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식객

중국 식객

(다큐PD 왕초의 12,000km 리얼 음식기행)

윤태옥 (지은이), 신계숙 (감수)
매일경제신문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5,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식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식객 (다큐PD 왕초의 12,000km 리얼 음식기행)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중국여행 > 중국여행 에세이
· ISBN : 9788974428198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12-06-15

책 소개

중국여행, 어디까지 가봤는가? 무엇까지 해봤는가? 어떤 것까지 먹어봤는가? 가까운 데다 비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많은 사람들이 중국여행을 선택한다. 하지만 대부분 패키지여행을 통해 중국에 발을 딛게 되며, 현지 음식을 맛보기보다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한식을 먹고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과연 이러한 여행에서 우리는 진짜 중국을 느낄 수 있을까?

목차

Chapter 1 윈난성 쿤밍 - 160년 된 식당 이커인 라오팡쯔
Chapter 2 윈난성 다리 - 백족의 향기 고성의 정취
Chapter 3 윈난성 사시 - 옛길에 흐르는 여인네 향기
Chapter 4 윈난성 리장 - 고성의 사잇길을 누비는 빨간 금붕어
Chapter 5 윈난성 후탸오샤 - 대협곡 따라 굽이굽이 후탸오샤 트레킹
Chapter 6 구이저우성 구이양 - 한 식당, 세 점포, 최고 권력자를 홀린 그 맛
Chapter 7 구이저우성 카이리 - 고난의 민족이동 먀오족을 만나다
Chapter 8 쓰촨성 청두 - 얼얼한 매운맛의 최고봉 쓰촨요리 유람기
Chapter 9 총칭 - 해 질 녁 총칭을 가득 뒤덮는 훠궈의 향기
Chapter 10 후베이성 이창 - 패권쟁탈전의 길목에서 맛보는 미식
Chapter 11 후베이성 우한 - 삼국지와 제갈량, 그 역사 속으로
Chapter 12 후난성 창사 1 - 매운맛은 우리가 최고 “부파라! 파부파!!”
Chapter 13 후난성 창사 2 - 마오쩌둥, 그리고 마오자차이
Chapter 14 후난성 창사 3 - 둥안지와 샤오츠
Chapter 15 후난성 웨양 - 악양루에 서서 동정호를 읊다
Chapter 16 장시성 난창과 정더전 - 도자기 고장의 소박한 맛
Chapter 17 저장성 항저우 1 - 중국 음식문화의 꽃, 항저우 식도락여행
Chapter 18 저장성 항저우 2 - 서호 도보여행
Chapter 19 장쑤성 쑤저우 - 물길과 뭍길이 교차하는 강남수향 저우좡, 퉁리, 우전
Chapter 20 안후이성 보저우 - 조조와 화타의 고향에서 즐기는 보양식
Chapter 21 허난성 쉬창 - 간웅이 아닌 영웅을 만나다
Chapter 22 섬서성 시안 - 100가지 모양에 100가지 맛, 자오쯔
Chapter 23 랴오닝성 선양 - 진짜 중국의 역사를 돌아보다
Chapter 24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 - 붉은 고기와 흰 젖, 초원의 탁발선비
Chapter 25 네이멍구자치구 츠펑 - 붉은 바위에서 최초의 정복왕조 거란을 만나다
Chapter 26 헤이룽장성 하얼빈 - 러시아풍의 이국적인 도시로의 여행
Chapter 27 광둥성 - 음식의 천국 광둥요리
Chapter 28 베이징 회관문화 - 중국 음식은 모두 베이징에 있다
Chapter 29 베이징 베스트 10 - 베이징 식당 한눈에 훑어보기
Chapter 30 베이징 황제요리 - 황제의 밥상으로
Chapter 31 베이징 예술구 - 베이징의 색다른 즐거움 예술구를 걷다
Chapter 32 베이징 왕징 - 코리아타운 왕징의 미식가 광순대가
Chapter 33 샤오츠 - 언제 어디서나 여행의 별미
Chapter 34 최고의 만찬 - 이색 고급요리

