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73041718
· 쪽수 : 476쪽
· 출판일 : 2022-03-04
책 소개
목차
서문
한국 독자를 위한 서문 (Vorwort fur die koreanische Ausgabe)
서론
I. 배경
가. 1500년경의 정치, 사회, 법적 구조
1. 계급 질서와 법 구조
2. 독일 신성 로마 제국
나. 중세 후기와 근대 초기의 종교적 삶
1. 교회의 기관적 외형과 구조
1) 교회와 교황
2) 교회 회의 사상
3) 성직자
2. 경건
1) 신비주의와 새로운 헌신(Devotio moderna)
2) 대중의 경건
3. 갱신운동들
1) 교회 비판과 종교개혁 이전의 개혁 주장들
2) 르네상스와 인문주의
II. 종교개혁: 중심지 – 인물 – 결과
가. 비텐베르크의 종교개혁
1. 개혁자가 된 마틴 루터
1) 신학적 기초: 논쟁들과 종교개혁의 주요 저작들
2) 복음의 선포: 성경번역 – 설교 – 지도
2. 비텐베르크 교수와 신학 교사로서 필립 멜란히톤
1) 만물학자와 그의 학문적 업적
2) 신학자와 개혁자
나. 종교개혁의 확장: 방법과 매개체
1. 설교
2. 노래
3. 인문주의자 집단의 활동들
4. 책의 인쇄
다. 취리히의 종교개혁
1. 종교개혁을 향한 훌드리히 츠빙글리의 길
2. 취리히에서 종교개혁의 시작
1) 츠빙글리의 종교개혁 설교
2) 로마 교회와의 단절
3. 취리히 토론회
1) 제1차 취리히 토론회와 영향
2) 제2차 취리히 토론회
4. 종교개혁의 신학적 기초와 실천적 형성
라. 논쟁과 경계
1. 비텐베르크 운동(1521/1522년)
2. 에라스무스와 자유의지 논쟁(1524/1525년)
3. 츠빙글리와 성만찬 논쟁(1525-1529)
4. 반율법주의 논쟁(1527년, 1537/38년)
마. 종교개혁과 다른 견해들
1. 세례파(Das Taufertum)
1) 취리히의 초기 세례파 – 콘라드 그레벨과 펠릭스 만츠
2) 다양한 세례파 – 발타자르 후브마이어, 한스 뎅크, 한스 후트
3) 정착과 분리
4) 뮌스터의 세례파 왕국
5) 메노파와 후터파
2. 영성주의의 형성
1) 토마스 뮌처: 전투적 고난의 계승자
2) 카스파르 슈벵크펠트 폰 오시히: 내적 그리스도의 전파
3) 세바스티안 프랑크: 철저한 개인주의
3. 반삼위일체적 사조들
1) 시작
2) 확장
바.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
1. 스트라스부르로 향하는 마틴 부처의 길
2. 스트라스부르에서 종교개혁의 도입과 정착
3. 분리와 정착
4. 부처의 외부 활동
사. 종교개혁과 교육
1. 중세 후기의 교육제도의 개요
2. 교육 개혁의 종교개혁적 기초들
3. 실제적 변화 – 비텐베르크와 스트라스부르의 유형
아. 종교개혁과 제국의 정치
1. 루터의 로마 재판과 제국의 상황
2. 종교개혁에 대한 제국회의의 의미
1) 1521년 보름스 제국회의와 루터의 추방
2) 1526년 슈파이어 제국회의, 영주들의 교회 지배의 발생과 교회의 질서
3) 1529년 슈파이어 제국회의와 신앙의 문제에서 소수의 권리에 대한 다툼
4) 1530년 아우크스부르크 제국회의와 종교개혁의 신앙고백 형성
5) 슈말칼덴 동맹, 권력의 다툼, 첫 번째 종교 평화 결정들
자. 일치를 위한 노력
1. 비텐베르크 일치 (1536)
2. 황제의 공의회 정책과 슈말칼덴 조항 (1537)
3. 하게나우, 보름스, 레겐스부르크의 종교 대화 (1540/1541)
차. 전쟁과 평화
1. 농민 전쟁(1524-1526)과 마틴 루터의 반응
2. 슈말칼덴 전쟁(1546/1547)과 아우크스부르크 임시령(1548)
3. 제후 전쟁과 파사우 조약(1552)
4. 아우크스부르크 종교 평화(1555)
5. 프랑스 종교 전쟁과 낭트 칙령(1598)
카. 제네바의 종교개혁
1. 칼빈의 종교개혁을 향한 여정과 초기 종교개혁 활동
2. 제네바에서 칼빈의 활동(1536-1538)과 스트라스부르 망명(1538-1541)
3. 칼빈의 제네바 귀환과 계속되는 활동(1541-1564)
1) 교회의 새로운 규범 – 구조, 실행, 교회 치리
2) 교리의 확정 – 신학적 논쟁들
4. 생성되는 루터파와의 단절 – 2차 성찬 논쟁(1552-1557)
1) 취리히 일치(Consensus Tigurinus)
2) 칼빈을 반대하는 베스트팔
3) 개혁파의 교리와 생활에 대한 영향들
III. 영향
가. 종교개혁의 영향 – 유럽의 범위에서
1. 네덜란드
2. 북유럽/스칸디나비아
3. 프로이센과 발트해
4. 헝가리와 지벤뷔르겐
5.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6. 프랑스
7. 잉글랜드
8. 스코틀랜드
9. 스페인과 이탈리아
*****
원전 자료와 참고 문헌
1. 원전 자료
2. 참고 문헌
색인
가. 인명색인
나. 장소색인
다. 성구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