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성문화이론연구소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시간제 노동을 중심으로 성별화된 불안정노동에 대한 박사논문을 쓰고 있다. 대학 성폭력상담소와 여성노동 관련 단체에서 오랫동안 일했고, 성노동 이슈에 관심이 있다. 『성노동』, 『왜 아직도 젠더인가』, 『Work and Sexuality』 등의 공저가 있다.
펼치기
배상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소설 재론-여성, 노동, 섹슈얼리티」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아스(SOAS, University of London) 한국학연구소 방문학자, 선문대학교 토대사업단 연구원을 역임했다. 2019년 현재 튀빙겐대학교(University of Tubingen) 한국학연구소 방문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운영위원과 『여/성이론』 편집주간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의 문학, 영화, 대중문화에 재현된 여성, 노동, 섹슈얼리티를 지구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성노동자에 대한 낙인을 통해 본 해방기 성노동자 재교육 운동의 한계-김말봉의 『화려한지옥』, 박계주의 『진리의 밤』을 중심으로」(2014), 「‘여성 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설정의 필요성-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중심으로」(2014), 「1930년대 초반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계급의식과 여성 동성사회성」(2019)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한국 근대문학과 동아시아-일본 』(2017), 『다락방 이야기-페미니스트 연구공동체 여이연』(2017), 『혁명을 쓰다-사회주의 문화정치의 기록과 그 유산들』(2018), 『임화문학연구』 6(2019, 이상 공저) 등이 있다.
박사논문의 주제를 발전시켜, 세계문학의 시각에서 한국의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노동 문학의 젠더를 분석하여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국제성이란 무엇인지 밝히고, 더 나아가 남한이 전지구적 자본주의 관계 안에 포섭되면서 어떤 노동과 노동자들이 문학의 주요재현 대상이 되는지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이후 남한과 북한 문학에서 냉전질서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젠더, 인종, 인류세의 관점에서 연구할 계획도 있다.
펼치기
사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인독문, 가족, 성노동, 로맨스 등 여러 세미나에서 공부했다. 책 읽기 보다 노는 걸 더 좋아하는데 수년간 여이연 책 만드는 일을 하고 있고, 일 하다 지치면 다락방 작은 창으로 하늘 보기를 즐긴다. 즉흥연극 배우이자 강사이기도 하다.
펼치기
오경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미나를 통해 연구소 회원이 되었고, 현재는 연구소에서 일하며 공부하며 활동하고 있다. 예술과 과학 기술이 전공인지라 이와 관련한 강의를 연구소에서 주로 해왔다. 성노동 세미나와 로맨스 세미나에 참여했다.
펼치기
(사)여성문화이론연구소 (엮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는 역사를 다시 쓰고 대안 문화를 만들며 새로운 이론을 생산하고자 한다. 여성이라는 현재의 정체성을 만든 역사에 균열과 틈새를 내겠다는 의미에서 이 책의 제호《여》와《성》사이에 빗금(/)을 그었다. 기존의 여성이란 남성을 상정하지 않고는 자존적일 수 없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여성에 틈새를 내는 여/성의 이론을 만들어보려 한다. 여성이라는 요상한 이름과 성이라는 기이한 이름의 역사를 다시 쓰겠다는 것이다. 다시 쓰는 행위는 여성주의적 주체의 역사를 창출함을 의미한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