으로 상대방을 움직이게 하라! 59
인류의 식량 자원으로 떠오르는 곤충
곤충으로 만든 햄버거·소시지 ‘냠냠’ 62
태풍 이름 속 숨겨진 비밀은?
나리·개미·너구리… 우리말로 된 이름이었네! 66
산타와 관련된 수학·과학 이야기
지구 모든 어린이 선물 포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1
1년에 2만5000km 이동하는 겨울철새 이야기
철새들이 V자 모양으로 나는 이유는? 75
야구 속 과학 이야기
습도 높으면 홈런이 팡팡! 79
소행성 ‘커리클로’에 고리 발견
태양계 행성들 고리, 어떻게 발견됐을까? 83
파리는 지구 최고의 비행사
1초에 날개 200번 ‘파닥파닥’ 87
지하철은 어떻게 움직일까?
전기 ‘찌릿’ 하면 지하철 꼬리 ‘꿈틀~’ 91
선선해진 날씨, 머리카락 많이 빠지는 이유?
두피 각질이 모낭 꽉 막아 95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로 시력 되찾아
어떤 세포로든 변하는 만능세포 98
왜 추울수록 해가 일찍 질까?
계절마다 햇빛 양 달라져요 102
김장김치 맛 속 숨겨진 과학
‘아삭’배추에서 ‘새콤’김치로 106
인공 눈에 숨겨진 과학 원리
왜 스키장엔 항상 눈이 수북할까? 110
겨울철 부츠 속 냄새… 원인은 곰팡이
‘병 주고 약 주고’ 두 얼굴 115
화산이 폭발하는 과정
부글부글 마그마, 모이면 쾅쾅 119
민속놀이에 숨은 과학원리
빙글빙글 팽이가 도는 이유는? 124
원자력 발전의 두 얼굴
에너지 생산 효율적 vs 방사성 물질 위험 127
식물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의 원인?
적당하면 ‘약’ 과하면 ‘독’ 131
충남 보령 바닷가에서 공룡발자국 화석 발견
부드러운 진흙 위에 발자국 ‘꾹’ 135
리뷰
책속에서
** 브론토사우루스는 ‘천둥’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bronto’와 ‘도마뱀’이라는 뜻의 영어 ‘sauro’를 합한 말이다. 걸을 때 천둥치는 듯한 발소리가 났을 만큼 공룡의 덩치가 매우 컸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공룡의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담겼을까?
** 곤충이 식량자원으로 쓰이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우선 경제적이라는 점이다. FAO에 따르면 소에게 풀을 100㎏ 먹이면 쇠고기를 6.5㎏ 정도 얻지만, 곤충은 같은 양의 먹이로 54㎏ 정도를 생산할 수 있다.
** 이런 무시무시한 위력에 비해 태풍에 붙여진 이름은 가볍게 느껴지는 편이다. ‘다나스’는 필리핀어로 ‘경험’을 뜻하며, ‘나리’는 우리나라 말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을 뜻한다.
왜 강력하고 무시무시한 태풍에 이런 이름을 붙였을까? 태풍의 이름에는 어떤 뜻을 담고 있고, 언제부터 이름을 짓기 시작했는지 살펴보자.
**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쪽에 있는 새는 힘들지 않게 날 수 있겠지? 그러다보니 뒤따르는 새들은 하강기류가 일어나는 대장철새의 몸통 바로 뒤가 아닌 상승기류가 일어나는 날개 끝단의 뒤 쪽에서 날아가는 것이지. 이렇게 V자 대형을 이뤄 날면 심장 박동과 날갯짓 횟수가 11∼14% 줄어든다는구나.
** 건조한 날과 습기가 높은 날 중에 언제 더 야구공이 멀리 날아갈까? 정답은 습기가 높은 날이다. 대기 중에 습도가 높으면 공기의 밀도가 떨어져 그만큼 공기의 저항이 작아진다.
** 파리는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어느 방향으로 날아야 하는지 빠르게 계산하고 순식간에 방향을 바꾼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 미국 코넬대는 파리가 장애물을 인식하는 기관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최근 실험을 진행했다
** 모낭에서 머리카락은 어떻게 날까? 모낭 속 세포는 두피 표면으로 이동한 뒤 죽는다. 이렇게 죽은 세포들이 서로 결합해 머리카락이 된다. 새롭게 죽은 세포가 이전에 죽은 세포를 밀어 올리는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머리카락이 길어진다. 머리카락은 죽은 세포들이 모인 줄기인 셈이다.
** 줄기세포는 신체 내 모든 세포나 조직을 만들어내는 기본적인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에는 사람의 배아(수정란·여성의 생식세포인 난자와 남성의 생식세포인 정자가 합쳐진 것)를 이용해 만들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와 특정한 기관이 다치거나 늙어서 죽으면 그 곳에 새로운 세포를 공급하는 ‘성체줄기세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