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74084998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09-01-10
책 소개
목차
조선역사서에 대한 소고(小考)
Chapter 1
기후(氣候)로 살펴본 조선
Chapter 2
지형(地形)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3
고을의 주요 특징(特徵)과 이웃한 고을로 살펴본 조선
Chapter 4
토지의 비옥(肥沃)과 척박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5
생활풍속과 인심(人心)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6
인구(人口)와 호수(戶數)로 살펴본 조선
Chapter 7
농경지(農耕地) 면적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8
소금(鹽) 생산지로 살펴본 조선
Chapter 9
철(鐵) 생산지와 제련소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0
목마장(牧馬場)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1
도기소(陶器所)와 자기소(磁器所) 분포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2
군대(軍隊)의 구성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3
봉화(烽火)의 연결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4
역참(驛站)의 이어달리기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5
고을별 특산물(토산물)로 살펴본 조선
Chapter 16
안식향(安息香)과 인삼(人蔘) 생산지로 살펴본 조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세종실록지리지의 역사지명이 현재의 한반도 여러 지명과 전통을 함께 하고 삼국사기 지리지와 고려사지리지 지명을 인계받을 곳이라면 기후인자와 기후요소를 근거로 한 "기후(풍기)"에 대한 기록들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고 역사서 기사에 대한 신빙성을 잃게 한다. 또한 현재 지명과 연계된 곳의 세종시대와 그 이전의 기후에 대한 표기였다고 할지라도, 한반도 지형구조와 연계된 종과 횡의 기후인자에 의한 기후요소들의 간섭과 지배를 받지않는 독특하고 이상한 기후대의 조선(朝鮮)이 된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