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74354763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6-09-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저자 서문
약어표
갈라디아서 한글 번역(저자 사역)
I. 갈라디아서 서론
A. 갈라디아서의 역사적 배경
1. 갈라디아서의 중요성
2. 갈라디아서의 저자
3. 갈라디아서 수신자의 정체성과 정황
(1) 수신자의 정체성
(2) 수신자의 역사적 정황
4. 바울의 반대자들의 정체성
5. 갈라디아서에 대한 새 관점의 접근
6. 갈라디아서의 중심 주제
7. 갈라디아서의 기록 연대
B. 갈라디아서의 문학적 특징
1. 수사학적 접근
(1) 변증적-수사학적 접근
(2) 설득적-수사학적 접근
2. 서신적 접근
3. 언어학적 접근
4. 논증적 접근
5. ‘나’(바울의 ‘에토스’), ‘너’(갈라디아 교인들의 ‘페토스’)의 수사학적 접근
(1) 문학적 특징
(2) ‘나’/‘너’구조 분석에 대한 근거
II. 사도 바울의 ‘에토스’(1:1-2:21)
A. 1장 주석
《1장의 구조》
1. 서문 인사(1:1-5)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2. 주제-‘그리스도의 복음 이외에 다른 복음은 없다’(1:6-9)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3. 그리스도의 계시로 말미암아 받은 복음(1:10-12)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심층 연구 1: 갈라디아서 1-2장의 기능
4. 바울의 회심과 소명(1:13-17)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회심 전 유대교에 있을 때의 생활(1:13-14)
(2) 다메섹 사건(1:15-16a)
1) 부활하신 그리스도와의 만남
2) 종말론적 사건
3) 이방인을 위한 사도로서의 소명
4) 복음의 실제
(3) 회심 이후 부르심에 대한 순종-아라비아의 방문(1:16b-17)
《석의에서 강단으로》
5. 첫 번째 예루살렘 방문-베드로(게바)와 야고보의 만남(1:18-20)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6. 수리아와 길리기아 지역의 선교(1:21-24)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B. 2장 주석
《2장의 구조》
심층 연구 2: 안디옥 교회의 설립 배경
심층 연구 3: 안디옥 교회의 할례 문제와 예루살렘 공의회
1. 바울의 예루살렘 공의회 방문(2:1-10)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2. 안디옥 사건(2:11-21)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안디옥 사건의 개요와 쟁점(2:11-14)
(2) 바울의 교훈(2:15-21)
1) 율법의 행위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
3) 의롭게 되다
《석의에서 강단으로》
심층 연구 4: 바울과 이신칭의 교리
III. 갈라디아 교인들의 ‘페토스’(3:1-6:10)
A. 3장 주석
《3장의 구조》
1. 성령/믿음과 율법 행위의 대조(A)(3:1-5)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2. 믿음의 사람 아브라함(B)(3:6-9)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심층 연구 5: 바울과 율법
(1) 바울 당대 유대교의 율법관
(2) 구약이 가르치는 율법관
(3) 예수와 율법
(4) 다메섹 사건 후의 바울과 율법
1) 율법에 대한 바울의 부정적인 진술의 배경
2) 율법에 대한 바울의 긍정적인 진술의 배경
3. 율법의 저주(C)(3:10-12)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4. 십자가와 성령(D)(3:13-14)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5. 약속과 율법(C')(3:15-18)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6. 율법과 그리스도(B')(3:19-25)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7.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자녀 됨(A')(3:26-29)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B. 4장 주석
《4장의 구조》
1. 종에서 하나님의 아들로(4:1-7)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2. 초등학문으로부터의 자유(4:8-11)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3. 나와 같이 되라(4:12-20)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4. 시내 산(하갈)과 예루살렘(사라)(4:21-31)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석의에서 강단으로》
C. 5:1-6:10 주석
《5:1-6:10의 구조》
1. 그리스도께서 주신 자유(5:1-12)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직설법과 명령법(5:1): 자유와 책임
(2) 화법(5:2-12): 성령을 따른 삶과 할례를 따른 삶의 대조
《석의에서 강단으로》
심층 연구 6: 한국 교회의 바른 구원론 이해를 위한 제언
2. 성령을 따른 삶과 육을 따른 삶(5:13-24)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직설법과 명령법(5:13-16): 자유와 사랑의 섬김
(2) 화법(5:17-24): 육과 성령의 대립
1) 육의 세력과 성령의 세력(5:17-18)
2) 육을 따른 행위(5:19-21)
3) 성령을 따른 열매(5:22-24)
《석의에서 강단으로》
3. 그리스도의 법을 성취하라(5:25-6:10)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직설법: “우리는 성령을 따라 살고 있습니다”(5:25a).
(2) 긍정 명령법: “성령을 따라 걸읍시다”(5:25b),
(3) 9개의 명령법(5:26a-6:10)
《석의에서 강단으로》
IV. 결어: 십자가와 새 창조(6:11-18)
《구조와 개요》
《본문과 석의》
(1) 바울이 큰 글자로 직접 쓴 이유(6:11)
(2) 편지 내용의 간략한 요약(6:12-17)
1) 유대주의자들의 정체성(6:12-13)
2) 십자가와 새 창조의 삶(6:14-17)
(3) 축도(6:18)
《석의에서 강단으로》
참고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바울이 사용한 ‘의’에 대한 명사 혹은 동사는 역동적인 의미(종말론적, 관계론적)를 담고 있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는 하나님의 법적 선언인 동시에, 공의와 사랑의 약속을 지키시는 하나님의 언약적 신실성의 표현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대로 인간과 피조 세계를 자신의 주권 아래 두시고, 그들을 회복해 가시는 그분의 종말론적인 창조 행위와 구원 행위라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칭의’와 ‘성화’는 구분되지만 분리될 수 없다.
_안디옥 사건(2:11-21): 본문과 석의
베드로는 안디옥 사건에서 바울과 전혀 다른 복음과 신학을 주장하지 않았다. 베드로의 문제는 이단이나 배교의 문제가 아니고, 다만 그가 믿고 고백한 이신칭의 신학을 삶을 통해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데 있다.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복음이 수직적이고 개인적인 특징뿐만이 아니라 수평적이고 사회적인 특징도 함께 가지고 있으며, 이 양자가 결코 분리될 수 없으며 하나가 무너지면 다른 하나도 함께 무너진다는 사실을 망각했다. 그래서 표리부동한 행동으로 유대인과 이방인, 신학과 교회, 믿음과 삶을 분리함으로써 교회와 신학, 신앙과 삶 모두를 훼손해 버렸다. 반면에 바울은 베드로를 책망하면서까지 신학과 교회, 신앙과 삶의 일치를 고수하고자 노력했다.
_안디옥 사건(2:11-21): 석의에서 강단으로
한 사람의 신분과 삶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신분은 그에 합당한 삶을 요구하고, 삶은 그의 신분을 나타낸다. 바울은 갈라디아 교인들의 신분이 종이 아닌 하나님의 자녀이며, 하나님으로 말미암아 유업을 받을 자들임을 강조했다. 이러한 갈라디아 교인들의 신분은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 및 구속 사역과 성령 사역에 기인한다. 그리고 이 신분은 성령이 그들 가운데 하나님을 ‘아바 아버지’로 부르게 함으로써 경험적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새로운 신분은 그에 합당한 삶을 동반해야 한다.
_초등학문으로부터의 자유(4:8-11): 구조와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