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88974183806
· 쪽수 : 273쪽
· 출판일 : 2018-06-01
책 소개
목차
서문 5
1부 한국형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의 진화-박성우 13
I. 서론 15
1. 왜 한국형 발전국가를 재조명하는가? 15
2. 한국형 발전국가에 대한 다양한 평가: 경제성장, 민주화,
세계화에 따라서 19
II. 한국형 발전의 전조기(1945년-1961년)와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23
1. 이승만 정부 국가이념의 배경 23
2.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1 - 문명과 부강(富强)의 이중주 28
3. 이승만 정부의 국가이념 2 - 발전형 국가이념의 맹아 38
III. 한국형 발전의 성립기(1961년-1987년)와 박정희 정부의
국가이념 42
1. 발전국가론의 배경 42
2. 발전국가 국가이념의 성립 48
3.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으로서의 민주주의론 57
4. 발전국가의 국가이념으로서의 국력배양론과 자주국방론 74
IV. 민주화와 국가이념의 진화: 정의 담론과 헌법개정논의 82
1. 한국형 발전국가론에 대한 도전: 민주화와 세계화 82
2. 국가이념의 진화로서의 정의 담론 87
3. 국가이념의 진화로서의 개헌논의 98
V. 결론 132
2부 한국형 발전국가의 정치제도-손병권 143
I. 서론 145
1. 연구의 목적과 순서 145
2. 연구의 방법 153
II. 민주적 정치제도의 도입과 좌절
(1948-1961: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157
1. 제1공화국의 정치제도 161
2. 제2공화국의 정치제도 165
III. 발전국가의 토대를 위한 정치제도의 선택
(1963-1972: 제3공화국) 169
1. 대통령제 권력구조 170
2. 선거제도와 정당체제 174
3. 정당공천제도의 도입 177
4. 효율중심의 국회운영 181
IV. 권위주의의 등장과 민주적 정치제도의 왜곡
(1972-1987: 제4공화국과 제5공화국) 185
1. 권위주의의 도래와 대통령 간접선거의 권력구조 190
2. 거대여당 구축을 위한 선거제도과 경쟁부재의 정당체제 199
3. 국회운영방식 209
V. 다원주의적 포스트 발전국가의 등장과 정치제도
(1987-2015: 제6공화국) 210
1. 민주화 이후 3김시대의 정치제도와 문제점(1987-2002) 215
2. 제왕적 총재의 퇴진 이후 정치제도 변화의 양상과 과제(2002-2015) 226
VI. 결론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