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2955436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8
요약 12
1. 서론 17
2. 실제론과 균일론 21
2.1 정의와 의미 21
2.2 역사에서 비실제론적 사고의 종교적 기원 26
3. 역사에 대한 정의 31
4. 역사분야 학문의 근본적인 문제 37
4.1 흄의 법칙 40
4.2 역사 기록의 불완전성 41
5. 역사분야 학문과 자연과학 47
6. 아담 스미스와 제임스 허턴의 역사과학 57
6.1 스미스와 허턴의 과거 탐구에 관한 고찰: 흄의 철학과의 연관성 58
6.2 아담 스미스 (1723-1790) 60
6.3 제임스 허턴 (1726-1797) 90
7.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와 칼 마르크스의 역사과학 125
7.1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 (1749-1817) 127
7.2 칼 마르크스 (1818-1883) 155
8. 허턴, 스미스, 베르너 그리고 마르크스의 진화이론 비교 175
9. 결론 187
감사의 글 207
미주*1) 211
옮긴이의 글 225
참고 문헌 227
책속에서
“과학의 진보과정에서 사실과 오류는 서로 다투게 마련이다. 자연철학(자연과학) 내에서 진리가 정립될 가능성은..... 과학이 잘못된 개념을 제거해 내는 능력에 비례할 뿐이다.”
..... 현재에 기반한 다양한 모델 생성, 무자비한 검증과 부적합한 모델의 폐기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최종적인 해답을 얻었다고 믿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가 현재의 열쇠이기 보다 현재가 항상 과거에 관한 좀 더 믿을만한 열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