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88973168415
· 쪽수 : 339쪽
· 출판일 : 2025-07-31
책 소개
목차
제1부 90년대 서사주체의 글쓰기의 기원 - 《장석조네 사람들》을 중심으로 -
Ⅰ. 연구의 의의 /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8
3. 연구 결과의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 / 25
Ⅱ. 90년대 서사주체가 회고한 70년대 서사주체의 서발턴 재현 / 32
Ⅲ. 서발턴 재현 방식으로서의 연작장편소설 / 43
1. 유기성을 대신한 파편적 구조 / 43
2. 총체성을 위한 장치로서의 상징과 인물의 편재 / 50
Ⅳ. 서발턴 삶의 재현 / 63
1. ‘가난’을 층으로 한 재현 / 63
2. 서발턴 삶과 구획되어지는 공간으로서의 ‘외부세계’ / 82
3. 카니발적 공간과 연대 가능성 / 107
Ⅴ. 《장석조네 사람들》에 나타난 서발턴 재현의 의의와 한계 / 123
Ⅵ. 결론 / 127
제2부 90년대 소설의 몇 가지 범주
Ⅰ. 서론 / 135
Ⅱ. 90년대 소설의 범주에 대한 연구들 / 138
1. 90년대 발표된 연구들 / 138
2. 2000년대 이후 발표된 연구들 / 170
Ⅲ. 90년대 소설의 범주 / 192
1. 리얼리즘 계열 소설 / 192
① 민족문학/분단소설 / 195
② 민중문학/노동·농민소설 / 198
③ 후일담소설 / 206
④ 여성소설 / 215
⑤ 가족소설 / 229
⑥ 여행소설 / 234
2. 포스트모더니즘 계열 소설 / 245
① 메타픽션/자기반영적 기법 / 247
② 탈장르/경계의 해체 / 257
③ 환상기법/자아분열 / 263
Ⅳ. 결론 / 274
【참고문헌】 / 276
【부록】 90년대 발표한 단행본 목록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