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7300643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5-07-29
책 소개
목차
서론
1부 가족
1장 가족 개념과 의식의 변화
1. 가족 개념
2. 의식의 변화
2장 가족 구조 및 기능 변화
1. 가족 구조의 변화
2. 가족의식 및 관계의 변화
3. 가족 기능의 변화
3장 복지의식의 성장
1. 가족주의와 복지의식
2. 복지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의식의 등장
2부 가족과 지원체계
4장 지원체계의 변화
1. 제도적 지원체계
2. 정책적 지원체계
3. 정서적 지원체계
5장 가족과 사회안전망
1. 두 가지 관점
2. 사회안전망으로서의 가족의 문제
3. 가족을 지원하는 사회안전망 구성
4. 가족 사회안 전망
6장 가족과 사회지원체계
1. 새로운 지원체계
2.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지원체계 모형
7장 가족과 관계지원체계
1. 가족관계
2. 가족관계의 질
3. 가족관계지원 프로그램
3부 외국의 사례
8장 가족제도 : 일본.대만
1. 전통적 가족제도
2. 현대 가족의 현황
9장 가족정책 : 호주
1. 가족지원정책과 사회 변화
2. 가족지원정책의 배경
3. 가족지원정책의 내용
10장 가족실천 : 미국
1. 가족탄력성
2. 가족탄력성의 주요 요소
3. 관계적 탄력성 강화를 위한 실천 지침
참고문헌
표 목차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능적인 가족에서 부모는 자녀들에게 일관성 있는 기대와 결과를 주며, 관심, 인정, 승인을 통하여 적응적인 행동을 보상하고, 자녀의 성공을 지지한다. 또한 부모는 자녀의 양육과 훈육에 관한 기본 원칙 및 규칙에 일관된 방식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부모가 각기 나름대로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아동을 교육하고 훈육한다면 이는 아동에게 혼란을 주게 되며, 부부간에도 이로 인한 갈등이 야기되어 전체 가족 체계에 역기능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족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에서는 부모가 자녀의 양육과 훈육에 관해 어떠한 규칙을 적용하고 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지, 그리고 자녀의 바람직한 행동과 부적절한 행동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부모가 자녀의 성장을 지도할 수 있는 양육과 훈육의 방법을 선택하도록 한다. - 본문 17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