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36810832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6-05-25
책 소개
목차
《중국 학교 1》
서문
제1강 그림신문으로 보는 근대 중국 _민정기
〈점석재화보〉를 만든 사람|〈점석재화보〉 개요|〈점석재화보〉가 다룬 뉴스|근대 상하이의 출발|〈점석재화보〉 속의 상하이
제2강 시로 열어 보는 중국의 문 _홍승직
항공사가 선택한 한시|시를 통해 중국을 만난 미국 대통령|일상생활 속의 시|중국의 대중가요|《시경》을 시답게 번역하기|중국의 사랑시
제3강 《삼국지》는 왜 읽어야 하는가 _서성
《삼국지》 개요|《삼국지》에 대한 엇갈린 평가|난세를 살아가는 세 가지 대응방식|작은 그물, 큰 그물|병불염사
제4강 중국의 역사를 바꾼 전쟁 _조관희
중국 공부의 기본은 역사|삼국지의 전투 1: 관두의 싸움|삼국지의 전투 2: 츠비의 싸움|삼국지의 전투 3: 이링의 싸움|삼국지 이후 진나라의 단명|전진과 동진이 부딪힌 페이수이 전투|중국 여행의 1번지|중국 역사를 양분하는 페이수이 전투|아편전쟁의 원인은 무역역조|중화주의를 무너뜨린 아편전쟁
《중국 학교 2》
서문
제5강 영화로 보는 중국 _임대근
중국으로 들어가는 문|영화의 시작|상하이에서 시작된 중국 영화|초창기 영화는 오락거리|연극영화|전…쟁터가 된 중국과 영화의 고민|오락성에 충실했던 홍콩 영화|혁명성에 집착한 대륙 영화|5세대, 6세대 감독|산업으로서 현대 중국 영화의 고민
제6강 인문기행 중국: 배낭대학 _윤태옥
나에게 중국 여행이란?|‘인문여행’을 추구하는 이유|여행 패턴의 변화: 배낭|주제를 갖고 떠나는 중국 여행|중국 여행에 요긴한 기술|문자 언어로 스마트폰 활용하기|나름대로 중국을 즐기는 사람들|여행이란
제7강 중국인이 열광한 중국의 명품 _리무진
사람을 읽는다는 것|조선시대의 중국 명품 수집|푸얼차|자사호의 세계|방고와 짝퉁|파완의 문화|무쇠 탕관으로 찻물을 끓이다|침향과 향로|중국인이 사랑한 그 밖의 명품
제8강 중국이라는 만리장성 _김월회
만리장성에 대한 오해|만리장성 다시 보기|중화를 표상하는 만리장성|만리장성, 그 자체인 중국|고전이 빚어낸 ‘텍스트의 만리장성’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국(中國)’이라는 말의 뜻이 무엇인가요? 가운데 있는 나라라는 뜻이죠? 어디를 가운데라고 할까요? 바로 황허의 이남, 양쯔 강의 이북입니다. 다른 말로는 ‘중원(中原)’이라고 부릅니다. 나머지 북쪽은 유목민족이 사는 곳이고, 서쪽과 남쪽은 소수민족들이 사는 곳입니다.
중국 사람들은 중화(中華)사상을 갖고 있습니다. 자기네가 세계의 가운데 있으면서 문화의 꽃을 피운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머지는 뭘까요? 오랑캐라고 생각합니다. 동쪽에는 커다란 활을 쥔 동이(東夷)가 있고, 남쪽에는 남만(南蠻)이라는 오랑캐가 살고 있습니다. 주거량이 일곱 번 잡았다가 일곱 번 놓아주는 ‘칠종칠금(七縱七擒)’을 했던 맹획(孟獲)이 바로 남만 왕이었죠. 서쪽은 서융(西戎), 북쪽은 북적(北狄)이라고 불렀습니다. 사방이 오랑캐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오랑캐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화이(華夷)사상입니다. (중략)
페이수이 전투를 계기로 일어난 가장 큰 확장은 강남 지역의 개발이었습니다. 옛날에는 전 세계가 농업국가였습니다. 따라서 농토가 중요하고 관개시설이 중요합니다. 황토 고원으로 이루어진 이른바 ‘중원’은 상대적으로 척박합니다. 농사 짓기에 만만한 곳이 아니었습니다. 이에 비해서 양쯔 강 유역은 상대적으로 농사 짓기가 훨씬 수월했습니다. 양쯔 강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원과 남쪽의 온난 다습한 기후가 뒷받침했습니다. 지금도 이 지역에서는 2모작, 3모작을 합니다. 겨울에 가도 초록색을 보실 수 있습니다. 페이수이 전투를 계기로 중국의 경제 중심지가 남쪽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_제4강 중국의 역사를 바꾼 전쟁 (1권)
현재 중국인의 90%가 한족이라고 하는데요, 과연 한족이란 게 무엇일까요? 한족을 뺀 나머지는 50여 개 소수민족입니다. 이 주장이 맞는다면 어림잡아도 10억 명이 한족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런데 10억 명이나 되는 사람의 공통점과 정체성을 규정할 수 있을까요? 북쪽의 한족과 남쪽의 한족을 같은 민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생긴 것도 다르고 문화도 다릅니다. 심지어 말도 다릅니다. 달리 말한다면 한족이란 건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저 하나의 관념체계로 존재하는 것이지, 사실상 한족을 한족이라고 규정하는 기준은 없습니다.
_제4강 중국의 역사를 바꾼 전쟁 (1권)
당시 중국 공산당은 소련 공산당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스탈린과 레닌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런데 레닌이 영화를 굉장히 좋아했던 인물입니다. 이를 계기로 중국 영화가 소련 영화의 영향을 받게 됩니다. 마오쩌둥은 영화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습니다만, 공산당 조직은 영화가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니라는 걸 깊이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영화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영화를 보면 기뻐하든지 슬퍼하든지 분노하든지, 어떤 형태로든 심리와 정서가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영화를 보면 사람들의 마음이 바뀌고, 마음이 바뀌면 생각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면 행동도 바뀔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 행동을 바꾸기 위해 자기들이 옳다고 여기는 사상을 영화에 투사했습니다. 사람들을 생각하게 하고, 슬프게 하고, 분노케 하고, 그 분노와 슬픔으로 일어서게 하고, 행동하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_제5강 영화로 보는 중국 (2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