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88974113384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2-10-19
책 소개
목차
- 문학상담 첫 번째 이야기
◈ 문학상담의 이론적 기초
Ⅰ. 문학상담의 개념
1. ‘문학상담’용어의 정리
2. 문학상담과 문학
3. 문학상담의 원리
Ⅱ. 문학상담의 심리학적 주요 기재
1. 공감
2. 동일시
3. 대상화
4. 자아성찰
5. 자아통합
6. 승화
Ⅲ. 문학상담의 전개 구조
1. 문학상담의 전개 구조 Ⅰ단계
2. 문학상담의 전개 구조 Ⅱ단계
3. 문학상담의 전개 구조 Ⅲ단계
Ⅳ. 문학상담의 수행 모형
- 문학상담 두 번째 이야기
◈ 읽는다는 것은......?
Ⅰ. 설화 읽기 : 서동과 선화공주 이야기
Ⅱ. 고전 읽기 : 사씨남정기와 한중록
Ⅲ. 시조 읽기 : 고산별곡과 속문산육가
- 문학상담 세 번째 이야기
◈ 쓴다는 것은......?
Ⅰ. 홍사용의 생애와 문학 이야기
Ⅱ. ‘나처럼 너를’ 인터넷 캠페인 글쓰기
Ⅲ. 미술치료 기법을 활용한 글쓰기
ㆍ참고문헌
ㆍ부록
ㆍ찾아보기
책속에서
문학상담의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작품들을 읽는다. 설화 읽기, 고전 읽기, 시조 읽기로 나누어,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작품들을 읽는다.
굿이 옛것을 읽는 이유는 다른 시대의 작품들보다 작가의 생각과 마음을 쉽게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특히 설화는 인간 심리의 원형을 재미있으면서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것은 문학상담에서 설화가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문학상담에서 글을 쓴다는 말은 무엇일까? 이 물음에 본 저자는 삶을 쓴다는 말과 같다고 말하고 싶다. 왜냐하면 그 글에는 글쓴이의 삶이 강물처럼 흘러 지면을 가득 메우고 흠뻑 적시며, 우리 마음으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