저자소개

윤태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십수 년 동안 중국 여행객으로 살아오면서 다큐멘터리 제작자 작가를 겸하고 있다. 인문학적 주제를 정하여 현장을 구석구석 여행하고 글과 사진으로 여행을 기록한다. 음식과 건축에서부터 한국과 중국의 역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탐구한다. 해당 분야의 여러 전문가와 폭넓게 교류하면서 전문성 높은 여행 기록을 남긴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해 국내에 머무르면서 한국전쟁과 이순신, 불교 문화와 바다의 역사와 관련된 역사와 문화의 현장을 답사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한 뒤 방송위원회, 엠넷, 팍스넷, 크림엔터테인먼트 등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일했다. 주요 저서로는 《중국에서 만나는 한국 독립운동사》, 《대당제국의 탄생》, 《중국 학교》, 《길 위에서 읽는 중국현대사 대장정》, 《당신은 어쩌자고 내 속옷까지 들어오셨는가》, 《중국 식객》, 《개혁 군주 조조, 난세의 능신 제갈량》 등이 있다.
펼치기
신계숙 (감수)    정보 더보기
교수, 요리 연구가 배화여대 전통조리과 교수로, 학교 안팎에서 요리를 가르치고 있다. 청나라 문인 원매가 쓴 《수원식단》을 제자, 지인들과 함께 읽고 공부하고 있으며, 《신계숙의 일단 하는 인생》 등을 썼다. EBS 〈세계테마기행〉 ‘꽃중년 길을 나서다-중국·타이완’ 편, 〈신계숙의 맛터사이클 다이어리〉 등에 출연해 많은 이들에게 친근하게 요리를 소개했다. 할리데이비슨 바이크를 타고 여행하고, 드론, 유튜브 등 새로운 세계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인들에게 가장 색다른 것은 아마도 골목마다 콸콸 흘러가는 맑은 물이 아닐까 싶다. 위룽설산에서 흘러내려온 맑은 위하(玉河)가 고성에 들어오면서 세 갈래로 갈라져서 고성 안쪽 곳곳을 휘돌아나간다. 마치 창강(?江) 하류의 강남수향(江南水?)을 이 고성에 연출해낸 것 같다. 게다가 언제부터인지는 모르지만 이 물에는 빨간 금붕어가 곳곳에 살고 있다. 마을을 흐르는 물치고는 물살이 빨라서 금붕어들은 물을 거슬러 활기차게 온몸으로 헤엄을 치고 있다. 어항 속에서 느릿하게만 오가던 빨간 금붕어가 이렇게 생생하게 헤엄치는 것도 참 신기해보인다. 고성 곳곳을 흐르는 물을 건너는 크고 작은 다리들도 눈여겨볼 만하다. 자그마치 354개나 되는 고성의 다리에도 고성 건축의 면모를 볼 수 있다. 평이하게 물을 건너는 석판교(石板?), 커다란 반원을 그리면서 오르내리막으로 넘어가는 석공교(石拱?), 지붕이 있는 복도처럼 만든 풍우교도 있다. 통나무 절반을 잘라서 단순하게 걸쳐놓은 다리, 난간을 벤치처럼 만들어 여행객들이 쉴 수 있게 한 다리, 난간도 없어 자칫 물에 빠질 것 같은 작은 다리도 있다.
-<윈난성 리장 - 고성의 사잇길을 누비는 빨간 금붕어> 중에서-


우선 구이양에서 칭옌구전(靑岩古?)을 오가는 길에서 맛볼 수 있는 ‘한 식당, 세 점포’를 소개하도록 하겠다. 라이(賴) 씨가 하는 구이저우차이 식당이란 뜻의 ‘라이스 첸차이(賴氏黔菜, ??市 花溪? 迎?路 1?, 0851-363-0093)’와 그 분점인 ‘라이스탕관(賴氏??, 黔?西路 80?, 0851-363-0093 / 普陀路 58?, 0851-674-2686)’이다. 이 식당의 원조는 라이빙룽(賴炳?, 1905~1986년)이라는 이 지역에서 제일 유명했던 요리사다. 총칭 출생의 이 요리사는 쓰촨요리의 대가였던 쿵다오성(孔道生)에게서 요리를 배웠고, 구이저우 명문대가의 주방장을 맡은 이후 이 지역을 찾아오거나 체류하는 국가지도자들의 식사를 책임지곤 했었다. 그의 주인이나 손님 가운데에는 장제스과 저우언라이도 있었다고 한다. 1985년 구이저우성의 당서기였던 후진타오는 당시 개설한 ‘구이저우차이 요리사 양성학교’의 주교(主敎)를 이 요리사에게 맡기기도 했다. 1964년에는 중국 정부가 그를 팽조기사(烹?技?, 조리명장)로 공인했고, 사후인 1997년 중국명주대전(中國名廚大典)에도 수록했다.
-<구이저우성 구이양 - 한 식당, 세 점포, 최고 권력자를 홀린 그 맛> 중에서-


후룬베이얼을 여행한다면 탁발선비족이 남긴 족적을 따라가는 것도 좋다. 후룬베이얼 동쪽, 헤이룽장성에 가까운 어룬춘자치기(鄂?春自治旗) 아리허진(阿里河?)에 가셴동(?仙洞, 알선동)이란 동굴이 있다. 이 동굴은 4세기 북위(北魏)를 세운 탁발선비족의 조상들이 1세기경 서남으로 이동하기 전에 살던 곳이라는 사실이 완벽하게 고증된 동굴이다. 이들은 고구려 조상의 이웃사촌으로서, 역사를 조금만 넓게 보면 우리와 뗄 수 없는 민족이다. 이 동굴 앞을 흐르는 물이 아리하(阿里河)인데, 우리 한강의 옛 이름인 아리수와 똑같다. 압록강의 중국어 발음이 ‘야뤼’인데, 아리, 야뤼 모두 같은 발음에서 기원한 명칭들이다. 민족이 이동하면서 지명도 가져간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 지역이 우리 고대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확실하게 드러나는 곳이다.
-<네이멍구자치구 후룬베이얼 - 붉은 고기와 흰 젖, 초원의 탁발선비>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