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88974272265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06-11-20
책 소개
목차
1부 : 기초
공동체와의 조우―프렌즈 세미너리, 1952~1954년/캘리포니아, 1967년 2월/오키나와,
1968~1969년/메인 주 베델, 1972년 6월
개인 그리고 철저한 개인주의가 빚는 오류
공동체의 진정한 의미―포용성, 헌신 그리고 합의/사실주의/심사숙고/안전한 곳/
개인의 무장 해제를 위한 실험실/은혜롭게 싸울 수 있는 집단/
구성원 모두가 인도자인 집단/정신
공동체의 기원―위기와 공동체/우연히 이루어진 공동체/공동체 설계
공동체 형성의 단계들―사이비 공동체/혼란/마음 비우기/공동체
공동체의 심층 역학 단계―집단의 행동 유형/집단 행동에 대한 중재/공동체 규모/
공동체 기간/공동체에 투신/공동체 연습
공동체의 유지―성 앨로이셔스 교단/지하실 집단/유지나 해체냐?
2부 : 교량
인간의 본성―다원주의의 문제/인간 본성에 대한 환상/탈바꿈할 수 있는 능력/
현실주의, 이상주의 그리고 낭만주의
탈바꿈의 유형―영적 성장의 단계들/문화 초월하기/이스라엘
마음 비우기
마음 여림: 약점이 있음을 인정하는 것
통합과 통합성―무엇이 빠져 있는가?/역설과 이단/신성 모독과 희망
3부 : 해결책
공동체와 의사소통
무기 경쟁의 수준―제도로서의 무기 경쟁/무력감에 대하여/강제적인 정신병 치료법/
국가 체제의 무용성/게임으로서 무기 경쟁/무언의 보상/
민족주의: 건강한 것인가, 병든 것인가?
미국의 기독교 교회―예수, 당신은 어디에 있는가?/세족식 목요일의 혁명/
그리스도 가현설假現說: 교회의 이단성/교회라는 전쟁터/희망의 징조들
공동체 형성의 단계들―권력의 균형이냐, 혼란이냐?/미국 대통령직의 비현실성/
공동체적 대통령직을 향하여
권한의 부여―이제 무엇을 할 것인가?
책속에서
우리는 공동체 규칙을 안다. 또 개인의 삶에 미치는 공동체의 치유 효과를 안다. 만일 우리가 이와 같은 지식을 국가 정책에 연결할 길을 어떻게든 찾기만 한다면 전 세계도 치유 효과를 갖지 않을까? 우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공동체적 피조물이 아니다. 우리는 생존을 위하여 어쩔 수 없이 서로 관련을 맺고 살아간다.
우리는 아직 진정한 공동체의 포용성, 현실주의, 자각, 마음 여림, 투신, 개방성, 자유, 평등 그리고 사랑으로 관계를 맺지 못한다. 칵테일파티에서 지껄이고 사업이나 다른 영역에서 말다툼하는 단순한 사회적 동물로 사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우리 자신을 단순한 사회적 피조물에서 공동체 피조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우리의 핵심적인 과제다. 그것은 인간이 진화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 본문 214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