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72977407
· 쪽수 : 540쪽
· 출판일 : 2015-09-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 5
ㄱ
가부장제 - 14 문은미
감정노동 - 25 박홍주
글로벌라이제이션 - 46 문현아
ㄴ
“나는 페미니스트는 아니지만” 증후군 - 63 이경
남녀동수법 - 77 임옥희
ㅁ
매춘 - 93 김경미
문화유물론 - 109 현남숙
ㅅ
사랑 - 126 김미연
생존 회로 - 141 엄혜진
섹슈얼리티 - 162 박이은실
숭고 - 183 김주현
시민/시민권 - 210 문현아
ㅇ
양심적 병역거부 - 225 김성민
여성들의 여행 - 245 허윤
여성 살해 - 263 황주영
우울증 - 292 조현준
ㅈ
재생산 - 307 조영미
재현 - 318 박미선
젠더 - 335 박미선
주체성 - 350 노성숙
ㅋ
코라 - 371 임현주
퀴어 - 388 박이은실
ㅌ
타자 - 424 김미연
트랜스젠더 - 439 운조
ㅍ
페미니스트 지리학 - 474 김현미
포스트페미니즘(들) - 497 박이은실
ㅎ
호주제 - 509 고은광순
글쓴이 - 528
찾아보기 - 53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가부장제>
기본적 정의
가부장이란 말 그대로 가족의 우두머리인 가장을 일컬으며 가부장제란 가족 성원에 대한 가장의 지배를 지지하는 체제를 뜻한다. 넓은 의미에서 가부장제는 개별 가족 구성원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연소자와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를 지지하고 구조화하는 체제이다.
개념의 기원과 발전
가부장제는 여성 억압의 원인을 설명하면서 성별 관계의 변화를 포착하기 위한 개념으로 페미니즘 이론에서 핵심이 되는 용어다. 사회학자인 베버Max Weber가 남자들이 가장이라는 지위를 통해 사회를 지배하는 통치 체제를 언급하는 데 이 용어를 사용했지만,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에 대한 남성 지배male dominance에 초점을 두고 가부장제 개념을 통해서 여성 억압과 종속에 대한 고유한 이론을 만드는 데 집중했다.가부장제 개념은 초기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를 중심으로 여성 억압과 종속의 원인을 밝히고 여성 종속과 남성 지배에 대한 독자적 이론을 개발하려는 시도로부터 발전했다. ‘성 정치학sexual politics’이라는 개념을 통해 여성 억압의 보편적 특성을 분석한 밀렛Kate Millet은 가부장제를 “한 출생 집단이 다른 출생 집단을 지배하려는 오래되고 보편적인 하나의 책략’으로 보고, 이는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 나이 많은 남성이 어린 남성을 지배하는 두 가지 원칙에 따라 조직된다고 주장했다. 남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누리는 권리를 바탕으로 여성에
게 행사되는 정치권력이 사회가 작동되는 가장 근본적인 관계를 만들어내고, 그 근본적인 관계가 바로 남성과 여성의 지배.피지배 관계라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계급 구분’보다 더 분명하고 엄격하고 획일적이며 의심할 바 없는 영
속적인 가부장제 사회”라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