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88974429157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3-03-25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PART 01 지속가능한 발전
1. 지속가능한 발전과 저탄소 녹색전략
2. 지구 환경위기의 모습
3. 기후변화문제의 전망과 영향
4.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업경영
PART 02 환경경영
1. 환경정책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 정책
2. 국제환경통상 및 환경협약
3. 환경경영 국제표준
4. 전략적 환경경영 및 평가
5. 청정생산 및 녹색 비즈니스
PART 03 사회적 책임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론
2. 국제사회의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
3. 각국의 사회적 책임 이니셔티브
4. 사회적 책임 실천방안
PART 04 지속가능보고
1. 지속가능경영의 이해
2. 지속가능경영과 이해관계자
3. 지속가능경영 정보공개
4. 지속가능보고서
5. 지속가능보고서 검증
6.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책임투자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은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에서 채택된 리우선언에서 공론화되어 새로운 국제질서로는 물론 각국의 환경정책 이념으로 정립되고 있다.
1987년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브룬트란트(Brundtland) 보고서〉가 발표된 이후 1990년대를 전후로 하여 세계 각국은 환경정책의 궁극적 목표를 지속가능한 사회의 건설에 두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시도한 바 있다.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각국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환경비전과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을 개발하는 등 사회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략 두 단계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국제 환경문제는 한 국가에서 발생한 환경문제가 국경을 넘어서 다른 국가의 환경적 후생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월경성 환경문제는 국제 환경문제의 한 부분으로 환경문제가 주로 이웃나라에만 국한되는 경우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구소련과 핀란드 간의 산성비문제, 인도와 방글라데시간의 수자원문제, 한반도에 불어오는 황사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