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신앙생활일반
· ISBN : 9788974355975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2-05-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독자에게 드리는 공개편지
들어가는 말: 믿음 이해하기
1. 계시
2. 삼위일체 창조주 하나님
3. 인간
4. 구속: 예수 그리스도와 새 창조
5. 성결의 영
6. 교회: 성령의 공동체
7. 교회 예배
8. 세례와 성찬
9. 그리스도인의 소망과 종말
10. 그리스도인의 삶
책속에서
교리의 목적과 기능을 명확히 알기 위해서는 실례를 들어 보는 게 바람직하다. 우리 모두가 사방이 절벽으로 에워싸인 높고 넓고 기름진 고원에 살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 고원에서 우리는 다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어느 한 지역을 다른 지역보다 좋아한다. 어떤 사람은 그늘을 찾아다니는 반면, 어떤 사람은 햇살을 찾아다닌다. 고원 자체가 아름다워서 우리는 이 고원을 탐구하지 않을 수 없고, 힘을 다해 이 고원에 대해 알려고 한다. 그런데 어느 날 고원을 탐험하던 사람이 절벽에 너무 가까이 다가갔다가 발밑의 돌이 무너지는 바람에 절벽 아래로 떨어지고 말았다. 이 비극적 사건 후 우리 고원 사람들은 이 구역이 위험하다고 다른 사람들에게 경고하려고 절벽 근처에 울타리를 두른다. 그런데 어느 날 반대편 절벽에서 비슷한 사고가 또 일어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우리는 다시 울타리를 둘러, 숨겨진 위험을 경고한다. 그렇게 울타리를 두르는 목적은 고원 주민들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다. 위험 지역이라고 경고하는 울타리가 있으면 사람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그곳에 들어가는 일이 없을 것이고, 그럼으로써 울타리는 우리에게 자유를 주어, 두려움 없이 고원의 여러 지역을 돌아다닐 수 있게 해 주고, 창의력을 발휘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게 해 준다. 이것이 교리의 올바른 역할이다. _ 들어가는 말
이는 창조 교리와, 사랑의 하나님이 우리 하나님이라는 기본적 주장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하나님의 사랑을 아버지의 사랑으로 말할 때 우리는 흔히 아버지가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는 것을 떠올린다. 하나님이 우리 아버지라는 말에는 이런 의미도 있는 게 틀림없다. 하지만 아버지나 어머니의 사랑에는 다른 차원도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부부가 책임감을 갖고 자녀를 낳기로 결정할 때, 이들은 어느 시점이 되면 아이가 독립을 주장할 것이고, 어쩌면 힘든 상황에 빠져들기도 할 것이며, 그래서 부모의 가슴을 아프게 할 가능성이 아주 높다는 것을 잘 인식하고 그런 결정을 내린다. 이들은 이 새로운 인격체를 위해 여러 가지 꿈과 목적을 품을 테지만, 아이의 마음이 부모의 마음과 같지는 않을 것이며 부모의 생각과 다른 꿈과 목적을 추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들은 알고 있다. 우주를 창조하기로 결정하실 때 하나님께서도 이와 비슷한 사랑에서 그렇게 하신다. 이 피조물들이 하나님께 반역할 것이고 하나님의 마음을 아프게 할 것을 아시면서도 말이다. 그럴지라도, 그 엄청난 사랑을 이유로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창조하셨고, 우리가 주변에서 보는 모든 것도 창조하셨다. _ 2장
“내가 아버지께로부터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부터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언하실 것이요”(15:26). 역사 전체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은 이 구절의 정확한 의미를 두고 쉼 없이 논쟁을 벌여 왔다. 이 논쟁에서 우리는 교리의 역할에 관해 앞에서 한 이야기의 또 다른 사례를 본다. 지난 수백 년 동안 삼위일체를 단언한 사람들 중 어떤 이들은 하나님의 일체성(unity)을 역설했고, 또 어떤 이들은 성부·성자·성령 세 위격 사이의 구별을 강조했다. 그런 견해차에도 불구하고, 세 위격의 구별을 무시할 정도로 신성의 일체성을 역설하거나 삼신(三神)을 말하는 것처럼 보일 정도로 세 위격 간의 구별을 역설하지 않는 한 이들은 다 정통파로 간주되었다. 삼위일체 교리는 앞에서 이야기한 고원 가장자리의 울타리와 같다. 삼위일체 교리는 우리가 삼신을 믿는 일이 없게 막아 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세 위격을 혼동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_ 2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