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논리와 비판적 사고
· ISBN : 9791188392582
· 쪽수 : 664쪽
· 출판일 : 2025-08-22
책 소개
목차
• 이 책은 누구를 위한 책인가?
• 비판적 사고는 왜 중요할까?
• 생각하는 근육 단련하기
• 이 책을 사용하는 법
• 전체 내용 미리보기
• 이 책에서 사용하는 아이콘
1. 비판적 사고란 무엇인가? : 비판적 사고의 정의, 역사, 가치
• 생각을 갈고닦는 기술
• 비판적 사고의 핵심: 추리와 논증
• 비판적 사고의 기원과 발전
• 비판적 사고를 하면 무엇이 좋을까?
• 대학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 그런 말은 들어본 적 없는데요
• 성공을 위한 기본적인 자질과 태도
• 비판적 사고를 가로막는 장벽
• 비판적 사고 수련 전 진단테스트
2. 기초적인 사고기술 진단 : 비판적 사고훈련에 들어가기 위한 몸풀기
• 비판적 사고의 토대가 되는 사고기술
• 나의 사고력은 어느 정도 될까?
• 나의 주의력은 어느 정도 될까?
3. 나의 주장을 펼쳐보자 : 논증의 핵심요소
• 논증은 어떻게 생겼을까?
• 글 속에 묻혀있는 논증 발굴하기
• 결론 찾아내기
• 논증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4. 논증은 무엇이 다를까? : 논증 vs 논증이 아닌 것들
• 건설적인 비판과 반대를 위한 반대
• 논증이 아닌 세 가지 유형의 글
• 요약결론과 논리적 결론
• 논증으로 착각할 수 있는 것들
• 논증글 속 논증이 아닌 요소들
5. 논증의 탑 쌓기 : 강력한 주장을 힘있게 밀고 나가는 법
• 무엇을 주장하는가?
• 진술의 일관성
• 논리적 일관성
• 결합이유와 개별이유
• 추론선을 정리해주는 중간결론
• 논리적 순서에 맞게 이유 배열하기
6. 행간을 읽어내는 법 : 숨어있는 가정과 함축적 논증
• 보이지 않는 주장
• 논증요소 생략하기
• 추리와 3단논법
• 전제에 의존하여 펼치는 논증
• 암묵적 논증
• 이데올로기와 고정관념
• 표면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7. 논증 속 오류 찾기 : 추론을 왜곡하는 비논리적 설득전략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 비유를 활용하여 시나리오 조작하기
• 이성적 사고를 가로막는 오류전략
8. 믿을 수 있는 진실인가? : 근거를 찾아 확인하고 평가하기
• 근거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 믿을 만한 출처는 어떤 것일까?
• 믿을 만한 근거인지 평가하는 법
• 사실인가? 의견인가?
• 소셜미디어 비판적으로 접근하기
• 진짜뉴스냐 가짜뉴스냐?
9. 비판적 독서와 메모 : 정확하게 읽고 보고 듣기
• 비판적으로 책을 읽는 방법
• 논증을 범주화하라: 이론의 효용성
• 책을 읽으면서 메모하는 기술
• 강의나 영상을 보면서 메모하는 기술
10. 비판적 분석적 글쓰기 : 효과적인 글쓰기 전략
• 비판적 분석적 글쓰기의 특징
• 머릿속 아이디어를 글로 풀어내기
• 논증구조 설계하기
• 서론-본론-결론 작성하기
• 지나치게 단정하는 진술 한정하기
• 논증의 흐름을 안내하는 이정표
• 인용출처 표시하기
11. 논증 매핑하기 : 논증구조를 시각화하는 기술
• 논증맵 그리기
• 확장논증 매핑하기
• 논증을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내가 쓴 글 비판적으로 평가하기
12. 비판적 성찰 : 비판적 사고로 일상을 혁신하라
• 비판적 성찰이란 무엇인가?
• 비판적 성찰을 하면 무엇이 좋을까?
• 비판적 성찰을 가로막는 장애물
• 비판적 성찰은 어떻게 수행하는가?
• 단계별 비판적 성찰모형
• 비판적 성찰을 활용한 직무개선
• 비판적 성찰과 글쓰기 습관
13. 취업과 경력개발 성공전략 : 비판적 사고는 미래인재의 핵심 경쟁력
• 비판적 성찰을 활용한 삶과 직업설계
• 취업준비 필승전략
• 구직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
• AI 시대에 더욱 빛나는 비판적 사고
+ 붙임자료 : 다양한 읽기자료와 연습문제 해설
• ‘학생들의 삶의 질’에 관한 읽기자료
• 샘플에세이 분석실습
• 학술논문 제목에 자주 나오는 단어들
• 온라인 문헌연구를 위한 검색엔진
• 용어설명과 찾아보기
• 연습문제 풀이와 해설
• 인용출처와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옮긴이의 글
• 베타테스터의 글 본문발췌
리뷰
책속에서
비판적 사고는 생각하는 다양한 기술을 종합하여 빚어낸 고차원적인 사고기술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다. 면밀하게 초점을 맞춰 집중하는 기술, 분석하고 해부하고 평가하는 기술, 선별하고 판단하는 기술, 이런 것들을 종합하여 타당한 결론을 이끌어내는 기술이 바로 비판적 사고다. 물론 이러한 사고기술은 쉽게 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호기심, 열린 마음가짐, 체계적인 사고, 쉽게 포기하지 않는 끈기, 공정하고 유연하고 정직한 태도와 같은 기본적인 자질을 갖춘 사람만이 이러한 고차원의 사고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길에 들어설 수 있다.
비판적 사고는 대학에서뿐만 아니라 졸업 후 나아갈 직장에서도 매우 중요한 경쟁력이 된다. 비판적 사고역량이 탁월하지 않으면 학업에서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없으며, 직업세계에서도 성공할 수 없다. 더 나아가 건강한 시민사회를 만드는 데에도 비판적 사고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누군가의 작품에 대해 비판적인 평가를 할 때는 반드시 건설적인 태도를 견지해야 하며, 약간의 재치와 유머를 곁들일 줄 알아야 한다. 껄끄러운 메시지를 상대방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전달하는 기술은 건전한 비판적 사고를 계속 이어나가기 위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소중한 기술이자 재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