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7442780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1-11-0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고수들을 통해 투자의 기본을 잡자
1. 세계 경제전망과 외국인 투자 전략_ 제프 루이스 JP모간자산운용 투자서비스 부문 대표
2. 4대 금융 명 PB들이 전하는 부자 재테크 전략
3. 행복한 은퇴설계_ 우재룡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
4. 행복한 인생 이모작과 시니어 비즈니스 _ 한주형 퓨처모자이크 연구소장
5. 은퇴스쿨_ 우재룡 삼성생명 은퇴연구소장·김종완 삼성생명 FP센터 강남팀장
PART 2. 소버린 쇼크 이후, 증시 해답을 찾다
1. 현명한 투자자의 앞서가는 투자 전략_ 황성택 트러스톤자산운용 대표
2. 비상장 주식의 세계_ 안옥림 골든브릿지투자증권 상무
3. 한국 증시, 지금은 상승기를 기다려야_ 박건영 브레인투자자문 사장
4. 성장의 함정에 현혹되지 않는 ‘가치 투자’_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
5. 달러의 하락과 원자재 상승, 그리고 주식_ 조익재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6. 주식, 메가트렌드에 투자하라_ 조용준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
7. 중국 투자, 성장을 믿고 정책방향에 맞춰 투자해야_ 유동원 우리환아투자자문 중국 리서치센터장
8. 지수 3000시대 가능할까
PART 3. 부동산 시장, 틈새 시장을 잡아라
1. 실전 부동산 투자 전략_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
2. 부진에 빠진 부동산 시장, 틈새는 있다_ 전영진 예스하우스 대표
3. 연령에 맞는 부동산 자산 보유해야_ 김민수 한국부동산자산관리사협회 협회장
4. 도시형 생활주택과 준주택 투자 전략_ 고종완 Re멤버스 대표
5. 성공경매를 위한 핵심 A-Z, 경매를 위한 모든 것_ 강은 지지옥션 경매자문센터 팀장
6.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부동산 시장_ 이상영 미래에셋 부동산연구소 소장
PART 4. 글로벌 재테크 트렌드 변화의 현장을 가다
1. 글로벌 재테크 시장 어떻게 변화했나
$ 전문가들이 본 각국 재테크 트렌드
2. 국가별로 최근 뜨는 최고 인기 상품은?
3. 국가별 탐구 1 : 경제적 9.11 겪은 미국인 투자는 ‘Back to the Basic’
4. 국가별 탐구 2 : 헤지펀드에 빠진 영국 부자들
$ 데클런 시언 HSBC PB 부문 대표 인터뷰
5. 국가별 탐구 3 : 프랑스 부유층, 자산 절반 이상 연금보험에 투자
$ 브렌단 로빈 소시에테제네랄 PB 부문 대표 인터뷰
6. 국가별 탐구 4 : 호주, 원자재 특수에 주식 투자 급증
7. 국가별 탐구 5 : 뉴질랜드, 농장·산림 대체 투자 상품 인기
8. 국가별 탐구 6 : 일본은 예·적금이 최고, 고령화 대안은 절약?
9. 국가별 탐구 7 : 금, 예금 등 안전 자산에 끌리는 중국인들
PART 5. 나의 재테크 사례 공모전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은 중국경제 성장의 혜택을 가장 많이 얻고 있는 나라다. 중국이 두 번째로 수입을 많이 하는 국가가 한국이다. 일본이 그동안 중국에서 시장점유율이 떨어지는 사이에 한국은 점유율을 크게 높였다. 특히 중국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한 국가 중에서 원자재가 아닌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한 유일한 국가가 한국이다. 원자재를 파는 브라질 등과는 달리 한국은 기계류에서부터 소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중국에 팔면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한국 경제 전체적으로도 안정을 되찾고 완연한 회복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게 우리의 분석이다. 한국 부동산 시장도 서서히 회복 조짐을 보여주고 있다.
주식에 투자할지, 원자재 혹은 채권에 투자할지 등을 판단할 때에는 여러 가지를 고민해야 한다. 자산배분이 정해졌다면 구체적으로 어디에 투자할지 결정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요소는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이다. GDP가 높을수록, 물가는 안정적일수록 좋다. 물가상승률이 너무 낮아도 좋지 않다. 제일 좋은 조합은 경제상승률은 꾸준히 상승하면서 물가는 안정적인 패턴을 보일 때다.
채권 수익률은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의 합이다. 경제성장률이 떨어지거나 물가가 하락하면 채권 금리는 1~2%대로 떨어질 수 있다. 고령화 시대가 되면 노령층의 구매력이 줄어들면서 물가 하락이 함께 맞물릴 수 있다. 채권 투자에서 주의를 요하는 부분이다. 물가 하락은 투자 자산구성을 바꿔야 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주식은 정기예금 수익의 2~3배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선 우량한 주식에 분산 투자를 해야 한다. 또한 직접 투자보다는 펀드형 상품에 간접 투자를 해야 한다. 펀드는 건전하고 효율적인 상품이다. 한 종목에 투자하면 기대수익률이 높은 만큼 위험률도 높다. 반면 펀드는 기대수익률은 다소 낮지만 위험률도 낮다. 특히 인덱스펀드, 우량주펀드, 글로벌 펀드 등을 적절히 혼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