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74114923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6-10-29
책 소개
목차
서문
프롤로그
짓다 만 것 같은 엉성함(1) _ 옛날 건물의 불편함에 대한 변호
짓다 만 것 같은 엉성함(2) _ 도덕 정신을 구현했기 때문이다
건물은 한 시대의 사회 가치관을 그대로 드러낸다
1부
재료와 물질
1장 돌과 물질-양생(養生), '미(美)-락(樂)-교(巧)'
1. 자연사상-울퉁불퉁한 돌을 다듬지 말라
2. 인공 처리의 억제와 절제의 미학
3. 돌멩이와 양생(養生)-다듬지 않은 돌의 교훈
4. 기단-돌쌓기, 어울림, '정성'의 수고
5. 돌담과 성벽-기단의 돌쌓기를 확인하다
6. 어울림의 돌쌓기와 '미(美)-락(樂)-교(巧)'의 교훈
2장 나무와 휜 기둥-무위(無爲), 여래장(如來藏), 신(信)
1. 휜 기둥과 친자연
2. 양생에서 무위(無爲)로
3. 휜 기둥과 불교-여래장(如來藏)과 직심(直心)
4. 휜 기둥으로 지은 사찰들
5. 휜 기둥과 유교-맹자의 신(信)
6. '신' 개념으로 읽는 자연 재료의 가르침-자연의 선한 본성
7. 휜 기둥을 사용한 유교 건축들
2부
기술과 장식
3장 창틀과 담-기예(技藝), 문식(文飾)
1. 기술과 기예(技藝)
2. 기예와 창틀-제몫의 아름다움
3. 창틀의 미학과 유교건축의 예들
4. 문양과 문식(文飾)-유교와 주역의 사회미
5. 담이 그리는 조적 문양-유교 건축의 예
4장 지붕과 선-태극, 눈썰미, '고(故)-성(性)-명(命)'
1. 지붕과 선의 미학-한국의 원형미
2. 수평선을 위에, 수직선을 아래에
3. 지붕과 태극 문양-음과 양을 서로 섞다
4. 한국 지붕의 가변성-사람만큼 다양하다
5. 자 없이 눈썰미로 짓다-표준 도구를 거부한 다양성의 미학
6. 기예, 수공업 시대의 생활 철학
7. '고(故)-성(性)-명(命)'
5장 창살 문양-문식, '상(象)-효(爻)-잡(雜)'
1. 한국 창살 문양의 5가지 대표 종류
2. 표면 부가물이 아닌 한국 창살-'문식'의 조건에 합당하다
3. 창살과 한자-'문(文)'의 이치를 표현하다
4. '상-효-잡'과 '문양-문식'
5. '상-효-잡'으로 해석한 한국 창살
6. 창호지와 햇빛-창살의 문식 교훈을 확장하다
7. 창살과 창호지-날씨, 계절, 조형
8. 한국 창살과 다양성의 미학-가훈을 문양 규칙으로 표현하다
3부
공간-비움과 무정형
6장 비움의 미학-엉성한 건물과 마당
1. 비움의 여섯 가지 건축적 의미
2. 한국 건축과 비움의 미학-엉성한 건물 얼개
3. 기둥만으로 건물을 짓다-들개문, 누정, 대청
4. 작은 방과 큰 마당, 마당까지 방이다
5. 마당이 먼저다, 방까지 마당이다
6. 한국 마당의 정점, 중정(中庭)형 공간
7. 한국 건축에서 마당이 활성화된 다섯 가지 이유
7장 무정형의 미학-규칙, 가변, 다양
1. 무정형, 비움의 또 다른 얼굴
2. 방의 벽을 허물고 마당으로 나가다-불이(不二)와 전이
3. 무정형으로 건물의 구성 순서와 공간의 본질을 새롭게 정의하다
4. 방을 나누고 꿰어라-다양과 가변의 미학
5. 무정형 구도의 집합체-한국다운 리얼리즘과 포근한 보금자리
6. 무정형 공간과 주역의 '상-효-잡' -규칙이 가변이 되고 다양을 만들다
7. 씨앗의 분화, 경우의 수, 주역의 '상-효-잡'
8. 한옥의 불편함에 대한 변호-도덕 정신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8장 비움과 도덕 정신-무용(無用)이 곧 대용(大用)이다
1. 불교의 '공(空)-선(禪)' 사상-텅 빈 공간의 본질로 돌아갈 것
2. 도가의 '무용이 대용이다' -채우려 들지 말 것
3. 건축에서 대용이란(1)-정성적 다양성
4. 건축에서 대용이란(2)-마음의 평안
5. 비움의 도덕 조건-물질 채움이 아닌 정신 가치의 문제
에필로그
어려운 한국 사회, 옛 건축의 도덕 정신에서 답을 찾다
현실 매개와 물질 형식의 힘-건축으로 공부하고 수양하다
도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