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7442681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0-09-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PART1 재테크시장 패러다임 어떻게 변화하나?
투자의 지평을 넓혀라
1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
(캘리포니아 주립대 석좌교수 손 성 원)
2 4대 금융그룹이 보는 향후 재테크 기상도
한국과 러시아 투자가 가장 유망
(국민은행 압구정 PB센터장 심 재 오)
중국 펀드 장기보유 전략 유효, 시간과 인내심은 투자의 필수품
(신한은행 PB고객부 팀장 한 상 언)
적립식 펀드가 전문가 이기는 유일한 수단
(우리은행 PB사업단 수석팀장 김 인 응)
DLS와 신흥국 채권에 주목, 펀드는 방치와 장기투자 구별해야
(하나은행 PB사업부 팀장 정 준 환)
3 최근 유행하는 금융상품
(대우증권 상품기획부장 김 희 주)
PART2 박스권에 갇힌 증시, 유효한 투자전략은?
답은 주식에 있다?
1 패러다임 시프트, 성공재테크 전략
(에셋플러스 자산운용 회장 강 방 천)
2 증시전망과 투자전략
(우리투자증권 전무 신 성 호)
3 현명한 투자자의 앞서가는 자산운용 펀드 성공 투자전략
(트러스톤자산운용 대표 황 성 택)
4 장기 금융시장 전망과 유망 녹색성장주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조 용 준)
PART3 꽉 막힌 부동산시장 탈출로는 없나
부동산시장, 길은 있을까?
1 부동산시장 어디로 가나
(RE멤버스 대표 고 종 완)
2 최근 부동산 이슈와 투자전략
(국민은행 PB팀장 박 합 수)
3 블루칩 상가빌딩 투자전략과 자산관리 성공기법
(한국부동산 자산관리협회 대표 김 민 수)
4 경매투자 성공의 길
(미래시야 이사 강 은 현)
PART4 제 2의 인생 준비 어떻게?
노후 8만 시간 준비돼 있는가
1 100세 시대 자산관리
(미래에셋 퇴직연금 연구소장 강 창 희)
2 은퇴설계 어떻게
(삼성생명 강북 FP센터 팀장 김 종 완)
3 상속을 위한 세테크 비법
(국민은행 세무사 원 종 훈)
4 자산이전설계
(대한생명 대전 FA센터장 박 인 규)
부록
2010, Seoul Money Show 나의 재테크사례 공모전 금상
27세 미혼 직딩 짠순이의 재테크 노하우
2010, Seoul Money Show 나의 재테크사례 공모전 은상
대학생 재테크 이렇게 한다
2010, Seoul Money Show 나의 재테크사례 공모전 동상 1
대박 나는 나의 재테크 노하우
2010, Seoul Money Show 나의 재테크사례 공모전 동상 2
나의 재테크는 아직도 진행형이다
2010, Seoul Money Show 나의 재테크사례 공모전 동상 3
재테크, 나는 이렇게 한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소비자물가지수(CPI)다 CPI를 보면 2009년 선진국에선 거의 물가가 오르지 않았다. 2010~2011년에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2년 동안은 인플레이션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세계적으로 실업률이 높고 공장가동율이 낮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세계경제가 계속 잘 될 것이라 장담을 할 수는 없다. 특히 이제 출구전략을 본격화해야 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한국은행에서도 벌써부터 출구전략 시행, 금리인상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해외에서도 2011년에는 출구전략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 PAR1 1. 재테크 시장 패러다임 어떻게 변화하나?
-캘리포니아 주립대 석좌교수 손성원-
주식과 펀드는 수익률이 좋건 나쁘건 이미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수단이 됐다. 펀드를 안 하거나 주식을 도외시해도 되는 시대는 이미 지나갔다. 이제 자산관리 시대에 와있고 주식과 펀드는 기축재산이 되고 있다. 이런 틀을 벗어나면 실패자가 될 수밖에 없다. 주식과 펀드는 부동산이나 채권, 예음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 돼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오래 함께 할 수 있는 것에 무한한 투자가 필요하다. 여기서 가장 머릿속에 새겨야 하는 진리는 시식은 유가증권 혹은 금융상품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주식은 기업의 주인이 되는 증서다. 이 관점만 머리에 넣으면 승자가 될 수 있다. 오늘 사서 1개월이나 6개월 후 손해 혹은 이익을 보고 팔아치우는 수단이 아니다. 이런 면에서 재테크 수단도 아니다.
-PART2. 박스권에 갇힌 증시, 유효한 투자전략은?
-에셋플러스 자산운용 회장 강방천-
주식은 올라가면 차익매물이 많이 나와서 공급이 증가해서 가격이 다시 적정수준으로 회귀한다. 그리고 내리면 손실을 최소화하려는 실망매물이 쏟아진다. 그 결과 주가가 생각보다 더 내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시장의 법칙이다. 반면, 부동산은 가격이 상승한다고 매물이 더 늘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매물이 안 나와 가격이 상승할 때는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떨어질 때는 원본의식이 강해서 매물이 나오지 않는다. 이게 역시장의 법칙이다.
-PART3. 꽉 막힌 부동산시장 탈출로는 없나
RE멤버스 대표 고종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