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재는 과거의 열쇠인가 과거가 현재의 열쇠인가

현재는 과거의 열쇠인가 과거가 현재의 열쇠인가

알리 메메트 세랄 셍괴르 (지은이), 이철우, 고주영 (옮긴이)
충북대학교출판부(CBNUPRESS)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800원
15,200원 >
16,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6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재는 과거의 열쇠인가 과거가 현재의 열쇠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재는 과거의 열쇠인가 과거가 현재의 열쇠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2955436
· 쪽수 : 271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흄의 법칙과 포퍼의 오류검증을 기초로 삼아 실제론적 관찰과 유추를 통한 가설 도출과 검증 등의 비판적 합리주의적 접근이 믿을만한 해석을 이끌어 낸다. 그러한 지식 창출의 성과를 이해하기 위해 서로 반대되는 입장의 경제사가 스미스와 마르크스, 지질학자 허턴과 베르너의 역사해석을 비교 고찰하였다.

목차

머리말 8
요약 12

1. 서론 17

2. 실제론과 균일론 21

2.1 정의와 의미 21
2.2 역사에서 비실제론적 사고의 종교적 기원 26

3. 역사에 대한 정의 31

4. 역사분야 학문의 근본적인 문제 37

4.1 흄의 법칙 40
4.2 역사 기록의 불완전성 41

5. 역사분야 학문과 자연과학 47

6. 아담 스미스와 제임스 허턴의 역사과학 57

6.1 스미스와 허턴의 과거 탐구에 관한 고찰: 흄의 철학과의 연관성 58
6.2 아담 스미스 (1723-1790) 60
6.3 제임스 허턴 (1726-1797) 90

7.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와 칼 마르크스의 역사과학 125
7.1 아브라함 고틀로프 베르너 (1749-1817) 127
7.2 칼 마르크스 (1818-1883) 155

8. 허턴, 스미스, 베르너 그리고 마르크스의 진화이론 비교 175

9. 결론 187

감사의 글 207
미주*1) 211
옮긴이의 글 225
참고 문헌 227

저자소개

알리 메메트 세랄 셍괴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튀르키예의 지질학자로 구조지질학 및 지구조학을 연구하였으며, 1992년부터 2022년까지 이스탄불 공과대학(İSTANBUL TEKNİK UNİVERSİTESİ, ITU)의 광산학부 일반지질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미국 등에서 방문교수로 일했습니다. 그는 1988년 뉴샤텔대학교로부터 명예 과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9년에 영국지질학회로부터 Bigsby Medal을, 2010년에 독일 지질학회로부터 Gustav-Steinmann-Medaille을 수상하였으며, 2018년에는 유럽 지구과학연합(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EGU)으로부터 Arthur Holmes Medal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미국철학회 회원이었으며, 독일 과학아카데미(2012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2016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2018년), 세르비아 과학 및 예술 아카데미(2018년) 등의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펼치기
이철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해양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해양지질학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에서 퇴적학, 층서학,석유지질학 등을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국내의백악기 지층과태안층에 관한 퇴적학 및 층서학 연구 논문을 발표했으며,지은 책으로는 '퇴적학'(1995), 옮긴 책으로는 '과학이 종교를 만날 때'(이안 바버, 2002),'과학은 예술이다'(보리스 카스텔, 세르지오 시스몬도, 2003),'종교는 진화한다'(데이비드 슬론 윌슨, 2004), '시간의 화살과 시간의 순환'(스티븐 제이 굴드,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고주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에서 수학했으며 전공은 척추 고생물학이다. 고교 시절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학 전시자료의 오류에 관한 연구를 출판한 이래로 국내 최초의 가자미 화석을 보고했고, 심해성 어류 화석 연구에 참여했다. 현재는 세계 최고(最古) 도롱뇽 화석에 대해 북경대학교와 연구하며 그 기원와 진화에 대해서 탐구하고 있다. <한국지구과학회지>,등 국내외 학술지에 4편의 연구논문을 단독, 공동 게재했다. 인문, 예술(문학)에 걸친 다방면의 관심 주제를 폭넓게 공부하고 있으며 전공인 고생물학, 지질학과 어떤 접점을 만들 수 있는지 궁리하고 있다. <대한민국 인재상> 외 5건의 과학연구대회에서 수상했으며 인문-예술-과학 혁신학교를 표방하는 건명원에서 수학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의 진보과정에서 사실과 오류는 서로 다투게 마련이다. 자연철학(자연과학) 내에서 진리가 정립될 가능성은..... 과학이 잘못된 개념을 제거해 내는 능력에 비례할 뿐이다.”

..... 현재에 기반한 다양한 모델 생성, 무자비한 검증과 부적합한 모델의 폐기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최종적인 해답을 얻었다고 믿는 것은 역효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가 현재의 열쇠이기 보다 현재가 항상 과거에 관한 좀 더 믿을만한 열쇠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